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eowon/yoonwanyoung/... · 2016-09-09 ·...

Preview:

Citation preview

해부학

수업 목표

1. 생명체의 기본 기능을 기술한다. 2. 해부학 및 생리학을 정의하고, 각각의 분과학 분

야에 관한 기술한다. 3.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요 수준을 확인한다. 4. 인체의 계통과 각 계통의 주용 성분을 확인한다. 5. 항상성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6. 음성되먹임 및 양성되먹임이 항상성 조절에 관

여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7. 해부학용어를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 부위, 상대

적 위치 등을 표현한다. 8. 주요 몸공간과 그 세부공간을 확인한다.

어휘 공부

• Bio: 생명 – biology • Cardium: 심장 - pericardium • Dorsum: 등 - dorsal • Homeo: 불변의 - homeostasis • Logy: 학문 - biology • Medianus: 중간에 위치한 - median • Paries: 벽 - parietal • Pathos: 병 - pathology • Peri: 주위 - perimeter • Pronus: 앞으로 기운 - prone • Supinus: 등을 대고 누운 - supine • Stasis: 상태 - homeostasis • Venter: 배 - ventral

해부생리학 입문

• 모든 생명체는 공통적으로

• 반응(Responsiveness)

• 성장(Growth)

• 생식(Reproduction)

• 운동(Movement)

• 대사(Metabolism)

해부학(anatomy)

• “잘라서 연다”_ 그리스 어원 • 인체의 내부 및 외부 구조와 신체의 각 부

분들 사이의 물리적 위치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 육안해부학(Gross, Macroscopic Anatomy) • 현미경해부학(Microscopic Anatomy)

• 현미경의 수준에 따라 분석 대상이 다름 • 광학현미경(세포수준), 전자현미경(1나노미터까지)

• 분과해부학

• 육안해부학(Gross, Macroscopic Anatomy)

• Surface Anatomy(표면해부학) – 전반적 형태와 표면의 특징을 연구

• Regional Anatomy(국소해부학) – 신체의 특정 부위(ex, 머리, 목, 몸통 내부구조)를 연구

• Systemic Anatomy(계통해부학) – Organ system의 구조를 연구

• 현미경해부학(Microscopic Anatomy)

•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서

• 세포학(Cytology) – 세포 속의 구조를 분석

• 조직학(Histology) – 세포학보다 더 넓은 조직(Tissue)을 다룬다.

구성수준 (Level of Organization)

구성수준 (Level of Organization)_con

• 화학물질 수준(chemical level)

• 원자(Atom)들이 결합하여 분자(molecule)를 형성

• 이러한 분자들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기능 연구

• 세포수준 (cellular level) • 분자들이 서로 상호작용 더 큰 구조 형성

• Cell 은 인체의 가장 작은 살아있는 단위

• Ex, 단백질 filament의 상호작용으로 근세포의 수축을 이룸

구성수준 (Level of Organization)_con

• 조직수준 (tissue level)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비슷한 세포들이 모여 구성

• Ex, 심장근 세포로 구성된 심장근조직

• 기관수준 (organ level)

• 둘 이상의 다른 조직들로 구성

• 심장

• 계통수준 (organ system level)

• 기관들이 모여 계통을 이룬다.

• 순환계통

구성수준 (Level of Organization)_con

• 생명체수준 (organism level)

• 인체의 모든 계통은 함께 작용하여 생명과 건강을 유지시킨다.

계통(organ system)이란?

• 인체의 11가지 계통(organ system)

– 이 모든 계통은 독립된 것이 아니라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외피와 골격계통

근육과 신경계통

내분비와 순환계통

림프와 호흡계통

소화와 비뇨계통

남성과 여성의 생식계통

항상성과 계통통합

• 세포, 조직, 기관, 계통들은 동일한 환경에 함께 작용

• 대청댐

• 살아 있는 세포는 항상 혈액이든 체액에 접해 있어 이들의 변화가 있으면 영향을 미친다.

항상성 조절

• 항상성(Homeostasis) • Homeo(불변) + stasis(상태) • 내부환경이 안정되어 있음을 뜻함.

• 항상성 조절(Homeostatic Regulation) •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기능적 적응

• 항상성 조절과정 1) 수용기(receptor)에 의해 자극전달 2) 조절중추 즉, 통합중추 3) 조절중추의 명령에 반응하고 자극에 반대로 자

극을 강화하는 효과기(effector)에 의해 발생

항상성 조절과정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

•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대부분의 기전

• 예 • 체온조절(thermoregulation)

• 뇌 속의 체온조절중추(37도_정상설정 온도) – 37.2도를 넘어서면 두 효과기(effector)에 명령

① 혈관벽의 민무늬근과 땀샘(이완 후 혈관확장 – 표면의 혈류량 증가 땀분비)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_con

양성 되먹임(positive feedback)

해부학 용어 (The language of anatomy)

• 정확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

• 라틴어와 그리스 어원이 대부분

• 사람이름 용어(eponym)

해부학적 표지점 (Anatomical landmarks)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삼는다.

일반 서있는 자세와의 차이점은?

표면 해부학

인체의 부위

배골반사분역

• 인체의 부위_con

배꼽을 기준으로

가로선과 세로선이

서로 직교하여 네

곳으로 나눈다.

충수염

쓸개, 간

배골반분위 좀 더 세밀하게 나누기 위해

단면 해부학(sectional anatomy)

방향에 관한 용어

방향에 관한 용어_con

몸 공간_체강(Body Cavity)

• 기능 1) 뇌와 척수 같은 약한 기관을 충격으로부터 보호

2) 내부 기관의 크기가 변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 – Ex, 허파, 심장, 위 방광

배쪽몸공간(Ventral body cavity)

• 발생초기에 형성

• 성장하면서 분화

• 호흡계, 순환계, 소화계, 비뇨기계 존재

• 횡경막을 기준으로 흉강과 복부골반강으로 분리

• 흉강 • 가슴벽으로 둘러싸여 있음 • 심장막안 하나와 가슴막안 한 쌍이 존재

• 복부골반강 • 배벽과 골반의 뼈와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음. • 복강과 골반강으로 나뉨

– 이들은 기관들의 움직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크기와 모양이 필요에 따라 변한다.

배쪽몸공간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