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ISSN 1225-1682 (Print)ISSN 2287-9293 (Online) 대한골절학회지 제 28 권, 제 1 호, 2015년 1월 J Korean Fract Soc 2015;28(1):93-101 http://dx.doi.org/10.12671/jkfs.2015.28.1.93 Review Article 93 Copyright 2015 The Korean Fractur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eun-Bae Lee, M.D., Ph.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 82-62-220-6336Fax: 82-62-225-7794 E-mail: [email protected]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급성 구획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이근배 이승훈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Keun-Bae Lee, M.D., Ph.D. , Seung-Hun Lee,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급성 구획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은 폐쇄 된 골건막 구획 내의 조직압 증가로 인해 구획 내 조직으 로의 미세혈액 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로서 모세혈관 순환이 조직 생존에 필요한 정도 이하로 저하된 상태이 다. 1,2) 이는 1881년 Volkmann 3) 이 처음으로 외상 후 너무 꽉 끼는 붕대나 석고가 원인이 되어 근육과 신경의 괴사가 발생함을 보고한 이래 여러 저자들에 의해 구획증후군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강조되어 왔다. 4,5) 급성 구획증후군은 연관된 비슷한 증상들과의 감별이 필 요하므로 용어의 정확한 의미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구획증후군은 일정 시간 동안 감압 없이 구획 내의 조직압 이 증가하여 조직의 허혈과 괴사를 일으키는 상태이다. 볼 크만 허혈성 구축(Volkmann ischemic contracture)은 급성 구획증후군을 치료하지 못하여 근육 괴사 및 허혈성 구축 까지 발생한 마지막 단계의 상태이다. 운동성 구획증후군 은 운동하는 동안 구획 내의 조직압이 증가하여 허혈, 통 증, 드물게는 신경 증상까지 유발하는 상태로서 휴식 시 증상이 호전되고, 운동 시 증상이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압궤증후군(crush syndrome)은 근육 괴사로 인한 신부전, 쇼크, 부정맥 등의 전신적인 증상을 의미한다. 6) 급성 구획증후군은 정형외과적 응급 상황의 하나로, 탄 력이 없는 구획 내에 압력이 일단 증가되면 저절로 압력이 정상화되기는 어려우며 그 상태로 수시간 이상 지속되면 점차 근육과 신경의 기능이 저하된다. 6시간이 넘으면 근 육에, 12시간이 넘으면 신경에 비가역적인 변화가 나타나 영구적인 기능 장애와 구축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7,8) 따라 서 조기 진단과 감압으로 빨리 모세혈관 순환을 회복시켜 야 한다. 8) 1. 원인 급성 구획증후군은 빈도가 비교적 드물고 원인이 다양하 여 골절, 동맥 손상, 신경 좌상, 봉와직염, 사교상(snake bite) 등과 혼동되기 쉬우며 응급 수술을 요하므로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6) 구획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골절이며(약 69%), 이

급성 구획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 KoreaMed...Foot fracture Ankle fracture Pelvic fracture Humeral shaft fracture 36.0 23.2 9.8 7.9 7.9 3.0 3.0 2.5 2.5 1.8 0.6 0.6 0.6 Table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ISSN 1225-1682 (Print)⋅ISSN 2287-9293 (Online)대한골절학회지 제 28 권, 제 1 호, 2015년 1월J Korean Fract Soc 2015;28(1):93-101http://dx.doi.org/10.12671/jkfs.2015.28.1.93

■ Review Article ■

93

Copyright ⓒ 2015 The Korean Fracture Society. All rights reserved.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eun-Bae Lee, M.D., Ph.D.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01-757, KoreaTel: 82-62-220-6336ㆍFax: 82-62-225-7794E-mail: [email protected]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급성 구획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이근배 ⋅이승훈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Keun-Bae Lee, M.D., Ph.D. , Seung-Hun Lee,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서 론

급성 구획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은 폐쇄

된 골건막 구획 내의 조직압 증가로 인해 구획 내 조직으

로의 미세혈액 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로서 모세혈관

순환이 조직 생존에 필요한 정도 이하로 저하된 상태이

다.1,2) 이는 1881년 Volkmann3)이 처음으로 외상 후 너무

꽉 끼는 붕대나 석고가 원인이 되어 근육과 신경의 괴사가

발생함을 보고한 이래 여러 저자들에 의해 구획증후군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강조되어 왔다.4,5)

급성 구획증후군은 연관된 비슷한 증상들과의 감별이 필

요하므로 용어의 정확한 의미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구획증후군은 일정 시간 동안 감압 없이 구획 내의 조직압

