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2013. 1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Upload
    lycong

  • View
    235

  • Download
    2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2013. 12.

Page 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Page 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2013. 12.

연 구 기 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 지 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감 미 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전 정 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이 혜 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송 예 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이 향 이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Page 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Page 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제 출 문

국립중앙도서관 귀하

본 보고서를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12월

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 지 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감 미 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전 정 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이 혜 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송 예 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이 향 이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Page 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Page 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i -

<목 차>

1.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 2

1.3 연구 범위 및 내용 ······································································································ 2

1.3.1 연구범위 ·················································································································· 2

1.3.2. 연구내용 ················································································································· 3

1.4 연구방법 ·························································································································· 5

1.4.1 문헌 및 사례조사 ·································································································· 5

1.4.2 설문조사 ················································································································ 5

1.4.3 자료출판 현황 및 실태조사 ·············································································· 5

2. 이론적 배경 ························································································································ 7

2.1 회색문헌의 정의, 특성 및 유형 ················································································· 7

2.1.1 회색문헌의 정의 ································································································ 7

2.1.2 회색문헌의 특성 ···································································································· 9

2.1.3 회색문헌의 유형 ·································································································· 11

2.2 회색문헌 수집동향 ····································································································· 13

2.2.1 회색문헌 수집, 관리, 이용 ················································································ 13

2.2.2 OASIS의 회색문헌 수집 기준 ·········································································· 14

2.2.3. 온라인을 통한 회색문헌 수집 ········································································· 15

3. 국내외 주요 회색문헌 현황 ····················································································· 18

3.1 국내 동향 분석 ··········································································································· 18

3.1.1 국가기관 ················································································································ 18

3.1.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18

3.1.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 20

3.1.2 국가도서관 ············································································································ 22

Page 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ii -

3.1.2.1 국립중앙도서관 ···························································································· 22

3.1.2.2 국회도서관 ···································································································· 24

3.2 국외 동향 분석 ··········································································································· 26

3.2.1 국가기관 ················································································································ 26

3.2.1.1 미국 국립기술정보서비스국(NTIS) ······················································· 26

3.2.1.2 캐나다 과학기술정보연구소(CISTI) ························································ 27

3.2.1.3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ST) ···································································· 27

3.2.1.4 독일 FIZ KARLSRUHE ············································································· 28

3.2.1.5 유럽회색문헌정보시스템(SIGLE) ····························································· 29

3.2.2 국립도서관 ············································································································ 30

3.2.2.1 미국의회도서관(LC) ···················································································· 30

3.2.2.2 영국도서관(BL) ···························································································· 31

3.2.2.3 호주국립도서관(NLA) ················································································· 32

4.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 환경 분석 ·························································· 33

4.1 연구기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설문조사 분석 ······················································· 33

4.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 ···················································· 34

4.1.2 연구보고서 및 논문 제출 범위 ········································································ 36

4.1.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 38

4.1.4 효과적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견 ························································ 39

4.2 정부 및 공공기관 회색문헌 수집현황 분석 ························································· 41

4.2.1 정부 및 공공기관 전체 현황 분석 ·································································· 41

4.2.2 기관별 회색문헌 수집현황 ················································································ 42

4.3 대학 부설 연구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 48

4.3.1 대학 부설 연구소 전체 현황 분석 ·································································· 48

4.3.2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 ··················································································· 50

4.3.3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 ······································································· 52

4.4 학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 55

4.4.1 학회 전체 현황 분석 ·························································································· 55

4.4.2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 ··················································································· 57

Page 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iii -

4.4.3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 ······································································· 59

4.5 재단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 62

4.5.1 재단 전체 현황 분석 ·························································································· 62

4.5.2 재단 회색문헌 보유 현황 ·················································································· 62

5. 회색문헌 수집방안 ········································································································ 64

5.1 회색문헌 수집방안의 목적 및 근거 ······································································· 64

5.1.1 회색문헌 수집방안 제시 목적 ·········································································· 64

5.1.2 회색문헌 수집방안 근거 ···················································································· 65

5.1.2.1 「도서관법」 ································································································ 65

5.1.2.2 「도서관법 시행령」 ·················································································· 66

5.1.2.3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 67

5.2 회색문헌 수집 대상 자료 ························································································· 68

5.2.1 회색문헌 출처 ······································································································ 68

5.2.2 회색문헌 유형 ······································································································ 68

5.3 회색문헌 수집 기본 원칙 ····························································································· 70

5.3.1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 70

5.3.1.1 한국연구재단 ································································································ 71

5.3.1.2 교육부 ············································································································ 74

5.3.1.3 국가기록원 ···································································································· 75

5.3.1.4 문화체육관광부 ···························································································· 78

5.3.2 제도적 기반 마련 ································································································ 80

5.3.3 자료 수집 대상 및 방법 우선순위 확립 ························································ 81

5.3.3.1 수집 대상의 우선순위 ················································································ 81

5.3.3.2 수집 방법의 우선순위 ················································································ 82

5.3.4 도서관-개별기관 간 win-win 전략 추진 및 보상 ······································ 82

5.3.4.1 「도서관법」 ································································································ 83

5.3.4.2 「도서관법 시행령」 ·················································································· 84

5.3.5 회색문헌 소장 기관의 공감대 획득 ································································ 84

5.3.6 타 정보기관과의 연계 ························································································ 85

Page 1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iv -

5.3.7 도서관의 꾸준한 노력과 투자 ·········································································· 86

5.4 회색문헌 수집 시 고려사항 ··················································································· 87

5.4.1 자료 관련 선행 정책 및 협약 유무 ································································ 87

5.4.2 자료 생산의 정기/비정기 여부 ········································································ 87

5.4.3 온라인 자료 열람 시 관외 접속 공개수위 및 로그인 여부 ······················ 87

5.4.4 DB 내 메타데이터 생성 및 관리 ···································································· 88

5.4.5 해외 회색문헌 제공 및 접근경로 마련에 대한 검토 ·································· 88

5.5 회색문헌 수집모형 ····································································································· 89

5.5.1 자료유형별 특성 ·································································································· 90

5.5.2 소장기관별 특성 ·································································································· 93

5.5.3 현존여부별 특성 ·································································································· 96

5.5.4 추가고려사항 ········································································································ 96

5.6 수집 유형별 고려사항 ····························································································· 101

5.6.1 정부/공공기관 ···································································································· 101

5.6.1.1 정부/공공기관의 보고서, 기관간행물 자료

(A-1-신/기, A-2-신/기) ········································································· 102

5.6.1.2 정부/공공기관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A-3-신/기) ······················ 103

5.6.2 대학 부설 연구소 ······························································································ 104

5.6.2.1 대학 부설 연구소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B-3-신/기) ················ 104

5.6.2.2 대학 부설 연구소의 보고서 자료 (B-1-신/기) ································· 105

5.6.2.3 대학 부설 연구소의 웹/멀티미디어 자료 (B-6-신/기) ···················· 106

5.6.2.4 연구소 자료 기타 : 기관간행물, 교육자료, 표/통계자료, 특허

(B-2-신/기, B-4-신/기, B-5-신/기) ················································· 107

5.6.3 학회 ······················································································································ 108

5.6.3.1 학회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C-3-신/기) ········································ 108

5.6.3.2 학회의 기관간행물 자료 (C-2-신/기) ················································· 109

5.6.3.3 학회의 보고서 자료 (C-1-신/기) ························································· 110

5.6.3.4 학회의 기타 자료 : 교육자료, 웹/멀티미디어자료, 표/통계자료

(C-4-신/기, C-6-신/기, C-5-신/기) ················································· 110

5.6.4 재단 ······················································································································ 112

Page 1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v -

5.6.4.1 재단의 보고서 자료 (D-1-신/기) ························································· 112

5.6.4.2 재단의 기관간행물 자료 (D-2-신/기) ················································· 113

5.6.4.3 재단의 웹/멀티미디어자료 (D-6-신/기) ·············································· 114

5.6.4.4 재단 자료 기타 : 학술대회/세미나자료, 표/통계자료

(D-3-신/기, B-5-신/기) ······································································· 115

5.7 회색문헌 수집 인력 구성 제안 ············································································· 116

5.7.1 참고 사례 ············································································································ 116

5.7.1.1 KISTI ··········································································································· 116

5.7.1.2 KERIS ·········································································································· 117

5.7.1.3 국회도서관 ································································································ 117

5.7.1.4 영국도서관 ·································································································· 117

5.7.1.5 호주국립도서관 ·························································································· 118

5.7.2 인력 구성 제안 ·································································································· 118

