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년 경제 • 경영환경 전망

Preview:

DESCRIPTION

2004 년 경제 • 경영환경 전망. 2003 년 11 월 21 일. 삼성경제연구소 홍 순 영. 세계경제 국내경제 국내금융 기업실적. 목 차. 최근 경제 동향. 2004 년 전망. I. II. 세계경제성장 주요통화 국내거시경제 금융지표 위협요인. 결론 및 시사점. III. 경제전망의 이슈 경영의 시사점. 세계경제 국내경제 국내금융 기업실적. 목 차. 최근 경제 동향. I. I.1. 세계경제. 세계경제 회복세로 전환 : 상반기중 저점통과.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20042004 년 경제 • 경영환경 전망년 경제 • 경영환경 전망

20032003 년 년 1111 월 월 2121일일삼성경제연구소삼성경제연구소홍 순 영홍 순 영

2

목 차I

1. 세계경제2. 국내경제3. 국내금융4. 기업실적

최근 경제 동향 II1. 세계경제성장2. 주요통화3. 국내거시경제4. 금융지표5. 위협요인

2004 년 전망

III1. 경제전망의 이슈2. 경영의 시사점

결론 및 시사점

3

목 차I 최근 경제 동향

1. 세계경제2. 국내경제3. 국내금융4. 기업실적

4

세계경제 회복세로 전환 : 상반기중 저점통과최근 주요 선진국들의 거시지표 개선

0.3% ’02 년2.6% ’03 년

2.2% ’03 상반기3.6% ’03 하반기

7 월 이후 주요 심리지수 점차 개선( 유로 PMI, 독일 Ifo 경기지수 등 )

8.0% ’03 년

I.1. 세계경제

5

세계경제 성장률과 미국의 경제 성장률 추이미국경제성장률세계경제성장률

세계경제 회복세로 전환 : 상반기중 저점통과

2

3

4

5

'95 '96 '97 '98 '99 '00 '01 '020

1

2

3

4

5세계 미국

I.1. 세계 경제 ( 계속 )

6

하반기 경제성장도 3% 내외에 불과내수위축 심각

자동차 , 선박 , 휴대폰 호조 ( 전년동기대비 17.5% 증가 ) 중국 : 최대수출시장 부상경제성장률 , 민간소비 증가율 , %

-4-202468

10

1/42001

3/4 1/42002

3/4 1/42003

2/4

수출증가율 , %

-30-20-100102030

민간소비수출경제성장률

2/4 분기 경제성장률 1.9%, 3/4 분기도 부진 가계버블 후유증 지속

수출 두자리수 신장 지속

I.2. 국내 경제

7

경기회복 기대감 속에 불안요인 잠복 대내외 불안요인 등으로 금리 , 환율 , 주가의 변동폭 확대 금리는 6 월 중순 이후 상승 , 9 월 하락 , 11 월 상승을 반복 3 월 이후 6 개월째 상승하던 주가도 최근 상승 , 하락 반복 원화는 9 월 급락 (1147.2 원 / 달러 ) 후 급등했으나 , 이후 1170 원 대에서 소강 상태 채권버블 해소과정 경기회복 기대감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유입 경상수지 흑자기조유지

I.3. 국내 금융

국고채 국고채 수익률수익률

4

5

6

11.01 1.02 3.03 4.29 7.01 8.29

(%)

1150

1190

1230

1270

03.1.01 2.18 4.07 5.27 7.15 9.03 500

600

700

800종합주가지수종합주가지수( 원 / 달러 ) ( 지수 )

원원 // 달러 환율달러 환율

8

금융불안 요인 잠복 부동자금 400 조원에 육박 부동산 시장 교란 가계신용 부실 심각

신용불량자수 350 만 명 : 경제활동인구 100명당 15 명에 해당 신용카드 연체율 : 11.0% (8 월말 ) 로 다시 상승( 만명 ) (%)

200220240260280300320340

’01 년 12 월’02 년 3 월 6 9 12 03 년 3 월 6024681012

신용카드 연체율신용불량자수

8 월

경기회복 기대감속에 불안요인 잠복I.3. 국내 금융 ( 계속 )