이 증가하여 조직의 허혈과 괴사를 일으키는 상태이다. 볼

크만 허혈성 구축(Volkmann ischemic contracture)은 급성

구획증후군을 치료하지 못하여 근육 괴사 및 허혈성 구축

까지 발생한 마지막 단계의 상태이다. 운동성 구획증후군

은 운동하는 동안 구획 내의 조직압이 증가하여 허혈, 통

증, 드물게는 신경 증상까지 유발하는 상태로서 휴식 시

증상이 호전되고, 운동 시 증상이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압궤증후군(crush syndrome)은 근육 괴사로 인한 신부전,

쇼크, 부정맥 등의 전신적인 증상을 의미한다.6)

급성 구획증후군은 정형외과적 응급 상황의 하나로, 탄

력이 없는 구획 내에 압력이 일단 증가되면 저절로 압력이

정상화되기는 어려우며 그 상태로 수시간 이상 지속되면

점차 근육과 신경의 기능이 저하된다. 6시간이 넘으면 근

육에, 12시간이 넘으면 신경에 비가역적인 변화가 나타나

영구적인 기능 장애와 구축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7,8)

따라

서 조기 진단과 감압으로 빨리 모세혈관 순환을 회복시켜

야 한다.8)

본 론

1. 원인

급성 구획증후군은 빈도가 비교적 드물고 원인이 다양하

여 골절, 동맥 손상, 신경 좌상, 봉와직염, 사교상(snake

bite) 등과 혼동되기 쉬우며 응급 수술을 요하므로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6)

구획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골절이며(약 69%), 이

94 Keun-Bae Lee and Seung-Hun Lee

Table 1. Causes Associated with Trauma Causing Acute Compartment Syndrome9)

Causes Cases (%)

Tibial shaft fractureSoft tissue injuryDistal radius fractureCrush syndromeForearm shaft fracture Femoral shaft fractureTibial plateau fractureHand fractureTibial pilon fracturesFoot fractureAnkle fracturePelvic fractureHumeral shaft fracture

36.023.2 9.8 7.9 7.9 3.0 3.0 2.5 2.5 1.8 0.6 0.6 0.6

Table 2. Conditions Causing Acute Compartment Syndrome9)

1) Causes increasing the volume of compartment contents -Fracture -Soft tissue injury -Crush syndrome -Revascularization -Exercise -Fluid infusion (including arthroscopy) -Arterial puncture -Ruptured ganglia/cysts -Osteotomy -Snake bite2) Causes reducing the volume of compartment contents -Burns -Repair of muscle hernia3) Medical comorbidity -Diabetes -Hypothyroidism -Bleeding tendency (anti-platelet medication)

중 가장 흔한 골절은 경골의 간부 골절로 약 36%를 차지

한다(Table 1).9,10) 또한 경골의 간부 골절 중 2.7%-15%에

서 구획 증후군이 발생한다.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은 연부

조직 손상으로 경골 간부 골절과 동반될 때 발생률은 크게

증가한다. 이외에도 출혈성 질환, 화상, 혈관 수술 후, 운

동 후, 약물 복용이나 과음 후, 꽉 끼는 붕대, 지속적인 지

체 압박, 정맥이나 림프선 차단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

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ble 2).9,11-13)

또한, 젊은 청소년 환자에서 구획증후군의 위험도는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35세

미만인 경우에 위험도가 3배 정도 높으며, 원위 요골 골절

에서는 고령의 환자에서 발병률이 35배 더 낮다고 하였

다.14)

1,403명의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160명의 급성

구획증후군 환자를 조사한 결과 발병의 중요 위험 요인이

청년(youth)과 남성이었다는 보고가 있다.15)

이 연구에 의

하면, 청년은 성별에 관계없이 급성 구획증후군 발병의 중

요한 위험요인이었으며, 20대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6배

더 많이 발생하였다.15)

고 에너지 손상일수록 일반적으로 빈도는 높아진다고 하

나, 경골 간부 골절의 경우 고 에너지와 저 에너지에서 발

생률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16)

이는 저 에너

지 골절의 경우 근막의 파열에 의한 자동 감압(auto-de-

compression)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며, Gustilo 3

형과 같은 심한 개방성 골절의 경우 근막의 손상으로 구획

의 경계가 소실됨에 따라 Gustilo 1, 2형의 개방성 골절보

다 구획증후군의 가능성이 작아지기 때문이다.13,16) 하지만

개방성 골절에서도 모든 구획이 다 개방되는 것은 아니므

로 여전히 주의를 요한다.

나이가 젊은 환자에서 고 에너지 손상과 관련된 원위 요

골 골절과 전완부 간부 골절은 급성 구획증후군이 발생하

기 쉬운데, 이는 젊은 환자일수록 근육의 부피가 커서 손

상 후 근육의 부종에 견딜 공간이 작기 때문으로 해석된

다. 반면, 고령의 환자는 근육의 부피가 작아 부종에 견딜

공간이 넓기 때문에 발생률이 낮은 것이다.