5.8 기술 활용 제안 ········································································································· 122

5.8.1 참고 기술 및 사례 ···························································································· 122

5.8.1.1 Google Calendar ······················································································ 122

5.8.1.2 KISTI-ACOMS ························································································ 123

5.8.2 기술 활용 제안 ·································································································· 125

6. 결론 ·································································································································· 127

참고문헌 ································································································································ 130

참고사이트 ··························································································································· 133

부록. 설문지 ························································································································ 134

Page 1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vi -

<표 목차>

<표 1> 선행 연구에 나타난 회색문헌의 정의 분류 ························································ 7

<표 2> 회색문헌과 일반자료의 비교 ·················································································· 9

<표 3> 회색문헌의 특성 분류 ···························································································· 10

<표 4> 회색문헌의 유형 ······································································································ 12

<표 5> OASIS의 수집 우선 자료 및 제외 자료 ·························································· 15

<표 6> KISTI 소장 회색문헌 수(2013.11.11.기준) ··················································· 20

<표 7> KERIS 소장 회색문헌 수(2013.11.20.기준) ·················································· 22

<표 8> 2013년 한해에 수집된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 ···································· 24

<표 9> 국회도서관 소장 회색문헌 수(원문정보 제공) ················································· 25

<표 10> 각 문항별 응답 기관수 ························································································ 33

<표 11> 문항 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데이터) ·················· 35

<표 12> 문항 1-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자료 유형 및 방법(데이터) ·· 36

<표 13> 문항 2-1, 연구보고서 제출 범위(데이터) ······················································ 36

<표 14> 문항 2-2, 연구논문 제출 범위(데이터) ·························································· 37

<표 15> 문항 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데이터) ································· 39

<표 16> 문항 4, 국립중앙도서관의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 방법(데이터) ············· 39

<표 17>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 수 및 접속된 연구소 자료개수에 대한 분석 ·· 48

<표 18>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 53

<표 19>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 수 및 접속된 학회 자료개수에 대한 분석 ·········· 55

<표 20>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 60

<표 21> 재단 유형별 회색문헌 보유 현황 ······································································ 63

<표 22> 중심기관 별 협정 주요 내용 ·············································································· 70

<표 23> 한국연구재단이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술 자료 ································ 72

<표 24> 문화체육관광부가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체 생산 자료 ·················· 79

<표 25> 개정추진 중인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의 주요 ···································· 80

<표 26> 자료 소장기관 별 자료유형 비율 순위 ························································· 101

<표 27> 정부/공공기관의 수집 대상 회색문헌 ···························································· 102

<표 28> 정부/공공기관 회색문헌 수집 과정 ································································ 103

<표 29> 업무 별 인원 및 역할 ······················································································· 120

Page 1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vii -

<그림 목차>

[그림 1] 연구 내용 및 범위 ································································································· 4

[그림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흐름도 ············································································· 6

[그림 3] Google Calender와 인터넷 자원 ···································································· 16

[그림 4] The BELIEF 프로젝트의 Digital Library 콘텐츠 종류 ···························· 17

[그림 5] KISTI 본인확인제 ······························································································ 19

[그림 6] KERIS 해외자료 제공서비스 ············································································· 21

[그림 7] 디라이브러리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 23

[그림 8]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 기준 ······························································· 23

[그림 9] 국회도서관 회색문헌 관련 수집 기준(국내외 기증자료) ···························· 25

[그림 10] NTIS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 26

[그림 11] CISTI의 회색문헌 수집 분야 ·········································································· 27

[그림 12] JST 제공 데이터베이스 ··················································································· 28

[그림 13] FIZ Karlsruhe의 주요 회색문헌 수집물 ····················································· 29

[그림 14] OpenGrey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 30

[그림 15] The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 Archive의 회색문헌 수집물 ······· 31

[그림 16] NLA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 32

[그림 17] 문항 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 ······························ 34

[그림 18] 문항 1-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자료 유형 및 방법 ·············· 35

[그림 19] 문항 2-1, 연구보고서 제출 범위 ·································································· 37

[그림 20] 문항 2-2, 연구논문 제출 범위 ······································································ 38

[그림 21] 문항 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 38

[그림 22] 문항 4, 국립중앙도서관의 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 방법 ······················· 40

[그림 23] 공공기관 전체 현황 분석 ················································································· 41

[그림 24] 기관별 수집현황(상위 10위) ··········································································· 42

[그림 25] 과학기술처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3

[그림 26] 문화체육관광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3

[그림 27] 국토해양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4

[그림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4

[그림 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5

Page 1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viii -

[그림 30] 보건복지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5

[그림 31] 한국교육개발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6

[그림 32]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6

[그림 33] 농림수산식품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7

[그림 34]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 47

[그림 35]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 49

[그림 36]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 49

[그림 37] 대학 부설 연구소의 자료유형별 분포 ··························································· 50

[그림 38] 대학 부설 연구소의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 51

[그림 39] 대학 부설 연구소의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 51

[그림 40] 주제 분야별 회색문헌 보유 연구소 비율 ····················································· 52

[그림 41]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 54

[그림 42]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 56

[그림 4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 56

[그림 44] 학회의 자료유형별 분포 ··················································································· 57

[그림 45] 학회의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 58

[그림 46] 학회의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 58

[그림 47] 주제 분야별 전체 학회 중 회색문헌 보유 학회 비율 ······························· 59

[그림 48]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 61

[그림 49] 재단유형에 따른 재단 수 및 비율 ································································· 62

[그림 50] 회색문헌 유형별 종수 및 전체 자료 수 ······················································· 63

[그림 51] 3차원 회색문헌 수집기본모형 ········································································ 89

[그림 52] 중심기관 관리 여부에 따른 회색문헌의 농도 ··········································· 97

[그림 53] 회색문헌의 농도 스펙트럼 ············································································· 97

[그림 54] 회색문헌 수집을 위한 인력 구성 제안 ······················································ 120

[그림 55] Google Calendar 화면 예시 ········································································ 123

[그림 56] KISTI-ACOMS 화면 예시 ············································································ 124

Page 1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 -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연구보고서, 학술대회 및 세미나 등의 회의자료, 학위논문, 정부간행물 등으로 대

표되는 회색문헌은 최신성을 대표하는 정보자원이라는 측면에서 유용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일상적인 구매경로를 통하여 입수할 수 없는 자료로서 발행부수가

적고, 그 매체가 다양하여 서지사항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남영준 200

2). 해당 주제 분야의 최신의 연구결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원으로서 활

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회색문헌에 대한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전 주제 분야의 회색문헌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정보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회색문헌은 내용의 질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 및 평가가 어려우며 명확한 배포체

계가 없어 수집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수집 이후의 처리에 있어 서

지통정 및 표준화, 저작권 등의 해결이 어려워 국가적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수집

및 관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최선희 외 1997).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현

재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자료에 대해 망라

적으로 수집을 수행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 「도서관법」에 의거하여 2011년 「국

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을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에서는 회색문헌 수집방안으로 자료유형

별 선택적 수집과,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분담수집 및 공유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시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수집을 위해서는 출판

현황 조사 및 구체적인 수집방안의 수립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수집대상이 되는 국내 회색

문헌의 출판현황, 특히 자료 생산 및 유통에 대한 경로의 파악이 쉽지 않은 민간부

문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집중 파악함으로써 회색문헌 수집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국내외 회색문헌 수집 사례와 현황을 조사·검토하여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의 체계적인 수집방안 수립 및 장서개발정책 확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Page 1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 -

1.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내 회색문헌의 출판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회색문헌

의 수집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은 본 연구를 통하여 회색

문헌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의 회

색문헌 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적

인 연구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 회색문헌의 정의와 범위를 규명함으로써 실무자의 업무 수행 시 수집대상자원

의 범위의 회색문헌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 본 연구에 기반해 국내에서 발행되는 회색문헌의 출판현황 및 수집방안을 체계

적으로 명료화함으로써 회색문헌을 수집하는 실무수행과정에 있어 업무상의 난

맥상을 최소화한다.

❏ 회색문헌은 연구경향에 대한 최신성이 뛰어나 연구자들 간에 중요성이 높이 인

식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립중앙도서관의 연구자정보서비스 개발

에 있어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1.3 연구 범위 및 내용

1.3.1 연구범위

본 연구는 국내 회색문헌 출판현황에 대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립중앙도서

관 회색문헌의 수집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국내 정부기관 및 소속 공공기관, 정부출연연구소와 같은 공공기관

에서 발행되는 회색문헌과 함께 사립 대학교 및 대학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 등 민

간 비영리기관에서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발간한 회색문헌이다. 특히 민간부문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중점으로 파악하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방안에 대한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매체유형별, 자료수

준별 회색문헌의 수집에 대한 세부지침의 마련 및 회색문헌 수집 시스템의 합리적

모형 제시를 연구 범위로 한다.