9

非금융 상장사 순이익 추이

1.0

0.9

1.0

0.9

1.0

7.8

기타기업

2.3

3.8

1.08.89.8‘03 년도 상반기

0.49.717.5‘02 년도 상반기

10 대기업합계 현대자동차

대기업 호조 , 중소기업 부진

상반기 비금융 상장사 순이익 9.8 조원 ( 전년동기대비 44% 감소 ) 영업외 이익 큰 폭 감소

주가하락으로 유가증권 평가 및 처분손 발생 순이익 : SK 글로벌의 특별손실 (3.8 조원 ) 제외시 전년동기대비 22% 감소중소기업 실적 악화 폭이 큰 편 시가총액 상위 10 대기업 순이익 9% 감소 , 기타 상장기업 87% 감소

( 조원 )

I.3. 기업 실적

10

목 차II 2004 년 전망

1.세계경제성장2.주요통화3.국내거시경제4.금융지표5.위협요인

11

2004 년 세계경제는 Synchronized Recovery: ’03 년 2.4% ’04 년 3.2%↑미국 (2.9% → 3.5%)

(+) 기업투자 개선 (IT 중심 )(+) 금리인하 , 감세효과 가시화(-) 쌍둥이 적자

유럽 (0.8% → 2.0%)(+) 독일경제 침체 탈피 조짐(-) 유로화 강세로 수출회복 지연

중국 (8.0% → 7.9%)(+) 글로벌 생산기지 위상 강화(+) 시장개방 확대 → 외국인투자 증가

일본 (2.6% → 1.3%)(+) 제조부문 경쟁력 회복(-) 금융시스템 불안 , 고용불안 , 자산가치 하락 등

II.1. 세계 경제 성장

12

달러화 약세기조와 위안화 절상압력미국 달러화 2004 년에도 약세 유지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와 재정적자 부담으로 작용

2004 년 : 경상수지 적자 5,800 억 달러 (GDP 의 5%) 재정적자 4,700 억 달러 (GDP 의 4%) 예상

강한 달러정책 유지 곤란 : 산업계가 달러 약세 요구

-600

-400

-200

0

2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0.0

0.5

1.0

1.5

2.0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및 달러 / 유로 환율 추이

달러 / 유로경상수지

II.2. 주요통화

경상수지 (10 억달러 )

달러 /유로

13

달러화 약세기조와 위안화 절상압력중국위안과 평가절상 압력 위안화 소폭 절상 예상

중국은 『복수통화바스켓 제도』 도입 시사 위안화 절상으로 여타 아시아 통화도 동반 가세 예상

미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1,031 억 달러 (2002 년 ) 전체 무역적자의 22%

중국 , 일본 한국 , 대만 아시아 4 개국 무역적자 2,000 억 달러 ( 전체 무역적자의 42.5%)

II.2. 주요통화 ( 계속 )

14

2004 년 국내경제 전망의 Assumptions:Baseline Scenario

북핵문제 6 자회담 등을 통해 현 상황보다 악화되지는 않지만 , 단기간 해결은 어려움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내지 소폭 감소 , 그러나 신용불량 문제는 지속

정국구도 총선을 전후한 정치혼선과 사회불안이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

환율 달러화 약세 기조 , 위안화 소폭 절상유가 배럴당 25 달러 (Dubai 油 기준 ) 수준 유지

II.3. 국내거시경제

15

2004 년 평균 이하의 경제성장 예상 : 4.3%

수출이 성장 주도 수출은 14.8% 증가 (2,197.8 억 달러 ) 예상

5 대 품목 ( 자동차 , 반도체 , 무선통신기 , 컴퓨터 , 선박 ) 이 주요

4.3% < 잠재성장율 5% Sub Par Growth

민간소비증가율경제성장률수출증가율12.0

8.54.73.0 4.3

3.10.5

2.9

8.0

-12.7

6.86.3

-13-9-5-1371115

'01 '02 '03p '04p

(%)

II.3. 국내거시경제 ( 계속 )