급성 구획증후군의 발생과 진단 지연의 위험 인자로는

인구학적 요소와 통증 인지의 변화(altered pain percep-

tion)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인구학적 요소로는 청소년, 경

골 골절, 고에너지 전완부 골절, 고에너지 대퇴골 골간단

골절, 출혈성 소인 및 항응고제 복용, 수혈이 필요하거나

높은 염기 부족 또는 높은 젖산 농도를 갖는 다발성 외상

환자 등이 있으며, 통증 인지의 변화로는 의식 저하 상태,

부분 마취 상태,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 상태(patient-con-

trolled analgesia), 소아 또는 연관된 신경 손상 등이 있

다.17)

2. 병태 생리

구획증후군의 병태 생리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

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다. 먼저,

경벽압(transmural pressure, 혈관 내 압력과 조직압의 차

이) 이론은 조직압이 증가하여 경벽압이 감소하면 혈관벽

의 탄력 섬유가 더이상 늘어나지 못해 혈관이 닫히게 된다

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동-정맥 차이 이론(arteriovenous

gradient theory)으로 조직압이 증가하면 국소 동-정맥 사이

의 압력 차이가 감소되어 국소 조직으로의 혈류가 감소된

다는 것이다. 혈류가 조직에 필요한 최소한의 대사 기능을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95

유지해주지 못하는 수준으로 감소하면 기능적 이상이 발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혈관 연축과 쇼크로 세동맥압의

감소가 발생하면 말단 세동맥의 폐쇄를 일으켜 조직으로의

관류가 감소된다는 모세혈관 닫힘 이론(microvascular oc-

clusion theory)이다.18)

구획증후군에서 혈류가 감소되면 근골격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는데, 근육이 허혈에 가장 약하므로 먼저

손상을 받게 된다. 조직압(구획압, intracompartmental

pressure)은 평균 동맥압보다 25-30 mmHg 더 낮은 것이

정상이므로19,20)

조직압이 상승하여 평균 동맥압과의 차이가

30 mmHg 이하가 되면 근육의 허혈이 발생하고 괴사를 초

래하게 된다.21-23)

정상적인 혈류를 보이는 구획증후군 실험

모델에서 조직압이 30 mmHg 이상으로 8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심각한 근육 괴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4,25)

구획증후군은 신경과 골에도 영향을 미친다.26,27)

개를 이

용한 동물 실험에서 40 mmHg의 압력을 14시간 이상 지속

할 경우 신경 전도는 억제되지 않았으나, 50 mmHg의 압

력에서는 7시간 이내에 신경 전도가 억제되었으며,19,20)

40-80 mmHg의 압력 상태가 12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영구적인 신경변화가 나타났다.28,29) 또한 골의 불유합이 발

생할 수 있는데 이는 근육의 허혈이 장관골의 치유에 필요

한 골막 외 혈류 공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3. 진단

1) 임상적 진단

구획증후군의 증상으로 통증(pain), 이상감각(paresthesia),

마비(paralysis), 부종(palpable swelling), 맥박소실(pulsele-

ssness) 등의 ‘5P 징후’가 있다. 통증(pain)은 급성 구획증

후군에서 가장 처음 나타나는 증상으로 위음성이 많아 급

성 구획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19%의 민감도와 97%의 특이

도를 보인다.29)

통증은 정도의 차이가 다양하며 단순히 고

정한다고 하여 완화되지 않고 붕대나 석고를 감으면 더 악

화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통증이 진단에 혼란을 가져다

주는 경우가 있는데 신경 손상이 있을 경우 통증이 없을

수도 있으며 심부 후측 구획의 병변인 경우 아주 적을 수

도 있다. 또한 아이들의 경우 통증의 정도를 제대로 표현

하지 못하고 불안, 주의산만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

으며,30,31)

족부에 발생한 구획증후군은 통증 등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32,33) 근육의 수동적

신연 시 발생하는 통증은 급성 구획증후군의 특징적인 증

상이다. 예를 들어 전방 구획증후군에서 발가락을 족저 굴

곡을 시행하면 통증이 증가한다. 하지만 휴식 시 통증과

수동적 신연 시 통증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비슷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1)

이상 감각과 감각 저하는 이환된 구획을 지나가는 신경

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경 허혈의 첫 증상이

다. 하지만 신경 손상이 동반된 경우가 많으므로 민감도가

높지는 않다(13%).31,34)

근육의 마비는 비교적 나중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근육

의 마비는 연관된 신경 손상, 통증에 의한 운동 감소, 근육

의 직접 손상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운동 약화가 발생하면 완전 회복은 드물

다.35-37)

조직 내 압력 증가로 인해 팽팽히 부어오른 부종은 정확

히 측정하기 어렵고 매우 주관적인 징후이나 구획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소견이다. 이 팽팽함은 손상 부

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구획 전역에 걸쳐 나타나며 그 위의

피부는 반들거리고 따뜻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말초부 맥박은 주요 동맥 손상이 있거나 절단을 피할 수

없을 정도의 구획증후군의 말기 상태가 아니라면 대부분

만져진다. 만약 급성구획증후군이 의심되고 맥박이 소실된

다면 반드시 동맥 조영술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말초부

맥박이 있다고 하여 급성 구획증후군을 진단에서 제외해서

는 안된다.