Page 1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 -

1.3.2. 연구내용

1) 국내외 회색문헌 수집 및 관리 동향분석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웹 기반 정보환경의 보편화 및 이를 통한 비공식 커뮤

니케이션의 확대로 인하여 회색문헌의 유형과 범위는 이전보다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배포 및 수집방안 역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김자영 1999).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회색문헌의 유형

및 종류를 정의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수집 및 관리대상으로 규정해야 할 회색문헌

의 범주 및 유형, 각 유형 별 특성 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적 수준에서 회색문헌을 수집하고 관리하고 있는 해외사례를 조사

하여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회색문헌 수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분석을 수행하

고자 하였다.

2) 국내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분석

회색문헌은 특정한 형식이나 심사규정이 없고, 판매를 목적으로 발행하지 않아

일상적인 구매경로를 통하여 입수할 수 없다는 특성으로 인해 발행주체와 배포기관

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남영준 2002).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색문헌의 관리 및 배포가 공식적인 루트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주요 회색문헌 배포기관 및 출판현황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공식화된 배포 경로의 부재로 발행 및 배포기관의 파악

이 어려운 민간분야 회색문헌 발행기관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웹페이지 분

석을 수행하여 주요 회색문헌 발주기관을 조사하고 이들 발주기관에서 출판 및 배

포하고 있는 회색문헌의 종류와 유형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파악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행되고 있는 회색문헌의 유형별, 기관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3) 국내 회색문헌 수집방안 제시

회색문헌은 최종 연구결과물이 아닌 중간산출물이거나, 비체계적으로 생산·유통되

는 경우가 적지 않아 명확한 배포체계의 부재로 인한 이용 접근성의 제약이 있으

며, 유용성 및 체계적 수집가능성에 일부 제한이 있다. 이러한 회색문헌의 문제점은

국가적인 차원의 체계적이고 일괄적인 수집과 관리를 통해 해결될 수 있으며, 때문

에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 정보기관으로서 이들 정보자원을 총체적으로 수집

Page 1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 -

및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에서 제

시하고 있는 자료 수집방안을 기준으로 회색문헌의 출판 기관별, 유형별 특성에 맞

추어 수집방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맞는 수집 시스템의 합리적 모형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인쇄자료의 생산을 줄이고 디지털파일로 유통시키는 경향을 반영하여

디지털 파일 형태로 이루어진 회색문헌의 효과적인 수집에 대한 방안을 도출하였

다. KERIS, KISTI와 같이 웹상에서 디지털 파일의 회색문헌 수집 및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는 유관기관들과의 협력방안 및 차별화 방안 제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

고 효율적인 수집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를 도식화하여 표현하면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 내용 및 범위

Page 1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 -

1.4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방안 제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

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1.4.1 문헌 및 사례조사

국내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집대상 회색문헌

의 범주에 대한 명확한 규명과 현재 회색문헌의 수집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회색문헌의 범주 및 수집방안에 대한 문헌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와 함께 실제로 해외 주요 정보관리기관에서 회색문헌의

수집 및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조사를 함께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시대적 흐름과 국립중앙도서관의 기관특수

성에 적합한 회색문헌 수집방안 제시를 위한 제반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4.2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출판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회색문헌을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

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대학부설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

였다.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회색문헌과는 달리 민간분야 회색문헌 발행주체들은 그

범위와 대상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수행된 연구 리스트를 기반으로 발

주기관을 추적하여 회색문헌 발행주체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대학, 대학소속 부설연구소, 산하 사업단에서 수행한 연구정보

를 모두 파악하고 있는 사립대학 산학협력단(또는 연구처)의 과제 담당자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수행된 연구들의 수행부처 및 발주기관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상세하게는,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 연구보고서 및 논문 제

출 범위, 확보된 연구 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효과적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4.3 자료출판 현황 및 실태조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민간분야 회색문헌 발행주체와 공공기관 회색문헌 발행 주체

들이 발행 및 배포하고 있는 회색문헌 관련정보를 파악하였다.

Page 2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 -

연구소 및 교육기관, 민간 장학재단, 연구재단 등의 기관에서 발행하고 있는 회색

문헌 관련정보는 해당기관이 웹을 통해 명시하고 있는 정보들을 대상으로 파악하고

자 하였으며, 문헌 및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파악된 회색문헌 범주를 기반으로 출판

및 배포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KISTI나 KERIS 등 웹을 통해 회색문헌을 수집하고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

공하는 기관들과의 중복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유관기관이 활발히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을 종합하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흐름도

Page 2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 -

기준 의미 학자

유통일반적인 서적의 판매 경

로를 따르지 않는 자료

Wood(1984), Augur(1989), Moahi(1995)

문헌정보학 용어사전(1996), 정현이(2000)

김미진/배순자/남영준(2002)

남영준(2002), 남영준/조현양(2006)

생산주체상업 출판사에 의해 생산

되지 않는 자료

Moahi(1995), Farace(1997)

Debachere(1995), 정현이(2000)

이용자제한된 이용자만을 대상으

로 발간되는 자료

Augur(1989), Debachere(1995)

정현이(2000), 남영준/조현양(2006)

생산 목적이윤을 위한 판매 목적으

로 생산되지 않는 자료 Farace(1997), 이지연(2006)

<표 1> 선행 연구에 나타난 회색문헌의 정의 분류

2. 이론적 배경

2.1 회색문헌의 정의, 특성 및 유형

2.1.1 회색문헌의 정의

회색문헌은 통상적인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는 자료로 획득이 어려운 한편, 최신

성이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보다 구체적인 회색문헌의 정의 및 특징은 국가나 학

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생산 주체가 누구인지, 어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지, 생산 목적이 무엇인지 등 회색문헌의 여러 특성 중 어떤 특성을 중요시하

느냐에 따라 회색문헌의 정의는 다양하다. 회색문헌에 대한 여러 정의들을 이지연

(2006)의 분류 기준에 따라 유통, 생산 주체, 이용자, 생산 목적의 4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먼저 유통 과정의 특성을 강조하는 정의는 회색문헌이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1

970년대의 초기 연구들부터 최근의 연구들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본적인 정

의로, 일반적인 서적의 판매 경로를 따르지 않는 자료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Wood(1984)는 회색문헌을 “상업적인 서적 판매 경로를 통해 구입할 수 없는 자

료”라고 정의하였으며, Augur(1989)는 “출판사와 같은 평범한 채널을 통해 쉽게

발견할 수 없으며, 독창적이고 최신성을 가지는 자료들”로 회색문헌을 표현하였다.

정현이(2000)는 회색문헌을 “생산과정, 유통과정, 그리고 이용자 유형 및 서지적

특성이 다른 정보자료보다 독특하여 공식적인 출판 경로를 통해 쉽게 입수하기 어

Page 2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 -

려운 자료로서 기밀문서, 연구 보고서, 회의자료, 학위논문, 번역자료, 제안문서, 각

종 통계 자료 등의 자료”로 칭하였다. 김미진, 배순자, 남영준(2002)은 회색문헌을

“일반적으로 정규 서적 판매 유통망을 통해 입수하기 어려운 자료들을 통칭한다”고

정의하였으며, 그 종류에는 회의자료, 학위논문, 번역자료, 제안문서, 각종 통계 자

료 등의 자료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남영준(2002)은 회색문헌을 “서지정보원을 통

해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확인과 접근 및 이용이 불투명한 정보 자료들을 통칭

한다.”라 정의하였는데, 여기에서 불투명함이라는 단어는 정보적인 가치가 없는 것

이 아니라 다만 발행목적에 의해 갖게 되는 유통 상의 특성이란 것을 지칭할 뿐이

라 설명하였다.

생산 주체를 중요시하는 정의는 상업 출판사에 의해 생산되지 않는 자료라는 의

미를, 그리고 이용자를 강조하는 정의는 제한된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발간되는 자

료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선행 연구들의 추세를 살펴보면,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에 회색문헌의 정의에서 기존의 유통 관련 개념 뿐 아니라 생산 주체와 이용자

의 개념을 강조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Moahi(1995)는 유통 과정과 생산 주체를 중요시하여, 회색문헌을 “상업적으로

출판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업적 출판물의 일반적 경로에서 발견되지 않는

자료”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Farace(1997)는 제 4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에서 정의된 “정부, 학술단체, 기업 등에서 인쇄형태와 전자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업적 출판사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자료”라는 회색문헌의 개념

을 소개하며 회색문헌의 생산주체는 상업적 출판사가 아님을 강조하였다.

