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la Gazette d’Agora 발행일 : 2015. 10. 30. 김소연, 강현정, 노주현, 이해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 프랑스학과의 월간 소식지 학회 <la Gazette d'Agora>는 프랑코포니 시리즈를 발행하여 프랑스학과 학생들, 특히 2014년 신설된 마그레브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프랑스어권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키고자 합니다. 또, 대부분의 프랑코포니 관련 자료가 원어로 되어있어 쉽게 접하지 못하던 1, 2학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4, 5 모로코 / p.11 아랍에미리트 | 12 이해수 p.6, 7 튀니지 / p.10 레바논 | 12 김소연 p.8, 9 알제리 / p. 11 카타르 | 10 강현정 p.10 모리타니아 / p.11 이집트 | 12 노주현 자료 : KOTRA 글로벌윈도우 국가정보 『북아프리카사』 공일주 저 외교부 국가개황 위키피디아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la Gazette d’Agora발행일 : 2015. 10. 30. 김소연, 강현정, 노주현, 이해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 프랑스학과의 월간 소식지 학회 <la Gazette d'Agora>는 프랑코포니 시리즈를 발행하여

프랑스학과 학생들, 특히 2014년 신설된 마그레브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프랑스어권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키고자 합니다.

또, 대부분의 프랑코포니 관련 자료가 원어로 되어있어 쉽게 접하지 못하던 1, 2학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4, 5 모로코 / p.11 아랍에미리트 | 12 이해수p.6, 7 튀니지 / p.10 레바논 | 12 김소연p.8, 9 알제리 / p. 11 카타르 | 10 강현정p.10 모리타니아 / p.11 이집트 | 12 노주현

자료 : KOTRA 글로벌윈도우 국가정보 『북아프리카사』 공일주 저 외교부 국가개황 위키피디아

Page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2- -3-

■ 프랑스어 사용국이며 OIF 회원국 : 모로코, 튀니지

■ 프랑스어 사용국이나 OIF 비가입국 : 알제리

■ 프랑스어 비사용국이나 OIF 회원국 : 이집트, 레바논

■ 프랑스어 비사용국이나 OIF 관련국 : 카타르

■ 프랑스어 비사용국이나 OIF 옵저버국 : 아랍에미리트

북아프리카, 중동 지역의 프랑코포니 국가

Page 3: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4- -5-

Maroc모로코Maroc

일반사항

자료 : EIU, IMF, KOTRA

국명

위치

면적

기후

수도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건국(독립)일

정부형태

모로코 왕국(Kingdom of Morocco)

아프리카 북서단

710,850㎢ (서사하라 지역 252,120㎢ 포함. 한반도의 약 3.2배)

지중해성(북부), 대륙성(중부), 사막성(남부)

라바트(Rabat)

3,259만 명

아랍인(60%), 베르베르인(36%), 기타(4%)

아랍어(공용어), 베르베르어(공용어), 프랑스어(상용어)

이슬람교(수니파 98.7%), 기독교, 유태교

1956년 3월 2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입헌군주제

경제지표

자료 : EIU, IMF, KOTRA

GDP

1인당 GDP

실질경제성장률

실업률

물가상승률

화폐단위

환율

산업구조

US$ 1,180억

US$ 5,251

3.7%

8.9%

2.0%

MAD(Morocco Dirham)

US$ 1 = 8.32MAD

서비스산업(51.2%), 제조업(32.2%), 농수산업(16.6%)

수출 : 인산염, 석유제품, 동, 가죽제품, 전자부품수입 : 원유, 자동차, 가스, 철강, 화학, 기계주요 교역품

◎ 프랑스와의 관계

- 모로코는 1912년, 프랑스와 스페인의 보호령이 된 이후 1934년까지 단계적으로 전 지역에 프랑스에 의해 평정되기에 이르렀다. 이 즈음 모로코에서는 프랑스 지배에 반대하는 민족주의 감정이 꿈틀거리기 시작했고 1943년 결성된 독립당(Istiqlal)은 민족주의 운동을 지원했던 무함마드 5세가 이끄는 입헌정부를 지지하면서 모로코의 완전 자유를 요구했다. 1952년 프랑스는 독립당(Istiqlal)당을 해산시키고, 1953년 8월에는 술탄 무하마드 5세를 폐위시켜 추방하여, 장로 이븐 아라파를 새 술탄으로 앉혔으나 거센 반발로 1955년 무장봉기가 발발하자 프랑스는 무하마드 5세를 귀국시켜 술탄에 복위하게 하였다. 이어 1956년 3월 공동선언을 발표하여 페스조약의 폐지와 모로코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그 해 4월에는 스페인도 보호령 지배를 포기하고 북부지방을 되돌려주었기 때문에 모로코 왕국이 정식으로 발족하게 되었다.

