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에어 버블 놀이공간 (Air Bubble Playspace) 만들기 즐거운 놀이터는 공간본능을 자극한다.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공간에서 반짝이는 탐색욕구.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낯선 세상을 탐험한다. 본능적으로 익숙해진 곳을 목록에서 지워가며 새로운 탐험지를 발견해간다. 그 결과 세상의 모든 놀이터는 아이들로부터 버려질 운명에 처해있 다. 아이들이 바꿀 수 없다면 그곳에서 미지의 세계는 사라진다. 아이들이 발견하거나 창조하는 공간에는 낯선 소리와 리듬,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빛과 색상, 형태와 구조가 있다. 다만 정밀한 언어로 표현하지 못할 뿐 아이들은 자신의 더듬이로 공간의 차이를 파악한다. 그럴 수 없다면 놀 이공간이 아니다. 오래 머물 수 있는 놀이터는 상상을 자극 한다. 누구에게나 똑 같은 물리적 공간에서 아이들은 각 자 상상의 공간을 다르게 덧 붙인다. 그 결과 그곳엔 수많은 상상 놀이터가 부풀어 오르고 재잘거 리는 이야기로 가득해진다. 아이들은 낮에도 꿈을 꾼다. 걷고 뛰고 앉아 있고, 놀고 있는 매순간 꿈을 꾼다. 어쩌다 어른이 되어 낮에도 꿈을 꾸지 못하게 된 우리는 아이들의 백일몽을 인정해야 한다. 누구에게나 세계는 현실과 꿈이 뒤섞여 있다. 놀이의 순간은 시간이 정지하는 몰입의 시간 이다. 현실과 꿈이 뒤섞이는 시간. 이곳에서 놀이의 시간에 균열을 내는 도시의 소음과 형태, 시 선은 차단되고 걸러져야 한다. 이러한 놀이 공간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도시는 걷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색하다. 좁은 인도, 부족한 벤치, 눈을 씻고 보아도 찾기 쉽지 않 은 그늘, 씨끄런 소리와 너무 빠르게 움직이는 차들과 압도적 건물들. 도시에는 더 많은 휴식 공 간이 필요하다. 아직 사용되지 않은 도시 유휴 공간을 찾아 새로운 쉼터와 상상의 놀이터를 만들 수는 없을까. 에어버블 놀이공간(Air Bubble Playspace)은 도시 곳곳 다른 맥락 속으로 이동하 며 우리가 기대하던 공간을 마법처럼 가볍게 만들어낸다. (타이페이 시 고가 밑에 설치된 버블스테이션 @都市酵母)

비닐 놀이공간 - 버블스테이션(Bubble staion)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에어 버블 놀이공간 (Air Bubble Playspace) 만들기

즐거운 놀이터는 공간본능을 자극한다.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공간에서 반짝이는 탐색욕구.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낯선 세상을 탐험한다. 본능적으로 익숙해진 곳을 목록에서 지워가며새로운 탐험지를 발견해간다. 그 결과 세상의 모든 놀이터는 아이들로부터 버려질 운명에 처해있다. 아이들이 바꿀 수 없다면 그곳에서 미지의 세계는 사라진다. 아이들이 발견하거나 창조하는공간에는 낯선 소리와 리듬,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빛과 색상, 형태와 구조가 있다. 다만 정밀한언어로 표현하지 못할 뿐 아이들은 자신의 더듬이로 공간의 차이를 파악한다. 그럴 수 없다면 놀이공간이 아니다.