한편, Debachere(1995)는 AFNOR(Association Francaise de Normalization)에

서 정의한 개념을 소개하였는데, 회색문헌이란 “상업적 출판 과정과 출판 경로 그

리고 서지사항을 알 수 없는 것으로 제한된 이용자들만을 위해 인쇄된 문헌”이라고

하였다. 또한 남영준, 조현양(2006)은 회색문헌을 “일반적인 공개를 목적으로 집필

되지 않은 자료로써 정해진 범위 내에 포함된 독자만을 위해 집필된 연구결과물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였으며, “그 출판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대외기관의 납본이나

교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서적 유통망을 통해 배포되지 않는 자료를 총칭한

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온라인을 통한 자료의 공유

가 증가함에 따라 회색문헌이 외부에 공개되는 비율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한된 이용자의 개념은 점차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생산 목적을 중시하는 개념은 이윤을 위한 판매 목적으로 생산되지

않는 자료를 뜻한다. 이지연(2006)은 회색문헌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을 비판매, 비

공개로 판단하였는데, 이 속성을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생산 이후의 출판 및 공개

여부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집필한 시점으로 하였다. 이에 따르면 회색문헌은 “모

든 매체를 망라하여 정부, 학계, 산업계, 개인에 의해 생산된 문헌 중 생산 목적이

Page 2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 -

구분 회색문헌 일반자료

출판의 양 증가 감소

생산과 전파의 속도 높음 낮음

정보이용료 낮음, 감소 높음, 증가

접근성 글로벌화, 무제한적 제한적

품질수준 획기적인 기술에 의해 규정 전통적인 평가과정을 거침

보존 대량보존과 기술적 노화 법적 제약과 기술적 노화

사서의 역할전통적 역할감소

새로운 서비스 제공 기회법적 제약

출판사의 역할 중요하지 않음 감소

<표 2> 회색문헌과 일반자료의 비교

상업적 판매와 외부 공개가 아닌 각종 자료”로 정의된다.

시대에 따른 정보공개 및 공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기술적 환경의 발달은 회색

문헌의 종류와 유통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결과적으로 회색문헌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선행 연구에 나타난

회색문헌의 정의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회색문헌이란 기본적으로 상업적 출판사에

의해 발간되지 않아 일반적인 유통 경로를 가지지 않는 자료를 지칭하며, 동시에

생산 시점에서 상업적 판매와 외부 공개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자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1.2 회색문헌의 특성

회색문헌은 보통 정기적으로 발행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

아 서지정보원을 통한 소재 파악과 입수에 어려움이 있는 자료이다. 또한 주로 조

직 내부의 이용자들을 위해 적은 양의 한정된 부수로 빠르게 배포되어 최신성을 가

지기 쉽지만, 동시에 출판을 위한 기준이 없어 수집을 하더라도 표준화와 서지 제

어가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회색문헌의 여러 특성들을 Owen(1997)은 <표 2>와 같이 일반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에 따르면 회색문헌은 일반 자료와 비교해 출판의 양이

많고, 생산과 전파의 속도가 빠르며,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비교적 적은 비용이 필

요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전통적인 출판 방식을 거치지 않으므로 출판사의 역

할이 중요하지 않고, 글로벌화로 인해 자료에 대한 접근에 제한이 없다는 점에 대

해서도 서술하고 있다.

Page 2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 -

구분 특성

내용상의 특성

주제의 선택이 다양

그 분야의 전문가가 작성한 주제를 포함

공식적인 경로로 유통되는 정보보다 안정성이 결여됨

연구조사가 진행되거나 끝난 직후에 기술된 내용이므로 최신성이  뛰어남

연구한 결과에 대한 선취권을 지님

유통상의 특성

공식적인 평가를 거치지 않은 비공식적인 정보전달 매체의 성격이 강함

내용의 중요한 부분이 비공식적인 유통에서 먼저 소개되어 입수가 쉽지 않음

공식적인 영역에서 발표되는 정보의 온상 역할

자가출판이 가능해서 연구결과가 출판되기 이전에 자세한 정보획득가능

서지기술

상의

특성

통일된 서지사항이 없기 때문에 수집에서 정리가 쉽지 않음

이로 인해 이용할 수 있는 서지 유틸리티도 미약함

각 기관마다 분류체계가 달라 어려움이 있으므로 국가적인 서지 통정 기관이 필요함

<표 3> 회색문헌의 특성 분류

한편 Carroll and Cotter(1997)의 연구에서는 회색문헌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8

가지로 제시하였다.

1) 신속한 발행

2) 다양한 포맷

3) 공식적인 전문가 평가문의 부재

4) 상업적인 유통 경로의 부재

5) 의뢰기관에 한정 배포

6) 원시 데이터(raw data)를 다수 포함

7) 응용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빈번한 이용

8) 정부 책임 아래에서 서지 통정과 배포 실시

또한 정현이(2000)는 기존의 Carroll and Cotter(1997)의 연구에서 제시한 8가

지 회색문헌의 특징을 내용상, 유통상, 서지기술상의 특성으로 나누어 분류한 후,

각각의 내용을 <표 3>과 같이 더욱 자세히 분석하였다. 여기서 내용상의 특성에 해

당하는 것은 2) 다양한 포맷, 3) 공식적인 전문가 평가문의 부재, 7) 응용과학·기술

분야에서의 빈번한 이용이며, 유통상의 특성에 해당하는 항목은 1) 신속한 발행, 4)

상업적인 유통 경로의 부재, 5) 의뢰기관에 한정 배포, 8) 정부 책임 아래에서 서지

통정과 배포 실시이다. 마지막으로 서지기술상의 특징에는 8) 정부 책임 아래에서

서지 통정과 배포 실시가 해당한다.

Page 2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 -

2.1.3 회색문헌의 유형

회색문헌의 유형은 학자별로 매우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어느 자료까지를

회색문헌으로 보느냐에 대한 기준의 차이로 인한다. 게다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점점 더 다양한 형식의 자료들이 생산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통 방식이 변화

한 유형의 자료들도 있기 때문에 회색문헌의 유형은 필연적으로 계속 변화하고 있

다.

최선희 외(1997)는 각종 보고서, 학위논문, 회의자료, 번역자료, 출판전 배포자료

등과 함께 정부문서, 공공 연구기관의 프로젝트에 관한 작업일지, 통계자료, 수치자

료, 인하우스 저널, 뉴스레터, 카탈로그, 데이터시트, 가격표 등의 상품관련 문헌,

회사연감, 시장조사서, 기술조사서, 표준규격 등을 회색문헌의 유형으로 보았으며,

김미영(2002)은 이에 더하여 인터넷상의 서비스인 News Group, ListServ, FTP,

WAIS, BBS 등도 새로운 회색문헌의 유형에 속한다고 보았다.

남영준(2002)는 선행연구들의 유형별 구분을 참고로 하여 표준적인 회색문헌의

표준 종류를 크게 보고서, 문서, 대학간행물, 사내자료, 회의록으로 설정하였으며,

세부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보고서류 : 개인의 출판전 배포문(preprint), 제안보고서, 계약진행보고서(중간보

고서), 최종보고서, 기관보고서(institutional reports), 개별주제보고

서(separate topical reports: 기술노트, 연구메모, 기술메모 등을 포

함), 위원회보고서(committee type reports), 리뷰 또는 조사서

- 문서류 : 기밀문서, 제안문서, 내부문서(회의문서 포함)

- 대학간행물 : 학위논문, 세미나자료, 학술회의 발표자료, 강연회자료

- 사내자료(in-house materials) : 뉴스레터, 회의자료

- 회의록(proceedings)

회색문헌의 종류를 회색의 농도로 구분하는 방법은 미국 CNR(National

Research Center)에서 사용한 것으로, 회색문헌을 1) 일반자료에 가까운 성격이며

외부에 보급이 예정된 연한 회색문헌, 2) 외부 보급의 목적이 없는 중간 회색문헌,

3) 정보시스템에 기록되지 않아 추적하지 않으면 확인이 불가능하며, 일반인이 쉽

게 접하기 어려운 진한 회색문헌의 3가지 종류로 나누었다(Almeida 1999; 남영준

2002). 이 때 일반자료에 가까운 연한 회색문헌은 폐쇄적으로 유통되며 특정성이

높은 진한 회색문헌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이 많은 편이다. 즉, 특정성과 회색문헌의

양은 반비례하는 성격을 가지는데, 자료의 특정성이 높아질수록 회색문헌의 양은

줄어들고, 특정성이 줄어들수록 회색문헌의 양은 증가한다.

