20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Page 2: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Groups as (Motivated) Information Pro-cessors

Group 을 하나의 information processor( 정보처리자 ) 로 보자

그룹 내에서의 정보처리 과정에는 그룹 멤버들 간의 마음 속 작용들이

포함됨

그룹 멤버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New insight 를 개발

업무에 대한 shared understanding 에 도달

Resolve differences ( 차이점을 해결 )높은 수준의 해결책을 마련

Page 3: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Groups as (Motivated) Information Pro-cessors

Page 4: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Groups as (Motivated) Information Pro-cessors

사회동기

친개인적 vs 친사회적

인지동기

높은 인지동기 vs 낮은

인지동기

정보처리 Bias

정보처리 깊이

정보 유포 및 통합

멤버 입력 필수성

결정 긴급성

2

1

3 인지동기 - 사회동기 간의 통합적 인사이트

4 Moderating influences

Page 5: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1. Epistemic motivation 인지동기

정보처리의 깊이를 결정한다 : Epistemic motivation 의 역할

DefinitionThe willingness to expend effort to develop and hold accurate and well-informed conclusions about the world정확하고 수준 높은 결론을 내기 위해 기꺼이 노력하려는 의지 ( 자발성 )

AC (Actual Confidence) vs ST (Sufficiency Threshold)AC < ST 만족스런 결정을 위한 지식 , 정보가 부족하다고 인식할 때

높은 인지동기 – effortful, deliberate, systemic processingAC >= ST 결정을 위한 정보를 이미 갖고 있다고 인식할 때

낮은 인지동기 – quick, effortless, heuristic processing

Page 6: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1. Epistemic motivation 인지동기

Page 7: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1. Epistemic motivation 인지동기

인지 욕구

인지종결 욕구

경험에 대한 개방성

프로세스 책임감

시간압박 / 결정 긴급성

권력 우월성

환경적 노이즈

외부 위협

선호 다양성

강력한 마이너리티

독재적 리더십

+-+

+----++-

친사회적 가치 중심 +조화를 이룸 , 적합성 +

신뢰 성향 +문화적 집산주의 +

협력적 보상 시스템 +협력을 위한 제 3 자 교육 +

친사회적 규범 +수집 정체성 +

미래 interaction 기대감 +과거의 협력 +

Page 8: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1. Epistemic motivation 인지동기

Page 9: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1. Epistemic motivation 인지동기

그룹 중심성

+

+

+-

신중하고 시스템적인 정보검색 및 처리

불일치에 대한 무관용 , 순응 압박 , 독재자

지지

생각의 유연성 , 창의적 아이디어 , 다양한

생각

Page 10: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2. Social motives 사회동기

Cooperative incentive ( 협력적 ) vs Competitive incentive (경쟁적 )Mixed-motive interdependence 혼합동기 상호의존성 (Kelley & Thibaut)

사람들은

객관적인 상호의존 구조를 주관적인 ( 효과적인 ) 상호의존 상황으로

바꾼다

이 주관적인 상호의존 상황이 차후 행동의 기초를 이룬다

How? 어떻게 바꾸는가 ? 사람들의 social motivation 에 달려 있다

DefinitionThe individual’s preference for a particular outcome distribution between self and others 결과에 대해 자신과 남들 사이에서 어떻게 나눌지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

Page 11: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2. Social motives 사회동기

Proself motivation ( 친개인적 동기부여 )Competitive, individualistic 경쟁적 , 개인적

Prosocial motivation ( 친사회적 동기부여 )Cooperative, altruistic 협력적 , 이타적

Page 12: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2. Social motives 사회동기

Page 13: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2. Social motives 사회동기

독립성 중시

타인 의견 경시

정보교환 편견 , 지지

기만 , 빙빙 돌림

합의에 집중

관점의 협력적 통합

생각의 유연성 , 다양한

생각

창의적 아이디어

+

+

+ -

-

Page 14: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3. Interactions ( 사회동기와 인지동기 간의 상호작용 )

Page 15: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3. Interactions ( 사회동기와 인지동기 간의 상호작용 )

사회적 빈둥거림 , 무활동

융통성 없는 강요 , 거부권

외통수 , 우유부단

남의 의견 무시

유연한 강요 , 논쟁지지 , 기만 , 빙빙

돌리기Willingness to

disagree독립성 , 타인 의견 경시

조화 유지 , 집합적 지지

상호 강화

조직 중심화 , 지배적

리더십

다양성에 대한 압박

게으른 타협 , 선호 연합

문제해결

정보 연결 , 협력적 추론

타인 의견에 집중

Page 16: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4.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o

Group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Decision Urgency

긴급 수술 상황 , 적의 공격에 직면한 군대 등

높은 epistemic motivation 은 오히려 방해됨

Deep, deliberate, thorough processing 이 더 해로울 수 있다

이럴 땐 ‘ Simplifying strategies’ & ‘ 휴리스틱’을 활용한 빠른 결정 중요

높은 social motivation 은 도움이 됨

High-task-cohesive group 은 긴급 / 비긴급 상황 모두에서 모두 우수한 성과

응급실 팀의 고성과 Directive leadership & 팀원들이 서로 협력적일 때

Group judgement & Decision makingDecision Urgency 가 낮을 땐 높은 인지동기 & 높은 사회동기가 유리함

Decision Urgency 가 높을 땐 낮은 인지동기 & 높은 사회동기가 유리함

Page 17: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4.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o

Group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Member Input Indispensability

언제 높은가 - Task Ambiguity 높을 때

그룹이 Hidden-profile task 를 수행할 때

통합적 동의를 만들어 내야 할 때

새로운 아이디어가 Group judgement & Decision making 에 도움이 될 때

낮을 경우엔

Group judgement & Decision making 를 위해 멤버들은 다른 양상을 보임

Well-learned routine 및 개인적으로 이용가능한 정보 중심으로 활용함

이럴 땐 사회동기 높을 수록 효과적 (proself 동기가 높을 경우엔 멤버간 대립 가

능 )

Beersma & De Dreu 연구 (2007)4 인 1 팀 의사결정 업무 – Task ambiguity 높게 / 낮게 조작

높은 인지동기 – Task ambiguity 높으면 ( 낮으면 ) 성과에 유익함 ( 해로움 )

Page 18: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4. From information processing to

Group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Synthesis

1. 상황에 관계없이 !사회동기 높으면 Group judgement & Decision making 에 도움됨

2. Task ambiguity 높고 Urgency 낮을 때

인지동기 높으면 유리함

3. Task ambiguity 낮거나 Urgency 높을 때

인지동기 높으면 해로움

Page 19: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Conclusions

Page 20: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감사합니다

이동초 010-9017-4219국민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Management ( 인사조직 )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