오래 머물 수 있는 놀이터는 상상을 자극 한다. 누구에게나 똑 같은 물리적 공간에서 아이들은 각자 상상의 공간을 다르게 덧 붙인다. 그 결과 그곳엔 수많은 상상 놀이터가 부풀어 오르고 재잘거리는 이야기로 가득해진다. 아이들은 낮에도 꿈을 꾼다. 걷고 뛰고 앉아 있고, 놀고 있는 매순간꿈을 꾼다. 어쩌다 어른이 되어 낮에도 꿈을 꾸지 못하게 된 우리는 아이들의 백일몽을 인정해야한다. 누구에게나 세계는 현실과 꿈이 뒤섞여 있다. 놀이의 순간은 시간이 정지하는 몰입의 시간이다. 현실과 꿈이 뒤섞이는 시간. 이곳에서 놀이의 시간에 균열을 내는 도시의 소음과 형태, 시선은 차단되고 걸러져야 한다. 이러한 놀이 공간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도시는 걷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색하다. 좁은 인도, 부족한 벤치, 눈을 씻고 보아도 찾기 쉽지 않은 그늘, 씨끄런 소리와 너무 빠르게 움직이는 차들과 압도적 건물들. 도시에는 더 많은 휴식 공간이 필요하다. 아직 사용되지 않은 도시 유휴 공간을 찾아 새로운 쉼터와 상상의 놀이터를 만들수는 없을까. 에어버블 놀이공간(Air Bubble Playspace)은 도시 곳곳 다른 맥락 속으로 이동하며 우리가 기대하던 공간을 마법처럼 가볍게 만들어낸다.

(타이페이 시 고가 밑에 설치된 버블스테이션 @都市酵母)

(버블 스테이션 내부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 @都市酵母)

도시에서 쓰레기로 버져지는 비닐봉투와 공기로 마법의 에어버블 놀이공간을 만들 수 있다. 바수라마 그룹은 전세계 도시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이름을 가진 비닐 공기주머니 놀이공간을 만들어낸다. 이들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활동하는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모인 비영리 단체다. 환경보호와 재활용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유휴공간을 공공공간으로 바꾸는 예술문화적 개입을 위해 15년동안 활동해왔다. 2001 년부터 전 세계 40 개국에서 120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잡동사니의 활용, 공공공간, 공동체에 대한 생각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들이 수행한 '타이페이 동네공원 뒤집기' 프로젝트를 통해 어떻게 에어버블 놀이공간을 만들 수 있는 지 살펴보도록 하자. 버블 스테이션(Bubble Station)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이 프로젝트는 타이페이 도시재생 프로젝트 '도시효

모' 사업의 하나로 WDC 타이페이 디자인 축제 기간 동안 설치되었다.

반구형 버블 스테이션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참여자들과 함께 도시 내 유휴공간을탐색하고 공공공간으로 변화를 상상하도록 한다. 도시 내 비닐봉지 쓰레기가 발생하는 장소와 수거되고 처리되는 곳들을 탐색한다. 비닐을 세척하고 건조한 후 색상별로 분류한다. 미리 도안을나눠주고 참여자들이 비닐봉투를 정렬하게 한다. 비닐봉투를 투명 테이프로 이어붙이고 매직으로 도안을 비닐에 옮겨 가위나 칼로 재단한다. 이때 몇 개의 면과 구조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마지막에 하나로 이어붙인다. 버블 스테이션은 구를 이루는 여러 개의 잎새 모양의 날개, 원형의 바닥면, 송풍기나 선풍기가 연결되는 몇 개의 공기주입관, 출입구로 나뉜다. 필요에 따라 종이를대고 다리미로 다림질해서 펴거나, 머리 손질을 위해 사용하는 편편한 고데기로 공기가 새지 않게 열 접착한다. 설치할 공간의 바닥을 잘 청소하고 필요에 따라 바닥 밑 또는 위에 부드러운 바닥재를 깔 수 있다. 공기주입관에 가정용 선풍기 또는 공업용 송풍기, 주방 환풍기 등을 설치하여바람을 불어 넣는다. 이때 미리 바닥 안쪽에 무게가 나가는 물건을 두어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주의한다.