Page 2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 -

회색의 종류 특징 종류

밝은 회색문헌

(Light grey)

공개를 목적으로 출판된 자료

주로 정부기관에서 출간되는 문헌

공식적 보고서

통계자료

국가/국제 표준

법률/입법문서

뉴스레터

저자가 직접 외부에 자신의 연구결과를 표현한 문헌

Pre-print

Proceeding

학술대회발표문

기관발행 학술지*

강연자료*

학위논문*

중간 회색문헌

(Medium grey)

외부로 보급할 목적이 없고 동일한 목적을 갖는 집단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한 문헌

내부보고서

중간보고서*

회의자료*

어두운 회색문헌

(Dark grey)

존재의 여부를 알 수 없으며 특정인 혹은 특정단체가 공개하지 않으면 확인할 수 없는 문헌

연구제안서

내부조사 보고서

<표 4> 회색문헌의 유형

김미진과 남영준(2003) 역시 농도에 따른 회색문헌의 유형에 따라 회색문헌의 종

류를 구분하였는데, 이를 기반으로 하여 <표 4>와 같이 기존에는 없었던 자료들을

추가하고 이전과 성격이 달라진 몇 가지 자료들의 분류를 새롭게 하였다.

즉, 기존의 분류에서는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은 기관발행 학술지나 강연자료,

중간보고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기관발행 학술지와 강연자료를 밝은 회색문헌

중 저자가 연구 결과를 표현한 문헌에 추가하였고, 중간보고서 역시 내부보고서와

비슷한 성격이라고 보아 중간 회색문헌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위논문은 단순히

공개를 목적으로 출판되는 자료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하나의 연구 결과물로 보아

밝은 회색문헌 내에서 분류 위치를 이동시켰다. 회의 자료의 경우 어떤 회의인지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내부 조직에서의 회의 자료라고 가

정하고 밝은 회색문헌에서 중간 회색문헌으로 분류 위치를 변경하였다.

Page 2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 -

2.2 회색문헌 수집동향

국립중앙도서관에서의 회색문헌 수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외 회색문헌의

수집,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OASIS에서 수집하는 회색문헌의 기준에 관한 연

구, 온라인을 통한 회색문헌의 수집에 관한 해외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2.1 회색문헌 수집, 관리, 이용

회색문헌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출판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최신성이 높지

만, 동시에 조직 내부에서 생산 및 관리되는 특성으로 인해 이용자들이 입수하기에

는 어려운 자료이다. 최근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회색문헌의 유통이 이전보다 증

가하는 추세이나, 효과적인 회색문헌의 수집, 관리 및 이용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본 장에서는 회색문헌 수집, 관리, 이용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을 분석하

여 회색문헌의 수집,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어떠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는지 살펴보았

다.

남영준(2002)은 실제 회색문헌을 관리하는 기관의 회색문헌 담당자에게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는데 9명 전원 회색문헌총괄기관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였으며, 유료로

서비스되더라도 이용하겠다고 답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이 회색문헌 가운데에서도

기관 내에서 소장하고 있어 접근이 용이한 내부 보고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

로 보아, 회색문헌의 출판 정보를 수집한다면 회색문헌 활용도가 크게 증가할 것이

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회색문헌의 등록을 의무화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법의 개정 혹은 새로운 등록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며, 수집 이후의 회색문헌 활용

방안으로는 종합목록 작성, 전자파일화, 국가 수준의 집중관리 기관의 설립 등을 제

안하였다. 김미진, 배순자, 남영준(2002) 역시 현행법상 회색문헌에 대한 납본의 의

무가 없기 때문에 수집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국내법이나 규정으로 회색문헌

특히 보고서류를 수집할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국가 지식의

공유라는 완전한 이해와 협조 아래 회색문헌의 공유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GLCC(Grey Literature Control Center)를 두어 정부출연 연구소, 기업연구

소, 대학교 등으로부터 회색문헌을 주기적으로 입수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지연(2006)은 과학기술분야의 정부출연연구소를 대상으로 회색문헌의 수집, 정

리 및 조직, 이용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회색문헌의 경우

자료의 종류가 많고 특색이 다양하기 때문에 자료 유형별로 서로 다른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어 연구보고서의 경우 과제 베이스 수집, 형식

의 표준화, 비공개 기준 명시, 비공개 기간 세분화, 비공개 보고서의 보안 유지, 공

개 보고서의 원문 서비스 확대, 내용의 평가와 검증을 통한 신뢰성 확보 등이 필요

Page 2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4 -

하다고 보았다. 또한 회의 자료의 경우 개별기사 단위의 검색 기능 지원, 회의자료

종합목록 구축, 원문제공 서비스 확대, 저작권 문제의 해결, 협력 체제 구축 등이

필요하며, 내부 자료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식 경영 시스템의 활용, 자료 공유를 위

한 인식의 변화, 지식과 자료의 품질 검증, 도서관이 주체가 된 지식 경영 운영, 도

서관과 사서의 전문성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한편 국내의 회색문헌 수집뿐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의 수집 및 관

리 방안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되어 왔는데, 정효정(2006)은 회색문헌을 총괄적으로

수집 및 관리하는 해외 기관의 서지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습득한 서지정보에 근거해

교환과 구입의 방식으로 원문을 입수하기를 제안하였다. 이 때 국내 기관끼리는 컨

소시엄을 구성하여 협력이 가능하며, 이용자의 검색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외 회색문헌 통합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메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교환

하는 절차 역시 필요하다. 컨소시엄을 통한 해외 회색문헌의 수집에 대해 Yoo,

Shin, Choi(2009)은 현재 대부분의 국내 도서관과 정보 관리 기관이 학술회의 프로

시딩을 포함한 해외 디지털 자료들을 KESLI(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를 통해 수집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각 기관별로 적절한 구독료가 다르

다는 점과 구독기간 후의 접근 문제에서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

였다.

2.2.2 OASIS의 회색문헌 수집 기준

OASIS 홈페이지에 공식적으로 정의된 바에 따르면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란 국립중앙도서관이 “가치 있는 인터넷 자료를 국가

적인 차원에서 수집·축적하여 미래 세대에 연구 자료로 제공과 온라인 디지털자원

수집 보존의 표준모델 연구 등에 그 목적을 두고” 추진 중인 온라인 디지털자원 수

집· 보존 사업이다.

OASIS에서는 수집, 보존, 서비스하는 웹 아카이빙의 대상을 개별자원과 웹 사이

트로 보고 있는데, 이 때 개별자원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일단위로 정보 가치

를 가지는 자원이고, 웹 사이트는 하나의 단위로 해당 사이트의 모든 자원을 미러

링하게 하는 자원을 말한다(윤정옥 2010). 이러한 구분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제공

되는 회색문헌 역시 개별자원의 하나로서 OASIS의 주요 수집 대상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OASIS 홈페이지 내 OASIS 소개->자원수집지침 메뉴에서는 <표 5>

와 같이 우선적으로 수집하는 자료 및 제외하는 자료를 예시로 들고 있는데, 회색

문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ge 2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5 -

수집 우선 자료 수집 제외 자료

중앙정부가 생산한 온라인 디지털자원 채팅사이트

대학간행물 언론사이트

회의자료, 전자저널 게시판과 뉴스그룹

기증/추천된 온라인 디지털자원기타 기술적으로 수집이 불가능하며 수집/

보존의 가치가 없는 디지털자원 최근 이슈가 되는 온라인 디지털자원

국내 웹사이트

<표 5> OASIS의 수집 우선 자료 및 제외 자료

(http://www.oasis.go.kr/인용 2013. 11. 12)

이와 관련하여 노영희와 고영선(2012)은 인터넷 상에서 유통되는 정보자원의 양

이 점차 방대해지고 갱신되는 속도 역시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OASIS에서도 매우

엄선된 정보자원을 수집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회색문헌에 속하는

회의자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식의 OASIS 수집 자원에 대해 보다 엄격하면서도

실효성 있는 선정지침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국제회의자료 수집 기준은 국제

협회연합의 기준인 전체 참가자 수 300명 이상, 참가자 중 40% 이상 외국인, 참가

국수 5개국 이상, 회의기간 3일 이상을 따르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국내에서 개최

되는 경우로 제한하기를 건의하였다. 또한 국내 회의자료의 경우 현재 명확한 수집

기준이 없는 상황이라 학회 및 기관 차원에서 수행되는 회의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다는 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 효과적인 회의자료 수집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OASIS 관련 연구들을 통해, 웹의 확산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회색문헌