임상적 증상과 징후는 급성 구획증후군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으로서 이를 통하여 90% 이상에서 진

단 가능하며,31) 급성 구획증후군의 예후는 빠른 진단과 적

절한 처치에 달려있으므로 의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

서 급성 구획증후군의 원인들과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 대

해 정확히 인지하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환자의 임

상적 증상과 징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구획압(intracompartmental pressure) 측정

급성 구획증후군에서 구획압은 임상 증상 또는 징후 전

에 증가하므로 이의 확인은 진단에 도움을 준다. 급성 구

획증후군이 의심되지만 임상적 증상이 불분명하거나 신경

손상 혹은 의식 불명의 환자에서 적절한 신체적 검진을 시

행하지 못할 때 구획압을 측정할 수 있다. 가장 흔히 이용

되는 방법은 바늘을 국소 구획에 찌르고 생리 식염수를 조

금씩 주입하면서 압력을 혈압계로 측정하는 Whitesides 방

법이다(Fig. 1).9)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

나 수액이 구획 내로 과도하게 들어가면 오히려 구획증후

군을 조장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

다는 단점도 있다. 처음에는 피하 주사침을 사용하였으나

Wick catheter (Fig. 2),38)

Slit catheter39)

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었으며 지속적인 구획압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5,7)

최근에는 더 쉽고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한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Synthes사의 휴대용

구획압 측정기(Synthes, West Chester, PA, USA), Stryker사

96 Keun-Bae Lee and Seung-Hun Lee

Fig. 1. Technique of Whitesides et al. for determination of tissue pressure. Tissue pressure is measured using an arterial line manometer and three-way stopcock apparatus.9)

Fig. 2. Technique of monitoring compartment pressures using a wick catheter.

의 구획압 측정기(Stryker Orthopaedics, Kalamazoo, MI,

USA) 등이 있다. 구획압 측정 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하

퇴부의 경우 주로 전방 구획에서 측정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지만,40)

구획증후군은 모든 구획에서 다 발생할 수 있으

므로 의심이 되는 모든 구획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심부

후방 구획의 급성 구획증후군은 간과하기 쉬우므로 전방

구획과 같이 압력을 측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급성

구획증후군이 발생한 구획에서 최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골절 부위의 5 cm 이내에서 최대값

이 측정된다.

구획압 상승 정도에 따라 Whitesides 등41)

은 needle 방

법으로 45 mmHg, Mubarak 등1)은 Wick catheter 방법으

로 30 mmHg 이상의 압력 증가는 근막 절개술의 적응증이

된다고 하였다.

4. 치료

급성 구획증후군의 치료는 응급을 요하며 그 진행을 막

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일차적으로 외상 후

환자의 전신적인 회복을 도모하여야 하며, 이후 구획증후

군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콜로이드, 정질액

(crystalloid fluid), 전혈, 혈소판 수혈 등을 통해 구획증후

군의 진행에 기여할 수 있는 혈액 응고 장애, 저혈압 등의

원인들을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환자의 저혈압 상태

는 혈액 투과압력을 낮춰 허혈성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42)

꽉 조이는 석고 붕대, 솜붕대 및 스타키네트(stockinet)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조직압을 50%-85%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사지의 위치 또한 중요한데 구획증후군에 있어서 이

환된 사지를 심장 높이에 두는 것이 동정맥 압력 차이를

가장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사지가 높게 유지되면 큰 차이

없이 유지되는 정맥압에 비해 동맥압이 감소하여 조직의

허혈이 유발될 수 있다.43)

급성 구획증후군의 치료의 핵심

은 이러한 전반적인 처치와 더불어 적절한 감압술이다. 예

방이 치료의 최선의 방법이므로, 미래 연구 방향에 있어서,

구획압을 줄이기 위한 고장성 수액을 정맥 내로 주입하는

방법 등의 여러 가지 치료들이 시도되었으나 임상적으로 성

공한 적은 없으며,44)

조직 한외여과(ultrafiltration)를 이용한

인체실험에서 구획압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는 정도이

다.45)

1) 근막 절개술(fasciotomy)