- 프랑스와 모로코는 과거 식민지 관계였다고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정치, 외교,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프랑스는 모로코 총 수출의 약 28%, 수입의 16%, 외국인 투자의 35.1%, 무상원조의 30%, 해외거주교민의 43%, 해외취업자송금의 63% 등을 점유하는 제 1의 교역국 이라는 확고한 위치에 있다.

- 미테랑 대통령 재임기간 중 모로코-프랑스 관계가 한 때 경직되기도 했으나 중도 우파인 시락 대통령 취임 후 관계가 강화되었다. 프랑스는 모로코의 고속철도 건설과 우라늄 추출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관련 협정 체결과 대규모의 사업투자 등 양국 관계는 매우 우호적인 상태에 있다.

- 프랑스이민통합국(OFII)는 1963년이후 2013년까지 모로코에서 프랑스로 이민자 수가 약 820,000명이며 매년 20,000 여명의 모로코-프랑스 이민자가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모로코로 떠나는 프랑스 퇴직자 수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간 4만 명 이상의 퇴직자가 모로코에 다녀가며 그 중 아예 모로코로 이주하는 퇴직자들 수도 점점 늘고있다.

- 프랑스와 모로코는 올해 1월 31일, ‘프랑스·모로코 사법합작협의’를 체결하는 등 상호협력체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 다른 프랑스어권 국가들과의 관계

- 모로코 대외정책의 기조는 비동맹 중립, 對마그레브권 건설, 아랍권 단결 및 아프리카의 단결과 서부 사하라의 영토 보전 및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모로코는 튀니지와 함께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했으나 서부 사하라 문제를 둘러싼 알제리와의 갈등 및 서방권의 대 리비아 제재 등으로 UMA는 유명무실화 상태에 있다. 현재 모로코는 외교부 장관 주도 하에 마그레브 청년 연합(Union des Jeunes Maghrébins)을 창설하는 등 마그레브 지역 재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이웃나라인 알제리와는 서부 사하라에서 스페인을 축출하기 위해 1967년 알제리, 모리타니아와 함께 서부 사하라 독립 운동을 지원했고 1969년 알제리에 분쟁 지역을 양보함으로서 우호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서부 사하라 영토 분쟁과 밀매 문제, 알제리 사주로 의심되는 모로코 호텔 습격 테러 사건 등으로 20년 이상 국경을 폐쇄하는 등 오랜 대립관계에 있다. 최근(2011년), 천연가스 공급계약을 체결하였고 현재 폐쇄되어 있는 육로의 개방을 논의하는 등 관계 복원을 위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양국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모로코는 이집트, 튀니지, 요르단과 2004년 아가딜 협정을 체결하여 지중해 아랍권 자유무역지대를 창설했다. (자세한 내용은 7p. 아가딜 협정 참조)

- 모로코는 또한 아프리카 국가로서의 일체성을 부각,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지원 및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코트디부아르, 가나, 세네갈 등 서부 사하라 이남 국가들과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Page 4: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6- -7-

튀니지TunisieTunisie

일반사항

자료 : EIU, IMF, KOTRA

국명

위치

면적

기후

수도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건국(독립)일

정부형태

튀니지 공화국(The Republic of Tunisia)

북부 아프리카 중앙 지중해 연안남쪽으로는 리비아, 서쪽으로는 알제리가 위치해 있음

162,155㎢ (한반도의 약 3/4 크기)

지중해성 기후, 사막성 기후

튀니스(Tunis)

1,113만 명

아랍인(98%), 유럽계(1%), 유태인 및 기타(1%)

아랍어(공용어), 프랑스어(상용어)

이슬람(98%), 카톨릭, 유대교

1956년 3월 20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공화제(분권형 대통령제)

경제지표

자료 : EIU, IMF, KOTRA

GDP

1인당 GDP

실질경제성장률

실업률

물가상승률

화폐단위

환율

산업구조

US$ 459억 6천 4백만

US$ 11,606

2.9%

15.9%

5.6%

TD(Tunisian Dinar)

US$ 1 = 1.98TD

서비스업(43.2%), 제조업(42.8%), 농업(1.2%), 관광(12.8%)