이 온라인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OASIS에 수집되는 회색문헌의

유형은 회의자료, 연구보고서, 통계자료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

로는 온라인 형식으로 제공되는 회색문헌의 종류와 양이 점점 증가하리라 예상되므

로, OASIS의 수집 기준에도 이와 같은 사항들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2.3. 온라인을 통한 회색문헌 수집

정보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정보 자원의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가 점차 긍정적

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전에는 폐쇄된 커뮤니티 내에서만 유통되던 회색문헌의 유통

범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회색문헌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온라인을 통한 회색문헌의 수집은 크게 링크를 통한 연결 방식과 하나의 컬렉션

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Lehman and Webster(2005)는 20명의 사서를

Page 3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6 -

대상으로 회색문헌의 정의, 주제, 선택, 협력, 접근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디

지털 회색문헌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사서들은 컬렉션의 개발보다 링크

를 통한 연결에 더 친숙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Hayakawa et al.(2013)은 학술대회 프로시딩의 원문에 대한 접근을 향상시

키기 위해 일본 원자력 에너지 협회(JAEA) 도서관에서 시행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

였다. JAEA 도서관이 일본 내에서 가장 큰 원자력 정보 센터 중의 하나임에도 불

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프로시딩을 모두 보유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1) 도

서관 내부의 검색 시스템(JOPSS)에서 DOI/URL를 이용해 원문에 대한 하이퍼링크

를 제공하는 방식, 2) 학술대회 웹사이트의 URL을 이용해 원문에 접근하는 방식을

결합하여 3) Google Calender를 이용해 학술대회 정보, 도서관의 프로시딩 컬렉

션, 인터넷에서의 이용 가능성 등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 즉, [그림

3]과 같이 Google Calender를 여러 정보 자원들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삼은 것

으로, 이 방식이 정보 공유 및 여러 시스템 간의 통합에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림 3] Google Calender와 인터넷 자원

반면 정보 자원에 대한 링크를 통한 연결보다는 여러 기관들이 협력하여 통합 데

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 디지털 회색문헌의 수집에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학

자들도 있었다. Natarajan(2006)의 경우 목록작업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표준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으며, 동시에 ArXiv, CogPrints,

NCSTRL과 같은 e-print 아카이브의 장점을 분석하여 국가 단위의 e-print 저장소

를 만들어 회색문헌을 수집하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EAGLE(European

Association for Grey Literature Exploitation)의 협동 프로젝트인 SIGLE(System

for Information on Grey Literature)은 순수 및 응용과학, 경제학, 사회학, 인문학

분야의 유럽 회색문헌을 관리하는 서지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자료들의 이용 가능

성에 대해 알려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고 서술하였다.

Page 3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7 -

또한 Biagioni, Castelli, Zoppi(2010)은 The BELIEF 프로젝트를 통한 회색문헌

의 오픈 액세스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BELIEF는 Bringing Europe’s eLectronic

Infrastructures to Expanding Frontiers의 약자로, EC가 지원하는 제 6,7차 연구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공동 연구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영국, 이탈리아, 인

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의 대학 및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E-Infrastructures 공급자와 이용자가 서로 협력하고 지식을 교환할 플랫폼을 만드

는 것이 목적이다. 실행 방안으로는 OpenDLib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거나, 외부

포털 내의 코드 모듈을 압축하여 다른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포털과의 결합을

제안하는데, 연구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회색문헌과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접

근이 쉬워진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그림 4]와 같이 이 프로젝트의 Digital Library

를 구성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높은 비율부터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1)

Conference and Technical Meeting, 2) Presentations, 3) Articles, 4) News,

5) Training Material, 6) Deliverable, 7) Technical Documents 등으로 회색문헌

이 상위에 다수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The BELIEF 프로젝트의 Digital Library 콘텐츠 종류

Page 3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8 -

3. 국내외 주요 회색문헌 현황

회색문헌은 일반자료에 비해 특정하고 다양한 전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발행과정이 단순하여 학술적 그리고 시간적인 면에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

한 이유로 주요 선진국들은 이를 정보원으로 잘 활용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관

리하여 공유하고 있다(KISTI 2002b; 남영준, 조현양 2006). 실제로 국내외 회색문

헌 관리기관들은 대부분 국립과학기술연구소 및 정보기구, 국회도서관, 중앙도서관

등의 국가기관이다. 본 장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대표적인 회색문헌 수집 및 관리

기관들의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3.1 국내 동향 분석

3.1.1 국가기관

3.1.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이하 KISTI)은 국내 과학기술정보센터의 하나로써, 국가과학기술정보

를 총체적으로 수집, 분석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1)(KISTI 2002a; KISTI

2002b).

KISTI는 연구보고서, 프로시딩, 특허, 표준, 학회연구정보 등의 회색문헌을 비롯

하여 과학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자료들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 자료들은 웹

사이트에서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논문·보고서 및 산업

재산권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 상에서 [그림 5]와 같이 주민등록번호

또는 공공 아이핀을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그리고 KISTI는 회색문

헌 정보자료들에 대한 자료맵 분석을 통해 희귀자료, 고가자료 등의 국내 미보유

자료들을 확충하는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최선희 2003).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인용 2013. 09. 26), http://www.kisti.re.kr/

Page 3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9 -

[그림 5] KISTI 본인확인제

(http://www.kisti.re.kr/인용 2013. 09. 26)

국내학술대회 자료의 경우 과학기술분야 학회 및 협회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수집하고 있으며, 해외학술대회 자료는 KESLI 컨소시엄을 통한 라이선스 연계를

통해 수집한다. 학위논문은 KERIS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API 방식으

로 수집하며, 특허의 경우 한국 특허는 특허청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그리고 미국,

일본, 유럽 및 세계특허는 구매하는 방식으로 수집하고 있다. 또한 국가 R&D 연구

보고서의 경우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부터 인쇄본 혹은 전자 형태로 납본 수집하고

있으며, 분석리포트는 과학기술분야 분석리포트로 자체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동향

정보의 경우 해외과학기술동향, 정보서비스 글로벌 동향으로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기술표준원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와 업무협약으로 연계해 표준정보들을 수집하

고 있다. 더불어 사실 정보는 자체적으로 구축하거나 해외 수집을 통해 수집하고

있으며, 주로 산학연과 협력해 자료를 모으고 있다. 마지막으로 OA 리포지터리 콘

텐츠의 경우, 20여개의 국내 리포지터리 운영기관의 30만 건 이상의 콘텐츠들을

연계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료로는 논문이 248,133건, 특허가 2,674건, 멀티

미디어가 27건, 기타자료가 78,904건 수집되어 있다2).

2013년 11월 11일 기준, KISTI에 수집 및 제공되고 있는 전체 회색문헌 중 보

고서는 총 221,410건으로 국가연구개발보고서가 169,376건, 분석리포트가 52,034

건이다. 또한 보고서 외에도 국내학술지 1,419,423건, 해외학술지(영미권)

51,306,042건, 해외학술지(중·일권) 4,023,503건, 국내 학술회의 자료 324,900건,

해외 학술회의 자료 9,787,771건,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869,647건, 프로시딩 서

지정보 247,765건, 저널 서지정보 97,918건 등을 더하여 총 68,200,974건의 회색

문헌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국내 및 해외의 특허가 189,389건, 동향이

2) NDSL (인용 2013. 11. 21), http://www.ndsl.kr/

Page 3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0 -

189,389건, 표준이 67,057건, 사실정보가 3,807,535건 수집되어 이용자들에게 제

공되고 있다. 이 수치를 간단하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회색문헌 구분 소장 건수

국가연구개발보고서 169,376건

분석리포트 52,034건

국내학술지 1,419,423건

해외학술지(영미권) 51,306,042건

해외학술지(중·일권) 4,023,503건

국내 학술회의 자료 324,900건

해외 학술회의 자료 9,787,771건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869,647건

프로시딩 서지정보 247,765건

저널 서지정보 97,918건

국내외 특허 29,055,353건

동향 189,389건

표준 67,057건

사실정보 3,807,535건

전체 101,417,713건

<표 6> KISTI 소장 회색문헌 수(2013.11.11.기준)

3.1.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이하

KERIS)은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교육 및 다양한 분야와 관련한 학술정보들을 수

집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을 위해 여러 기능을 수행

하고 있다3).

