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1 - 한국의료질향상학회 · 2015. 11. 25. · 1.손위생(Hand Hygiene) • 2....

Preview:

Citation preview

Clic

Cl

46

64

45 45 50

66

90

64 66 66

7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손위생

46

78

67

59

68

96 96 96 100 100 100

0

20

40

60

80

100

12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멸균가운

2

1.손위생(Hand Hygiene) 2. 삽입시 최대 멸균 보호장구 및 멸균대공포 사용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at insertion ) 3. 클로르헥시딘 피부 소독 (Chlorhexidine Skin Antisepsis) 4. 적절한 부위 종류의 중심정맥관 선택 (Optimal Site/Line Selection) 5. 매일 중심정맥관 필요성 검토 (Daily review of the line necessity, with prompt removal of unnecessary lines)

마스크, 모자, 멸균가운, 멸균장갑착용•멸균대공포사용(head to toe) •무균영역유지 최대멸균차단을 시행하지 않은 상황에서 시술시 혈류감염발생률이 2.2배에서 6.3배 높다고 보고 되고 있음

MBR= inserter washes hands and wears mask, sterile gown, sterile gloves and patient’s head & body are covered with a large, sterile drape.

중심정맥관 삽입시 사용 가능한 소독제 알코올이 함유된 0.5%이상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70%알코올, 요오드팅크제, 아이오도퍼 소독제가 마른 후 삽입 적절한 삽입부위 선택 가능한 Femoral vein에 삽입하지 않도록 하며 성인의 경우 가능한 감염 예방을 위해 Subclavian vein 을 선택한다.

카테터 삽입기간이 길수록 카테터 관련 감염이 증가하므로 매일 중심정맥 카테터가 필요한지 확인하여 불필요한 카테터 제거

마취회복실 QPS 팀

최근 존스홉킨스의대 마취과 피터 프로노

보스트(Peter Pronovost) 박사의 책 ‘존스

홉킨스도 위험한 병원이었다’가 국내에 출

간되면서 많은 번들 중 중심정맥관

(Central Line)시술 관련 번들이 주목받고

있다. 존스홉킨스에서 진료 혁신 프로젝트

를 맡은 프로노보스트 박사는 외과계 중환

자실(SICU)에 중심정맥관을 통한 감염을

막는 5단계의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번들을

도입했다.

▲카테터를 삽입하기 전 비누나 알코올로

손을 씻는다 ▲멸균 장갑, 모자, 마스크와

가운을 착용하고 멸균 방포로 환자를 완전

히 덮는다 ▲가능하다면 사타구니에 카테

터를 삽입하지 않는다 ▲삽입 부위의 피부

를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소독액

으로 깨끗이 닦는다 ▲더이상 필요없는 카

테터는 신속하게 제거한다

감염관리실 통계자료

마취회복실 QPS 팀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