Fig. 3은 급성 구획증후군의 치료 알고리즘을 정리한 것

이다.46) 정상적인 구획압은 0-10 mmHg 이내이며, 일반적

으로 구획압이 30 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과 구획

압의 차이가 30 mmHg 이내라면 근막 절개술이 권유된

다.47,48) 또한 적절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구획압을 다시 측정해봐야 하며, 조직압이 애매

한 경우에는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치료

가 늦어져 구획증후군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는 구획 내

근육들과 신경 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며 괴사된 조직들이

반흔 조직으로 서서히 치환되어 근육의 수축, 이완 기능이

없어지고 관절 구축과 강직이 초래되는데 이 경우 사지의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97

Fig. 4. A cross section of the thigh showing the three compartments. The arrows show the approach for three compartment fasciotomy.9) A: Anterior, Ad: Adductor, P: Posterior.

Fig. 3. Algorithm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of the lower leg after tibial fracture.46)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압술을 시행할 땐 감염을 막기 위해 괴사된 조직을 절

제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가능한 구획 내의 모든 근육을 확

인하여 근육의 생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부에 제한된 근막 절개술이나 피하절개 근막 절개술은 추

천되지 않으며 피부절개는 이환된 구획의 전체에 걸쳐 이

뤄져야 한다.

(1) 대퇴부

대퇴부 구획은 공간이 넓어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도

혈액 순환이 유지될 수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대퇴부 구획

내 근육들이 둔부의 근육들과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하퇴

부나 전완부에 비해 구획증후군의 빈도는 흔하지 않다. 가

장 흔한 원인은 둔상(blunt trauma with or without frac-

ture)과 혈관 손상이다. 대퇴부는 대퇴근막(fascia lata)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측과 외측 근육격벽(intermuscular sep-

tum)으로 나뉘는 3개의 구획(전방, 후방, 내전근)으로 이루

어져 있고, 이 중 전방 구획에 발생이 가장 많으며, 내전근

구획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전방 구획의 구조물로

는 대퇴 사두근, 봉공근, 대퇴 신경 등이 있으며, 증상은

슬관절의 수동적 굴곡 시 통증, 내측 하퇴부 및 내측 족지

의 감각 이상, 슬관절 신전 약화 등이다. 후방 구획에는

슬와근과 좌골 신경이 포함되어 있고, 슬관절의 수동적 신

전시 통증과 슬관절 굴곡 약화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내

전근 구획에는 내전근과 폐쇄 신경이 있고, 수동적 고관절

외전 시 통증과 고관절 내전의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

다.9) 근막 절개술 시 구획 접근 경로는 Fig. 4와 같다.

9)

(2) 하퇴부

하퇴부는 4개의 구획(전방, 외측, 표재 후방, 심부 후방)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획에 포함되어 있는 근육과 구

획증후군 시 침범 구획에 따른 증상은 Table 39)과 같다.

근막 절개술 시 구획 접근 경로는 Fig. 5와 같으며, 4개의

구획을 모두 감압시키기 위하여 2개의 절개를 통한 감압이

널리 사용된다.9) 단일 절개법으로도 4구획 모두 접근할 수

있으나, 이중 절개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

져 있다.40,49,50)

전방과 외측은 가장 많이 이환되는 부위로

측면 절개를 통하여 근육 격벽을 열어야 한다. 후방 구획,

특히 심부 후방 구획은 두 번째로 흔한 이환 부위이며 경

골 후내측면에서 절개하여 감압한다. 외측 절개를 이용한

단일 절개술을 시행할 경우 전방 및 외측 구획은 쉽게 절

개가 가능하며,48)

비골근을 전방으로 견인하면 표재 후방

구획을 덮고 있는 후방 근육 격벽을 노출시킬 수 있다. 심

부 후방 구획은 비골의 후외방 경계 바로 뒤로 절개를 가

98 Keun-Bae Lee and Seung-Hun Lee

Fig. 5. A cross section of the leg showing the four compartments. The arrows show the routes for double incision of four compartment fasciotomy to decompress the compartment syndrome.9) A: Anterior compartment, DP: Deep posterior compartment, L: Lateral compartment, SP: Superficial posterior compartment.

Table 3. Compartments, Contents, and Clinical Signs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of the Leg9)

Compartment Contents Signs

Anterior Lateral Superficial posterior Deep posterior

Tibialis anteriorExtensor digitorum longusExtensor hallucis longusPeroneus tertiusDeep peroneal nerve and vesselsPeroneus longusPeroneus brevisSuperficial peroneal nerveGastrocnemiusSoleusPlantarisSural nerveTibialis posteriorFlexor digitorum longusFlexor hallucis longusPosterior tibial nerve

Pain on passive ankle/toes flexionNumbness(1st web space)Ankle/toe extension weakness Pain on passive foot inversionNumbness (foot dorsum)Foot eversion weakness Pain on passive ankle extensionNumbness (dorsolateral foot) Pain on passive ankle/toe extension, foot eversionNumbness (foot sole)Toe/ankle flexion, foot inversion weakness

하면 접근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하퇴부의 급성 구획증후군은 경골의 골절과 관

련이 있으며, 남성과 55세 미만의 젊은 연령에서 자주 발

생하고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고령의 외상 환자에서도 호발

한다고 알려져 있다.