16

2004 년 평균 이하의 경제성장 예상내수부진으로 경기회복세 제한 가계부채 Bubble 해소과정 진행

민간소비 : 내구재 수요 정체로 2.9% 증가 기업환경 불투명 : 설비투자 부진 지속 (4.2%)

경직적 노사관계 , 미래핵심사업 발굴 부진 경상수지 흑자폭 축소 수입 증가율이 16.1% 로 수출 (14.8%) 상회

050

150

250

350

450

'98 '99 '00 '01 '02 '03p '04p

한국 경상수지 흑자 규모의 감소 추이( 억달러 )

II.3. 국내거시경제 ( 계속 )

17

물가는 안정 , 고용불안감은 지속소비자물가 연간 2.8% 상승 유가 및 환율의 하향 안정화 , 유통업체 가격경쟁 , 저가 수입품 부동산가격 상승과 임금상승에 주의

강남 지역의 지속적 주택수요 증가 부동산 가격 급등은 순차적 임금 인상 유발

-15-10-50510152025

90 92 94 96 98 ‘00 ‘020

2

4

6

8

10부동산 가격 소비자 물가(%) (%)소비자 물가와 부동산 가격 추이

II.3. 국내거시경제 ( 계속 )

18

물가는 안정 , 고용불안감은 지속실업률 3.0% 로 하락 , 고용구조는 불안

취업기회 다소 늘어 실업률은 하락 경제성장률 1% 상승 ⇒ 취업자수 약 9 만 4 천명 증가

청년실업 문제 , 비정규직 확대 등 고용불안 지속

대기업의 경력직 선호 , 3D 직종 및 제조업 취업 기피

II.3. 국내거시경제 ( 계속 )

19

원화강세와 금리 상승 반전원화의 강세기조 지속 : 연평균 1,110 원 / 달러 수준 달러화 약세기조

원화의 엔화 동조화 현상 약화 (10.3:1) 절상속도는 2003 년에 비해 다소 둔화

경상수지 흑자폭 축소 , 노사관계불안 , 외국인 투자 위축시장금리 완만한 경기회복세로 상승 반전 : 연평균 6.5% 수준 ‘ 저금리 기조’ 유지

6.55.55.65.4회사채 수익률 ( 평균 )1.151.121.131.11달러 / 유로환율 ( 평균 )

1,1101,1801,1551,205원 / 달러 환율 ( 평균 )108116.7114.6118.7엔 / 달러환율 ( 평균 )

경제지표 연간하반기상반기 2004 년2003 년년도

II.4. 금융지표

20

2004 년 주요 경제지표 전망

126.9 ↓130.498.232.2무역수지 ( 억 달러 )36.4 ↓48.140.18.0경상수지 ( 억 달러 )

16.1 ↓14.8 ↓

2.8 ↓3.0 ↓3.0 ↓4.2 ↑2.9 ↑4.3 ↑

3.33.13.4실업률 (%)

수입증가율 (%)수출증가율 (%)

소비자 물가 (%)

건설투자 (%)설비투자 (%)

실질 경제성장률경제지표

17.314.021.017.818.217.4

3.32.83.8

6.55.67.6-0.2-0.70.40.31.4-0.72.72.72.7

연간하반기상반기 2004 년2003 년년도

민간소비 (%)

II.4. 금융지표 ( 계속 )

21

위협요인 발발時 경기침체 지속

가계부실 해결

경착륙

신용불량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 신용카드사 유동성위기 재연 ,

소비위축 가속 “ 신용불량자 양산 → 카드사 등 소매금융기관 부실화

카드채 상환압력 가중 → 신용카드사 유동성위기 재연 가계대출 회수 → 신용불량자 양산”의 악순환 고리 형성

신용불량자의 절반이 소비활동이 왕성한 10~30 대인 탓에 소비위축은 더욱 심화

북핵문제 악화

6 자회담 등 대화를 통한 해결방안이 무산될 경우 ,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북핵 사찰과 북한 체제보장 방식에 대한 공방이 치열 , 북한의 강경노선 ( 선 불가침 협정요구 ) 과 미국의 대북압박 ( 경제 및 군사 제재 ) 이 첨예하게 대립