KERIS는 회색문헌 중 주로 보고서, 전국 대학들에서 생산되는 모든 학위논문, 학

술지논문, 기관간행물, 강의정보 및 계획서와 같은 교육자료, 한국연구재단(NRF)

연구성과물, 유관기관 자료,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자료, 기타연구논문, 연구보고서 등

을 수집 및 관리하고 있다. 이 중 KERIS가 자체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기관물로는

교육정보화 백서, 연차보고서, 기관지 홍보 브로셔, 10년사 등이 있다. 또한 KERIS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인용 2013. 09. 26), http://www.keris.or.kr/

Page 3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1 -

는 국내 대학들과 협력해 강의와 관련한 정보들을 자동적으로 수집하고 조직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학술정보 유통시스템(dCollection)을 함께 관리함으로써 최신 원문

자료들을 수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해외논문구매대행서비스(E-DDS)와

연계하여 해마다 5천여 건 이상의 국내에서 찾기 힘든 논문 자료들을 수집하고 있

으며, 미국 Infotrieve, OCLC ILL, 독일 SUBITO 등의 정보제공처들을 확보해 여

러 원문 자료들도 수집하고 있다(KERIS 2012).

이 같은 정보들은 이용자들에게 대부분 PDF 파일을 통해 웹사이트에서 원문제공

되고 있다(KERIS 2012). 그리고 KERIS는 해외 대학 저명한 교수진들의 강의계획

서, 강의자료 등을 웹을 통해 이용자들이 검색엔진에 접근할 수 있게 연결해 놓고

있으며, 해외기관들과 연계하여 문헌제공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국내 대학도서관들에

있는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 역시 시행하고 있다(KISTI 2002a;

KISTI 2002b).

2013년 11월 20일 기준 KERIS가 현재 소장하고 있는 회색문헌은 학위논문이

1,142,000건, 국내학술논문이 3,412,000건, 해외학술논문이 41,307,000건, 공개강

의가 226,000건, 기타자료가 1,427,000건이다. 이 중 학위논문의 경우, 해당 자료

들을 직접 수집하거나 URL 연계와 dCollction을 통해 수집하며, [그림 6]과 같이

DDOD 등을 통해서도 수집하고 있다. 학술논문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해당 자료

들을 구축하거나, dCollection과 민간DB업체 논문 URL 연계를 통해 자료들을 수

집 중이다. 그리고 기타자료의 경우, 선별하여 구분하기 어려운 자료들이 있어 통합

검색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있다4).

[그림 6] KERIS 해외자료 제공서비스

(http://www.keris.or.kr/인용 2013. 09. 26)

4) RISS (인용 2013. 11. 21), http://www.riss.kr/

Page 3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2 -

회색문헌 구분 소장 건수

학위논문 1,142,000건

국내학술논문 3,412,000건

해외학술논문 41,307,000건

공개강의 226,000건

기타자료 1,427,000건

<표 7> KERIS 소장 회색문헌 수(2013.11.20.기준)

3.1.2 국가도서관

3.1.2.1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에 개관되었으며, 국내에서 발행된 출판물이나 자료원

등의 방대한 정보원들을 국민에게 제공하는 중요기관으로서 기능하고 있다5).

국립중앙도서관은 회색문헌 중 주로 “각종 연구 및 조사보고서, 학술대회 및 세

미나 자료집, 회의 자료 등을 선택적으로 수집한다. 외국 학술단체가 발간한 회색문

헌들의 경우 학술연구를 위한 자료적 가치, 국제적 인지도와 영향력, 활동범위 등을

판단기준으로 삼아 선별적으로 수집하거나 수용하고 있으며, 외국자료 중 각종 보

고서 등은 국가기록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 연구재단 등의 전문기관과 협

력하여 분담 수집하고, 자료 접근성을 높인다. 더불어 보고문헌의 경우, 국내자료는

망라적 수집을 지향하고, 외국 보고문헌은 외국공관, 선진국 과학기술 단체, 국제기

구 등을 통해 일괄 구입하고 수증·교환을 통하여 보완한다”(국립중앙도서관 2011).

수집대상 중 학술지의 ‘회색문헌’ 범위에는 회의자료, 보고서(연차보고서 제외),

업무매뉴얼, 업무보고서, 업무계획서, 사례집, 강의교재, 강연회(강연집), 제안서, 업

무계획, 지침서 등이 포함된다. 또한 회의자료에는 위에서 언급했던 세미나, 워크샵,

학술대회, 학술발표, 총회 자료가 포함된다. 이 밖에 국립중앙도서관이 자체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기관발행물로는 오늘의 도서관, 도서관, 연보, 도서관연구소웹진 등

이 있다.

이용자들은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자료에 대한 목차나 MARC 정보를 열

람할 수 있다. 자료의 원문 이용을 위해서는 관내 자료검색용 PC에서 자료를 신청

한 다음 자료실에서 이용할 수 있고, 원문파일이 웹사이트에 있는 경우 해당 PC를

통해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6).

5) 국립중앙도서관 (인용 2013. 09. 30), http://www.nl.go.kr/

6) 디라이브러리 (인용 2013. 09. 30), http://www.dibrary.net/

Page 3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3 -

2013년 한 해에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한 회색문헌은 <표 8>과 같이 나타나는

데, 보고서_동양서가 5,946건, 보고서_서양서가 4건, 회의자료_동양서가 1,555건,

회의자료_서양서가 44건, 학술지_동양서가 271건, 학술지_비도서가 66건, 일반_동

양서가 12,630건, 일반_서양서가 31건, 일반_비도서가 1,354건으로 총 39,730건이

며, 이는 국립중앙도서관이 매년 방대한 양의 회색문헌을 수집, 관리하고 있음을 보

여준다.

[그림 7] 디라이브러리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http://www.dibrary.net/인용 2013. 09. 30)

[그림 8]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 기준

(http://www.nl.go.kr/인용 2013. 09. 30)

Page 3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4 -

회색문헌 구분 소장 건수(책수)

보고서_동양서 5,946건

보고서_서양서 4건

회의자료_동양서 1,555건

회의자료_서양서 44건

학술지_동양서 271건

학술지_비도서 66건

일반_동양서 12,630건

일반_서양서 31건

일반_비도서 1,354건

전체 39,730건

<표 8> 2013년 한해에 수집된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

(2013.11.04.기준)

3.1.2.2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은 국내 및 해외의 다양한 정보지식들을 수집해 국회와 국민에게 제공

하고 있으며, 주로 국내의 석사·박사학위 논문, 국내 및 해외 학술 원문 등의 방대

한 자료원들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KISTI 2002b).

국회도서관이 수집 및 제공하는 회색문헌의 형태로는 주로 세미나 자료, 정부제

출자료목록, 국회공보, 정부 및 기관 간행물 등의 국가기록물 및 석·박사 학위논문

의 목록과 원문, 원문데이터베이스 등이 있으며, 국회도서관의 자체 기관 간행물로

는 (월간)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 연간보고서, 국회도서관 안내, 팩트북, 입법현안

법률정보, 글로벌핫이슈, 외국법률번역목록집, 주요 인터넷 정책정보 등이 있다(KIS

TI 2002b).

국회도서관은7) “일반적으로 외국의 정부간행물, 의회·법령자료, 회색문헌은 매체

의 유형에 관계없이 적극적으로 수집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학·협회 발간자

료는 전 분야 수집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입수하기 힘든 외국의 정부간행물, 의

회회의록, 연구보고서 등의 자료는 국제교환 및 기증 요청을 통해 수집하고 있다.

또한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기관 및 교육ㆍ연구기관의 간행물이나 학·

협회 간행물은 기증 요청을 통하여 수집하고, 국회의원 저서, 의정보고서 및 정책자

료집, 국회 위원회자료 등은 적기에 방문하여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그리고 국내 학

위논문의 경우 각 대학에 기증요청 후 출장 수집과 우편 수집을 병행하여 빠짐없이

7) 국회도서관 (인용 2013. 09. 30), http://www.nanet.go.kr/

Page 3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5 -

수집하며, 국내 세미나 자료는 우편수집과 전자자료 수집을 병행하여 망라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이렇게 수집된 회색문헌 자료들을 도서관을 방문해 열

람 및 대출하거나, 웹 사이트를 통해 TIFF, PDF 형식의 원문 파일로 이용할 수 있

다.

[그림 9] 국회도서관 회색문헌 관련 수집 기준(국내외 기증자료)

(http://www.nanet.go.kr/인용 2013. 09. 30)

2013년 10월 31일 기준, 국회도서관이 원문으로 제공하고 있는 회색문헌 자료로

는 입법부 발간자료가 13,810건, 세미나 자료가 32,692건, 학위논문이 805,976건,

국내학술지가 1,495,765건, 인터넷자료가 11,130,720건 등이 있다.