수출 : 섬유제품, 전자부품, 에너지, 가죽제품, 올리브오일수입 : 석유 및 부산물,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주요 교역품

◎ 프랑스와의 관계

- 1837년 즉위한 Ahmed Bey는 개혁 과정에서 과도한 재정을 낭비해 파산에 이르렀다. 이에 1868년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3국은 국제금융위원회를 조직, 튀니지의 재정을 장악하였고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영국의 사이프러스 지배를 인정하는 조건으로 프랑스는 유럽 열강들로부터 튀니지 지배를 승인받았다. 1883년 Al Marsa 조약으로 튀니지는 프랑스의 보호령(Protectorate)가 되었다. * Protectorate라는 용어는 당시 튀니지 주재 프랑스 행정관 Pierre Paul Cambon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로, 프랑스와 튀니지의

특수관계(보호관계)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20세기 초 시작된 튀니지의 민족운동과 세계적 탈식민지 추세에 힘입어 튀니지는 프랑스와 협상을 통해 1956년 3월 20일 독립을 성취했고 1957년 7월 25일 튀니지 독립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Bourguiba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 튀니지는 프랑스로부터 독립 이후에도 EU-남부 지중해 연안국 간의 협력체인 ‘바르셀로나 프로세스’ 및 지중해 연합의 일원으로서 프랑스가 속해있는 유럽연합과 경제·사회적 관계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 결과, 튀니지는 지중해 남단 국가들 중에서는 처음으로 EU와 기존의 경제협력협정을 뛰어넘는 광범위한 내용의 제휴협정(Association Agreement)를 체결하였고 2008년 1월에는 EU와의 FTA가 전면 발효되었다. - 튀니지는 또한 아프리카와 유럽을 잇는 위치에서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로의 불법이민 단속과 국경 및 치안 유지에 힘쓰고 있다. - 프랑스는 암묵적으로 튀니지의 긴급 위기시 구조 책임을 자임하며(1980 리비아 선동 저항군의 튀니지 공격시 프랑스 군함 파견 등) 튀니지 안보와 정세안정에 유의하고 있다.

◎ 다른 프랑스어권 국가들과의 관계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튀니지는 마그레브 지역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마그레브 공동체 설립을 주도적으로 제안하여 1989년 마그레브 연맹의 창설에 성공했다. 1989년 2월 마그레브 5국(튀니지,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모리타니아)은 지역 내 단일시장 창설을 목표로 설립된 아랍 마그레브 연합(Union du Maghreb Arabe : UMA)은 본부를 라바트에 두고 각국이 1년 임기의 순환 의장국을 맡고 있으며 現사무총장은 튀니지의 前외교부 장관 Habib Ben Yahia이다. 마그레브 연맹은 1994년 제 6차 정상회담을 끝으로 사실상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2000년대 초반 튀니지의 이니셔티브로 마그레브 블록 재활성화에 합의한 마그레브 5국은 자문이사회, 재판소, 마그레브 대학 및 과학 아카데미, 마그레브 투자무역은행 등 다양한 기구 및 단체를 창설했다.

- 튀니지는 60년대 초 알제리 독립전쟁 당시 프랑스와의 갈등을 무릅쓰며 튀니지 내 알제리 임시정부를 허용하고 후방보급기지로서 또는 게릴라전으로 알제리를 지원한 바 있으나, 양국은 알제리 독립 직후 국경 분쟁을 겪게 되었고 외교노선의 차이(튀니지는 친서방 노선, 대이스라엘 유화적 입장인 반면 알제리는 독립 직후 급진 아랍민족주의 성향을 보임)로 갈등을 빚게 되었다. 양국 관계는 모로코와 알제리의 사하라 분쟁 및 리비아의 튀니지 저항세력 선동으로 갈등을 거듭하다 1970년 국경조약을 체결하고 1983년 장기우호조약을 체결한 이래 안정적 관계에 들어섰다.

- 아가딜 협정 튀니지는 이집트, 모로코, 요르단 등 지중해 인접 국가들과 2004년 ‘아가딜 협정’을 체결하여 체결국 간에 모든 공산품과 농산품에 대한 관세를 즉시 철폐하고 수량 제한 등 비관세장벽도 제거하여 지중해 아랍권 4개국 간 자유무역지대가 창설될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5: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Algerie

-8- -9-

알제리Algerie

일반사항

자료 : EIU, IMF, KOTRA

국명

위치

면적

기후

수도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건국(독립)일

정부형태

알제리 인민민주주의공화국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Algeria)