2) 근막 절개술 후 창상 치료

근막 절개술 후에 창상은 48시간 이내에 다시 구획압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봉합해서는 안되며, 개방한 채로 무균

드레싱을 시행하여야 한다. 절개술 후 2-3일 후에 추가적인

괴사조직의 제거술을 시행하여 깨끗해질 때까지 반복하고,

이차적 봉합을 시행할 수 있다. 이차적 봉합이 힘들 경우에

는 순차적인 상처 봉합술(dermatotraction or gradual clo-

sure techniques)을 이용하면 피부이식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Fig. 6). 또한, 최근 음압 치료(vacuum assisted clo-

sure)의 도입으로 피부이식의 빈도와 합병증을 줄일 수 있

게 되었다.51,52)

3) 동반 골절의 치료

구획증후군과 동반된 골절은 근막 절개술 시행 시 함께

치료하여야 한다(Fig. 7). 견인술은 후방구획의 압력을 증

가시킬 수 있으며, 대퇴부의 핀의 잘못된 위치, 90-90 견인

술과 같은 하지의 거상 역시 구획압 증가의 악화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구획증후군의 치료가 골절

치료 자체의 큰 원칙을 변화시킬 이유는 없다. 근막 절개

술이 기본적으로 골절 치료에 앞서 시행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연부조직에 대한 용이한 접근과 보호를 도모할 수 있

다. 확공성 골수내정은 구획증후군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53) 구획 증후군이 동반된 하지 골절의 경우에

는 비확공성 골수내정이 추천된다.

5. 합병증

초기 진단이 지연되는 것이 치료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이

며, 적절히 치료될 경우에 급성 구획증후군의 합병증은 드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99

Fig. 7. A 47-year-old male patient with a tibiofibular shaft fracture (A) showed a severe swelling around the lower leg (B). Double incision fasciotomy by anterolateral (C) and posteromedial (D) approach was performed with temporary external fixation (E).

Fig. 6. Delayed primary closure after lateral single fasciotomy of the leg with vessel loop shoelace technique at preoperative (A) and postoperative 2 days (B), 6 days (C), and 10 days (D).

물다. 하지만, 근막 절개술이 6시간 이상 늦어지면 근육

구축, 근무력, 감각 소실, 감염, 골절의 불유합 등의 심각

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감염이나

기능 소실 등으로 절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진단이 늦어

진 경우에서 감압술의 역할은 논란이 있다. 폐쇄성 압궤

손상으로 완전한 근육 괴사가 예상된다면 감압술은 필요치

않으나, 진단이 늦어진 경우라도 근육괴사가 일부 의심되

고 구획압 증가 소견이 있다면 생존 근육을 살리기 위한

감압술 및 괴사된 조직의 절제술이 필요하다.

결 론

급성 구획증후군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

면 심각한 기능장애를 남길 수 있는 정형외과적 응급 상황

의 하나이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빠른 감압으로 혈액 순

환을 회복시키는 것이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 발생

가능한 원인과 상황을 잘 인지하고 환자의 임상적 증상을

세심히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하지 골절 환자, 특

히 젊은 남자 환자의 경골 간부 골절에서 구획 증후군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며, 의식이 없는 환자나 소아 환자, 그

100 Keun-Bae Lee and Seung-Hun Lee

리고 위험인자가 많은 환자들에서도 구획증후군에 대한 면

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References

1) Mubarak SJ, Hargens AR, Owen CA, Garetto LP,

Akeson WH: The wick catheter technique for measure-

ment of intramuscular pressure. A new research and clin-

ical tool. J Bone Joint Surg Am, 58: 1016-1020, 1976.

2) Matsen FA 3rd: Compartmental syndrome. An unified

concept. Clin Orthop Relat Res, (113): 8-14, 1975.

3) Volkmann R: Die ischaemischem Muskellamungen und

Kontrakturen. Zentralbl Chir, 8: 801, 1881.

4) Holden CE: The pathology and prevention of Volkmann's

ischaemic contracture. J Bone Joint Surg Br, 61: 296-300,

1979.

5) Seddon HJ: Volkmann's ischaemia in the lower limb. J

Bone Joint Surg Br, 48: 627-636, 1966.