정국불안17 대 총선을 전후한 정치 혼선이 가중되면서 ‘정치 및 정책 리스크’ 증폭 총선 이전에 여권 내부의 균열로 정치구도는 다당 체제로 재편 총선 결과에 관계없이 혼란 지속 진보세력이 승리하면 개혁

입법 강력 추진 , 야당이 선전하면 레임덕 가속화

II.5. 위협요인

22

위협요인 발발時 경기침체 지속대내외 Risk 가 중첩되어 발발하면 , 내년 경제는 침체상황 지속 수출회복에도 불구하고 , 국내불안으로 소비 , 투자 크게 위축 이익집단들의 ‘제 몫 찾기’와 ‘반기업 정서’ 확산

정치불안 등으로 문제 해결 지여 , 국정조정 리더십도 약화 부동산 가격 급등은 순차적 임금 인상 유발

한국의 대외신인도 하락 (Sell Korea)

-7,168

162

1,255

3월

-7,554

114

1,215

4월

-6,464

130

1,194

2월

6,880

85

1,206

5 월

19,9073,178외국인 순매수( 억원 )

71119Spread (bp)

1,1781,174대미달러환율( 원 / 달러 )

8월‘03년 1월

II.5. 위협요인 ( 계속 )

북핵문제와 Korea Discount

23

목 차결론 및 시사점

1. 경제전망의 이슈2. 경영의 시사점

III

24

경기 반등시기는 2004 년 상반기 이후 ?모멘텀의 회복이 Key

경제성장률 추세선 ( 잠재성장률 : Mean)

경기정책은 부양기조 재정정책은 유효 금융완화는 부작용

경기사이클의 평균 회귀的 (Mean Reverting) 성향

-8-404812

'90 '92 '94 '96 '98 '00 '02 '04p '05p

(%)

IV. 결론 및 시사점

25

경기 양극화 심화내수 경기국내 경기체감 경기

비 IT 업종중소기업

수출 경기세계 경기 지표 경기 IT 업종

대기업

VS.VS.

IV. 결론 및 시사점 ( 계속 )

26

본격적인 투자 회복 기대하기 어려움 설비투자 절대규모는 외환위기 이전 수준에 불과

설비투자율 14.9%(’95) → 12.9%(’00) → 10.7%(’02) → 10.0%(’03p)

공급과잉 ,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 불안한 노사관계 , 간접금융 축소 , 기업가 정신 약화 , 단기실적 위주의 주주 자본주의 ⇒ 성장잠재력 위축 대기업의 경영안정 , 규제완화 , 투명한 기업환경 , 미래 유망산업 발굴 , 과감한 R&D, 기회선점 ⇒ 투자재개

IV. 결론 및 시사점 ( 계속 )

27

Risk 에 대한 사전 대비 철저 보수적 관점에서 경영계획 수립

예기치 못한 사태 ( 과거 9.11 테러 , 사스 발발 등 ) 로 순식간에 불황 환 금리 주가 등의 ⋅ ⋅ Risk 를 체계적으로 관리 (Hedge 등 ) 신기술 새로운 경쟁자의 출현에 유의⋅

현장 중시 경영 조직원의 소외감 불식 공장 및 영업장 방문횟수를 크게 늘리고 , 사원의 고충을 즉시 접수 ⇒ 즉시 해결 , 해결기간명시 , 불가임을 명확히 고지

IV. 결론 및 시사점 ( 계속 )

28

기업들은 본연의 사업과 경쟁력 제고에 충실 정치적 상황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기업본연의 자세에 충실 경쟁력 창출의 1 차적 책임은 기업

중장기적 시야로 경쟁력 강화와 내재가치 향상에 주력 글로벌 역량 강화

세계시장 기회 선점과 미래 핵심 유망업종 발굴 투자는 미래에 대한 보험 CEO 의 비전과 리더십

개방적이고 투명한 기업경영과 기업윤리 준수 신뢰가 경쟁력 이해관계자들과 경영성과 공유

IV. 결론 및 시사점 ( 계속 )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