북부 아프리카 지중해 연안모로코, 서사하라, 모리타니아, 말리, 니제르, 리비아, 튀니지 등 7개국과 접경

2,382,000㎢ (한반도의 약 10배, 아프리카 1위)

지중해성(북부), 대륙성 및 사막기후(남부)

알제(Algiers)

3,710만 명

아랍인(81%), 베르베르인(19%)

아랍어(공용어), 베르베르어(공용어), 프랑스어(상용어)

이슬람 수니파(98%), 기독교(2%)

1962년 7월 5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인민공화제 (5년 임기의 대통령 중심제)

경제지표

자료 : EIU, IMF, KOTRA

GDP

1인당 GDP

실질경제성장률

실업률

물가상승률

화폐단위

환율

산업구조

US$ 1,872억

US$ 4,741

2.6%

10.8%

8.5%

DZD(Algerian Dinar)

US$ 1 = 74.38DZD

수출 : 수입 :

주요 교역품

◎ 프랑스와의 관계

- 알제리는 1830년부터 프랑스에 식민지배를 받았다. 알제리는 1, 2차 세계대전 중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고 1939년 반(反)프랑스 정당을 결성하는 등 프랑스로부터 수차례 독립 시도를 했으나 알제리는 프랑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하고 포기할 수 없었던 식민지였기 때문에 독립이 쉽지 않았다.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부터 알제리 독립을 위한 각종 지하조직이 암약하였으며 아메드 벤 벨라(Ahmed Ben Bella)를 비롯한 6인의 지도자들은 1954년 11월 1일 민족해방전선(FLN)을 발족하고 프랑스 항쟁을 개시하였다. 이 민족해방전선이 주도하는 알제리의 對프랑스 독립전쟁(1954~1962)이 전개되었으며 알제리 전쟁의 영향으로 프랑스에서는 제 4공화국이 붕괴하고 샤를 드골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제 5공화국이 출범하였다. 드골 대통령은 알제리 민족주의 세력을 인정하고 1962년 3월 에비앙 합의를 통해 알제리는 독립하였다.

- 알제리 독립 이후 알제리와 프랑스의 관계는 다른 국가들보다는 불편한 관계로 남아있다. 자국에서 프랑스어가 널리 쓰이지만 알제리가 OIF(프랑스어권 국제기구)에 가입하지 않는 것도 양국 간의 다소 좋지 않은 관계를 확인시켜주는 사실 중 하나이다. 1975년 4월, 알제리 독립 이후 프랑스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지스카르 데스탕 대통령이 알제리를 방문했다. 그러나 이 방문은 표면상으로만 양국 국민 간의 화해의 자리를 마련했을 뿐이었다. 알제리 정부는 양국 간의 무역 불균형을 계속 초래하는 프랑스 경제정책을 비난했으며, 사하라 분쟁에서 모로코를 지지하는 프랑스를 배신자로 간주했다.

- 최근에는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가 한 모임에서 잘못 던진 농담 한마디로 프랑스-알제리 관계가 냉각될 위기였다고 르몽드지가 전했다. 올랑드는 2013년 12월 16일 프랑스 유대인 단체 대표자 회의(CRIF) 70주년 기념연설에서, 프랑스의 내무장관 마뉘엘 발스가 최근 알제리를 방문했다가, "무사히 돌아왔고 (sain et sauf)" " 이것이 이미 엄청난 것이다(C'est déjà beaucoup!)”라는 정치적 농담을 던졌다는 것이다. 이 사실이 알제리에 알려지자, 알제리 외무장관이 올랑드 대통령의 알제리 치안 상황에 대한 농담에 대한 불쾌감을 표현했고, 양국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유감을 표명했으며, 프랑스 야당 지도자들도 대통령의 농담을 비판했다.

- 그러나 올랑드 대통령은 알제리 방문 중 의회 연설을 통해 “프랑스의 식민지배가 알제리 국민들에게 가한 고통을 인정”하고 “132년간 이뤄진 프랑스의 알제리 식민 지배는 ‘부당하고 잔혹했다”고 말해 그간 프랑스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는 민간인 학살과 같은 어두운 역사에 대해 시인하며 긴장과 반목 투성이였던 두 나라의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경제, 문화, 국방 등 다방면에 걸쳐 양국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다른 프랑스어권 국가들과의 관계

- 알제리는 마그레브 지역 내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1969년 1월 알제리의 부메디엔 대통령은 모로코의 하산 국왕과 회담을 갖기 위해 모로코를 처음으로 공식 방문했으며 1970년 5월에는 오랫동안 끌어 온 국경분쟁을 해결하고 북아프리카에 스페인군이 주둔하는 문제에 관해 상호협력하기로 약속한 합의서에 양국이 서명했다(그러나 모로코와의 국경 분쟁은 아직 해결되지 못한 상태이다). 모리타니아와는 1969년에 친선협정을 맺었으며, 1970년에는 튀니지와 공동국경 구역에 합의하는 우호조약을 체결했다.