6) McQueen MM: Acute compartment syndrome. In:

Court-Brown CM, Heckman JD, McQueen MM, Ricci

WM, Tornetta P ed. Rockwood and Green's fractures in

adults. 8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

895-913, 2014.

7) Uliasz A, Ishida JT, Fleming JK, Yamamoto LG:

Comparing the methods of measuring compartment pres-

sures in acute compartment syndrome. Am J Emerg Med,

21: 143-145, 2003.

8) Whitesides TE, Heckman MM: Acute compartment syn-

drome: update on diagnosis and treatment. J Am Acad

Orthop Surg, 4: 209-218, 1996.

9) The Korean Fracture Society: Principles of fracture

management. 1st ed. Seoul, Pan Mun Education: 2013.

10) Finkemeier CG, Schmidt AH, Kyle RF, Templeman

DC, Varecka TF: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in-

tramedullary nails inserted with and without reaming for

the treatment of open and closed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J Orthop Trauma, 14: 187-193, 2000.

11) Ritenour AE, Dorlac WC, Fang R, et al: Complications

after fasciotomy revision and delayed compartment release

in combat patients. J Trauma, 64: S153-S161, 2008.

12) Ebraheim NA, Hoeflinger MJ, Savolaine ER, Jackson

WT: Anterior compartment syndrome of the thigh as a

complication of blunt trauma in a patient on prolonged an-

ticoagulation therapy. Clin Orthop Relat Res, (263):

180-184, 1991.

13) McQueen MM, Gaston P, Court-Brown CM: Acute

compartment syndrome. Who is at risk? J Bone Joint Surg

Br, 82: 200-203, 2000.

14) Fitzgerald AM, Gaston P, Wilson Y, Quaba A,

McQueen MM: Long-term sequelae of fasciotomy

wounds. Br J Plast Surg, 53: 690-693, 2000.

15) Hope MJ, McQueen MM: Acute compartment syndrome

in the absence of fracture. J Orthop Trauma, 18: 220-224, 2004.

16) Court-Brown CM, McBirnie J: The epidemiology of ti-

bial fractures. J Bone Joint Surg Br, 77: 417-421, 1995.

17) Harrington P, Bunola J, Jennings AJ, Bush DJ, Smith

RM: Acute compartment syndrome masked by intravenous

morphine from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ump. Injury,

31: 387-389, 2000.

18) Hargens AR, Akeson WH, Mubarak SJ, et al: Fluid

balance within the canine anterolateral compartment and

its relationship to compartment syndromes. J Bone Joint

Surg Am, 60: 499-505, 1978.

19) Heckman MM, Whitesides TE Jr, Grewe SR, Judd RL,

Miller M, Lawrence JH 3rd: Histologic determination of

the ischemic threshold of muscle in the canine compartment

syndrome model. J Orthop Trauma, 7: 199-210, 1993.

20) Matava MJ, Whitesides TE Jr, Seiler JG 3rd,

Hewan-Lowe K, Hutton WC: Determination of the com-

partment pressure threshold of muscle ischemia in a ca-

nine model. J Trauma, 37: 50-58, 1994.

21) Hayes G, Liauw S, Romaschin AD, et al: Separation of

reperfusion injury from ischaemia induced necrosis. Surg

Forum, 39: 306-308, 1988.

22) Labbe R, Lindsay T, Walker PM: The extent and dis-

tribution of skeletal muscle necrosis after graded periods

of complete ischemia. J Vasc Surg, 6: 152-157, 1987.

23) Petrasek PF, Homer-Vanniasinkam S, Walker PM:

Determinants of ischemic injury to skeletal muscle. J Vasc

Surg, 19: 623-631, 1994.

24) Heppenstall RB, Scott R, Sapega A, Park YS, Chance

B: A comparative study of the tolerance of skeletal mus-

cle to ischemia. Tourniquet application compared with

acute compartment syndrome. J Bone Joint Surg Am, 68:

820-828, 1986.

25) Heppenstall RB, Sapega AA, Scott R, et al: The com-

partment syndrome.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of

muscular energy metabolism using phosphoru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Clin Orthop Relat Res,

(226): 138-155, 1988.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Compartment Syndrome 101

26) Gelberman RH: Upper extremity compartment syndromes.

In: Mubarak SJ, Hargens AR eds. Compartment syndromes

and Volkmann's contracture. Philadelphia, Saunders: 1981.

27) Matsen FA 3rd, King RV, Krugmire RB Jr, Mowery

CA, Roche T: Physiological effects of increased tissue

pressure. Int Orthop, 3: 237-244, 1979.

28) Rorabeck CH, Clarke KM: The pathophysiology of the

anterior tibial compartment syndrom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J Trauma, 18: 299-304, 1978.