(공업용 송풍기를 공기주입관과 연결한 후 바람을 불어넣어 비닐 돔을 부풀린다. @Basurama)

직경 8M인 반구형 버블 스테이션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바닥면은 만들고자 하는직경의 원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야 한다. 이 경우 테이프를 접착할 자리를 생각해 5~10cm 더 크게 재단해야 한다. 출입구는 겹쳐서 닫을 수 있는 형태로 대략 1m ~1m 50cm 높이로 구의 옆면을 잘라 만든다.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출입구 절단면을 두꺼운 박스용 테이프로 여러번 보강하고 여기에 찍찍이나 부드러운 프라스틱 자크를 박음질해서 만든다. 공기주입관은 에어 버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해서 사방에 여러 개를 만든다. 보통 부착하는 송풍기 또는 선풍기의 크기를 고려해서 관의 직경을 결정한다. 만약 40cm 직경의 공기주입관을 만들고자 한다면 원 둘레를 내는공식(2x3.14x반지름)에 따라 폭 251cm(테이프 접착자리 추가), 임의 길이(대략 100~150cm)인 직사격형 면을 우선 만들고 길이 방향으로 투명 테이프를 붙여서 공기주입관을 완성한다. 가장 만들기 어려운 부분이 돔을 형성하는 잎새 모양의 날개다. 잎새의 갯수는 원의 둘레 길이를 고려해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앞서 직경 8m인 반구의 바닥면 둘레 길이는 원 둘레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25.12m이다. 제법 크다. 만약 20개의 잎새 모양 날개로 만들고자 한다면 각 잎새 날개

의 바닥면 길이는 대략 1m25.7cm가 된다. 뾰족한 잎새 날개를 나란히 붙여 구의 형태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위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든다. 이 값을 손 쉽게 복잡한 계산없이 구하기 위해스타돔의 캔버스 크기를 구하는 온라인 계산기(https://www.simplydifferently.org/Star_Dome)를 활용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보둣이'The Calculator' 부분에서 d 빈칸에 직경(여기서는 8m)를 입력하고 'calculate' 버튼을 누른다.버튼을 누르면 다양한 값들이 자동계산되어 표시되는 데 일단 무시한다. 좀 더 밑으로 내려가'Leaf-like Canvas' 항목에는 'n leaves'란에 원하는 잎새 날개의 갯수를 입력한다. 'show' 항목에서 'one' 또는 'all' 항목을 선택하고 'redisplay' 버튼을 누르면 잎새 날개의 높이와 높이별 폭이 표시된다. 이때 접착면을 고려해 양쪽, 밑선을 5~10cm 더 길게 만들어야 한다. 여기서 구한값대로 여러 개의 잎새 날개를 재단해서 이어 붙이면 구 형태 비닐막을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바닥면, 반구면, 공기주입관을 붙여 하나로 만들고 송풍기로 바람을 불어넣으면 완성.

에어버블 놀이공간을 반드시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반구형으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 종종 길고큰 동굴형, 상자형으로 만들기도 하고, 자유롭게 여러가지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색색 비닐을사용해 패턴이나 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다. 만약 투명 비닐을 사용한 동굴형 공간이라면 다른시도를 해볼 수 있다. 우리의 공간본능은 일상과 다른 공간에서 가슴 부푼다. 버려진 비닐로 만든투명한 동굴. 그곳에서 사람들은 다른 존재가 되어 자신을 드러낸다. 투명한 동굴 벽에 상상과 이야기들을 그림 언어로 새길 수 있다. 마치 원시 동굴 벽화처럼. 시간과 장벽을 건너 왜곡된 모습이라도 상관없다. 아이들은 공간 밖을 바라보고, 이 투명한 세계 밖에서 누군가 그들을 지켜보면또 어떨까. 모험놀이가 위험을 전제 한다면, 탐색은 낯선 경험을 찾아 나선다. 아이들의 탐색을위해 우리는 공간의 예술가와 건축가가 되어야 한다. 버려진 비닐 봉지를 이어 붙인 이곳에서 감정의 거품이 떠 오르고 비유적 생각을 불어 넣을 수 있다. 어두운 밤이라면 그 안에 빛을 채우고,때로는 음악을 채우거나 작은 풍선을 띄워 좀더 환상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에버블 놀이공간(Air Bubble Play space)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요가, 휴식공간,영화관, 식사공간, 다실, 연주장, 임시 커피숍, 무대, 잠자리가 될 수 있고 이곳에서 수다를 떨가나 또 다른 놀이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할 수 없는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코르도바 안토니와 갈라재단이 추진한 'Plastic Surrealsm' 창의력 워크숍에 설치된 에어버블공간 @Basur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