- 최근 알제리의 인근국 관계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아와는 서부 사하라 분쟁으로 소원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지만 튀니지와 리비아와는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알제리는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에는 가입했으나 ‘아가딜 협정’(p.7 참조)에는 참여하지 않고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이 지중해 연안의 마그레브 국가들과 중동 국가들에 제안한 ’지중해 연합’에도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석유가스산업(34.7%), 공공서비스업(13.5%), 농업(8.4%), 제조업(5.0%), 기타(6.1%)

원유, 가스, 정유제품자본재, 식료품, 석유개발관련설비, 반제품

Page 6: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아래 세 나라는 과거 프랑스 식민지도 아니었고 프랑스어가 상용화된 국가도 아니지만 OIF 가입국이다.OIF 가입시 받게 될 혜택이 명시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국가가 가입한 이유는 OIF 가입을통해 프랑스, 프랑스어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11--10-

- 1440년대에 포르투갈이 내항하면서 처음으로 서양 세력이 유입되었고 17세기에는 영국과 프랑스도 해안까지 들어왔다. 1695년 프랑스가 세네갈 강 하구의 생루이에 식민지를 만들었고 그 후 프랑스는 1814년 파리조약으로 모리타니아 해안지역을 개발하고 지배권을 장악하였다. 식민지배를 받던 모리타니아는 2차 대전 후 1959년 자치령이 되었고 1960년 11월 28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 1979년부터 1991년까지는 서부 사하라 문제로 모로코, 알제리(서부 사하라 독립을 주장하는 폴리사리오 전선에 알제리가 30년 이상 무기, 군사훈련, 자금, 음식 등을 꾸준히 원조하며 무조건적인 지원을 행하고 있기 때문)와 갈등을 겪었으나 1991년, 모리타니아가 서부 사하라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면서 갈등이 해소되었다.

- 1801년에 나폴레옹이 이집트원정을 실시한 이래 이집트에서는 프랑스어가 문화언어, 과학언어로서 널리 사용되었는데 현재에도 이집트에서는 프랑스어가 영어에 이어 가장 중요한 외국어로 자리잡고 있다.

- 프랑스어권 국제기구(OIF) 초대사무총장은 이집트의 정치인 부트로스 갈리이다. 부트로스 갈리는 아프리카·아랍권 출신의 첫 UN 사무총장이기도 하다.

모리타니아MauritanieMauritanie

이집트EgyptEgypt

아랍에미리트UAEUAE

카타르QatarQatar

레바논LibanLiban

- 제 1차 세계대전 종전 후 오토만 제국의 붕괴로 1911년, 프랑스가 레바논과 시리아 일대를 점령하게 되었다. 1920년 9월에는 프랑스에 의해 The State of Greater Lebanon이 수립되었고 이를 통해 이전의 자치구 및 트리폴리, 시돈, 티레, 베이루트 등이 통합되어 현재의 레바논 국경으로 확정되었다. 레바논은 1943년 11월 22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 레바논은 전통적으로 시리아의 영향 하에 있어왔고 시리아 및 아랍우선정책을 대외정책 기조로 해 왔으나 자국을 시리아로부터 분리 독립시킨 프랑스와도 전통적 우호협력관계를 지속해왔다. 특히 레바논 내 기독교 세력은 프랑스와의 관계 강화를 중시한다.

그 외 OIF 가입국가들

- 프랑스와 아랍에미리트는 프랑스가 아랍에미리트에 군사기지를 건설하는 내용의 군사협력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협정에 따라 걸프지역 최초로 프랑스 군기지가 만들어지고 이 곳에 4~500명의 프랑스 군병력이 주둔하게 되었다.

- 카타르는 다른 중동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로부터 무기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 올해 5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프랑스의 라팔 전투기 판매 계약 체결식에 참석했다. 카타르는 이 계약을 통해 프랑스 전투기 36대를 구입했으며 이 계약에는 조종사, 정비사 훈련 등 정보 공유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프랑스는 자국의 항공기 개발 및 생산 그룹 다쏘(Dassault)社 제품을 중동 국가들에 팔기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