29) Bae DS, Kadiyala RK, Waters PM: Acute compartment

syndrome in children: contemporary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 J Pediatr Orthop, 21: 680-688, 2001.

30) Olson SA, Glasgow RR: Acute compartment syndrome in

lower extremity musculoskeletal trauma. J Am Acad

Orthop Surg, 13: 436-444, 2005.

31) Ulmer T: The clinical diagnosis of compartment syn-

drome of the lower leg: are clinical findings predictive of

the disorder? J Orthop Trauma, 16: 572-577, 2002.

32) Shereff MJ: Compartment syndromes of the foot. Instr

Course Lect, 39: 127-132, 1990.

33) Myerson MS: Management of compartment syndromes of

the foot. Clin Orthop Relat Res, (271): 239-248, 1991.

34) Williams J, Gibbons M, Trundle H, Murray D,

Worlock P: Complications of nailing in closed tibial

fractures. J Orthop Trauma, 9: 476-481, 1995.

35) Duckworth AD, Mitchell SE, Molyneux SG, White TO,

Court-Brown CM, McQueen MM: Acute compartment

syndrome of the forearm. J Bone Joint Surg Am, 94: e63,

2012.

36) Schwartz JT Jr, Brumback RJ, Lakatos R, Poka A,

Bathon GH, Burgess AR: Acute compartment syndrome

of the thigh. A spectrum of injury. J Bone Joint Surg Am,

71: 392-400, 1989.

37) Willis RB, Rorabeck CH: Treatment of compartment

syndrome in children. Orthop Clin North Am, 21:

401-412, 1990.

38) Scholander PF, Hargens AR, Miller SL: Negative pres-

sure in the interstitial fluid of animals. Fluid tensions are

spectacular in plants; in animals they are elusively small,

but just as vital. Science, 161: 321-328, 1968.

39) Rorabeck CH, Castle GSP, Lugan J: The slit catheter: a

new device for measuring intracompartmental pressure.

Surg Forum, 31: 513, 1980.

40) McQueen MM, Court-Brown CM: Compartment mon-

itoring in tibial fractures. The pressure threshold for

decompression. J Bone Joint Surg Br, 78: 99-104, 1996.

41) Whitesides TE, Haney TC, Morimoto K, Harada H:

Tissue pressure measurements as a determinant for the

need of fasciotomy. Clin Orthop Relat Res, (113): 43-51,

1975.

42) Frink M, Hildebrand F, Krettek C, Brand J,

Hankemeier S: Compartment syndrome of the lower leg

and foot. Clin Orthop Relat Res, 468: 940-950, 2010.

43) Oh CW, Lee HJ: Acute compartment syndrome after

trauma. J Korean Fract Soc, 23: 399-403, 2010.

44) Better OS, Zinman C, Reis DN, Har-Shai Y,

Rubinstein I, Abassi Z: Hypertonic mannitol ameliorates

intracompartmental tamponade in model compartment syn-

drome in the dog. Nephron, 58: 344-346, 1991.

45) Odland R, Schmidt AH, Hunter B, et al: Use of tissue

ultrafiltration for treatment of compartment syndrome: a

pilot study using porcine hindlimbs. J Orthop Trauma, 19:

267-275, 2005.

46) Bourne RB, Rorabeck CH: Compartment syndromes of

the lower leg. Clin Orthop Relat Res, (240): 97-104, 1989.

47) McQueen MM, Christie J, Court-Brown CM: Acute

compartment syndrome in tibial diaphyseal fractures. J

Bone Joint Surg Br, 78: 95-98, 1996.

48) Cooper GG: A method of single-incision, four compart-

ment fasciotomy of the leg. Eur J Vasc Surg, 6: 659-661,

1992.

49) Maheshwari R, Taitsman LA, Barei DP: Single-incision

fasciotomy for compartmental syndrome of the leg in pa-

tients with diaphyseal tibial fractures. J Orthop Trauma,

22: 723-730, 2008.

50) Mubarak SJ, Owen CA: Double-incision fasciotomy of

the leg for decompression in compartment syndromes. J

Bone Joint Surg Am, 59: 184-187, 1977.

51) Wilkin G, Khogali S, Garbedian S, et al: Negative-pres-

sure wound therapy after fasciotomy reduces muscle-fiber

regeneration in a pig model. J Bone Joint Surg Am, 96:

1378-1385, 2014.

52) Kakagia D, Karadimas EJ, Drosos G, Ververidis A,

Trypsiannis G, Verettas D: Wound closure of leg fas-

ciotomy: comparison of vacuum-assisted closure versus

shoelace technique. A randomised study. Injury, 45:

890-893, 2014.

53) Moed BR, Strom DE: Compartment syndrome after

closed intramedullary nailing of the tibia: a canine model

and report of two cases. J Orthop Traum, 5: 71-77,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