회색문헌 구분 소장 건수

입법부 발간자료 13,810건

세미나 자료 32,374건

학위논문 798,690건

국내학술지 1,482,701건

인터넷 자료 346,885건

전체 2,674,460건

<표 9> 국회도서관 소장 회색문헌 수(원문정보 제공)

(2013.10.31.기준)

Page 4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6 -

3.2 국외 동향 분석

3.2.1 국가기관

3.2.1.1 미국 국립기술정보서비스국(NTIS)

미국 국립기술정보서비스국(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 이하

NTIS)은 연방정부의 재정적 지원 하에 과학, 기술, 공학 그리고 비즈니스와 관련한

정보원들을 수집 · 관리하는 세계 최대의 중앙 정보서비스 기관이며, 혁신과 새로운

발견을 반영하는 정보원들을 제공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적 성장을 촉진시켜야 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8).

NTIS는 기술보고서를 중점적으로 수집 및 관리하는데, 그 외에도 정부 문서, 학

술 논문 등의 다양한 회색문헌들과 캐나다, 유럽 등 해외 정부기관들의 회색문헌들

도 수집하고 있다. NTIS는 America's Technology Preeminence Act(1991)의 “연

방정부의 재정적 지원 하에 수행된 모든 과학, 기술, 공학적 정보의 연구개발 보고

서는 발행 후 15일 이내에 NTIS에 납본해야 한다.”라는 법적 근거를 통해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한다(NTIS 2010). 현재 미국에서 생산된 기술보고서 28,037건, 회의

프로시딩 자료 1,428건, 특허자료 21건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NTIS 2010).

NTIS는 온라인 이용자들을 위해 수집한 회색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회색

문헌의 제목, 저자, 초록, 키워드, 자료형태, NTIS 주제카테고리, 발행번호 등-을

[그림 10]과 같이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한다.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정 금액을

지불한 후 해당 정보원을 복사하거나 PDF 형식의 파일로 된 전자문서, 혹은 상품

화된 CD의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림 10] NTIS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http://www.ntis.gov/인용 2013. 10. 02)

8)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인용 2013. 10. 02), http://www.ntis.gov/

Page 4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7 -

3.2.1.2 캐나다 과학기술정보연구소(CISTI)

캐나다 과학기술정보연구소(Canada Institute for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

rmation;이하 CISTI)9)는 과학, 기술, 공학과 의학 분야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하는

세계 주요 정보기관 중에 하나이며 국가연구위원회(The National Research Counc

il of Canada)의 산하 기구이다. CISTI는 National Research Council Act 5 (1)

(i) 법에 의거해 설치되었으며, 주요 이니셔티브로는 캐나다의 연구 및 혁신, 건강

커뮤니티들이 속해 있다. CISTI의 컬렉션은 현재 북아메리카에서 규모가 가장 크

며, 세계의 물리학부터 시작해서 생명 과학, 공학, 기술, 비즈니스까지의 다양한 생

산 정보들을 포함한다.

CISTI가 관리하는 회색문헌은 주로 회의 프로시딩과 기술 보고서이며, 이는 대부

분 NRC 아카이브를 통해 수집된다. CISTI는 2백만 건 이상의 기술보고서를 소장

하고 있으며, 중점적인 수집 대상 역시 전 세계의 기술보고서들이다. CISTI의 자료

들은 해당 자료실과 웹사이트를 통해 검색 및 이용이 가능하며, Infotrieve Canada

Inc. 등록을 통해 문헌 복사 및 자료의 원문이용이 가능하다.

[그림 11] CISTI의 회색문헌 수집 분야

(http://cisti-icist.nrc-cnrc.gc.ca/인용 2013. 10. 02)

3.2.1.3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이하 JST)는10)

일본의 과학 및 기술정책을 발전시키고 이들의 기본적인 계획을 실행하고 책임지는

중요 기관의 하나이며, 과학기술과 관련한 자료원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색문헌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다(이지연 2006).

JST가 주로 수집하고 있는 회색문헌의 유형으로는 유전학 및 화학 관련 분야의

과학기술보고서, 특허, JST Breakthrough Report와 같은 기관간행물, 국내 보고서

9) Canada Institute for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인용 2013. 10. 02),

http://cisti-icist.nrc-cnrc.gc.ca/

10)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인용 2013. 10. 05), http://www.jst.go.jp/

Page 4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8 -

등이 있다. 이들은 이용자들에게 PDF 형식의 파일로 온라인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해당 자료들의 그림 및 표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도 함께 제공된다.

더불어 JST는 J-GLOBAL, J-GLOBAL foresight, ReaD&Researchmap, Web

learning plaza, Science Links Japan, Asia Science and Technology Portal 등

의 여러 데이터베이스들을 제공하는데, 이 중에는 이용자들이 해당 문헌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도록 영어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들도 있다.

[그림 12] JST 제공 데이터베이스

(http://sti.jst.go.jp/인용 2013. 10. 05)

3.2.1.4 독일 FIZ KARLSRUHE

독일의 FIZ(Fachinformationszentrum) Karlsruhe는11) 국제적인 과학 정보와 서

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자와 회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적 연구와 특허 정보

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

고 있다. 또한 FIZ Karlsruhe는 해당 정보들을 주로 대학기관, 연구협회 등을 통해

조직화 시키고 있다.

FIZ Karlsruhe는 방대한 정보원들을 수집 및 분석하는데, 대략 15억 이상의 문

서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FIZ Karlsruhe가 주로 수집하는 회색문헌의

종류로는 특허 정보, 연구보고서, 과학저널, 프로파일 등이 있다. 자료들은 요청을

통해 원문 파일이나 프린트 형식으로 제공되지만, 초록정보는 이메일, 팩스 등을 통

해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정보는 유료로 제공된다.

11) FIZ KARLSRUHE (인용 2013. 10. 06), http://www.fiz-karlsruhe.de/

Page 4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29 -

[그림 13] FIZ Karlsruhe의 주요 회색문헌 수집물

(http://www.fiz-karlsruhe.de/ 인용 2013. 10. 06)

3.2.1.5 유럽회색문헌정보시스템(SIGLE)

유럽회색문헌정보시스템(System for Information on Grey Literature;이하 SIG

LE)은12) 1980년, 유럽 커뮤니티 국가들에서 생산된 회색문헌들을 수집하고 이용하

기 위해 창설되었다.

1985년 SIGLE의 전체적인 관리를 위해 EAGLE이라는 유럽지역을 기반으로 하

는 협력체가 형성되어 각 국의 SIGLE 센터를 통해 회색문헌을 수집 및 관리하게

하였으나 이는 2005년 해체되었고, SIGLE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변환되었다.

이후 SIGLE은 OpenSIGLE 프로젝트로 착수되었으며, 이름을 OpenGrey로 개칭하

였다(권선영 2002).

SIGLE이 주로 수집하는 회색문헌으로는 기술 및 연구보고서들, 학위논문, 회의자

료, 정부출판물 등이 있으며, 과학, 기술, 생물의학, 경제학, 사회과학 및 인류학의

전 범위의 분야들을 다루고 있다. 해당 자료들에는 기본적으로 제목, 저자, 서명, 분

류번호, 자료유형, 보고서번호, 언어 등의 서지사항 및 자료의 복사 및 이용가능한

부서 및 서비스가 기입되어 있다. 자료들은 OpenGrey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모두 무료로 이용가능하며, 요청을 통해 원문을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12) System for Information on Grey Literature (인용 2013. 10. 08), http://www.opengrey.eu/

Page 4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0 -

[그림 14] OpenGrey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http://www.opengrey.eu/인용 2013. 10. 08)

3.2.2 국립도서관

3.2.2.1 미국의회도서관(LC)

미국의회도서관(The Library of Congress;이하 LC)은 독립적인 국가 컬렉션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 내에서 생산된 기술 보고서, 워킹 페이퍼, 프리프린트 등에 중

점을 두고 자료들을 수집하며, 클리닉 의학과 기술 농업을 제외한 물리학, 자연학,

사회·정치과학 등 모든 주제들의 정보원들을 수집 대상으로 한다(LC 2008).

LC는 회색문헌 중 기술보고서들을 중점적으로 수집하는데, 대부분 NASA 리포트

와 같은 정부 기관들로부터 직접 입수하거나, 온라인에서 접근 가능한 오픈액세스

소스들, 구입된 NTIS microfiche, 구독 데이터베이스, 유럽 외국대학들에서의 교환

프로그램 및 자발적 협회 등을 통해 입수할 수 있는 자료들을 기본적으로 수집하고

있다(LC 2008). 또한 LC는 Technical Reports and Standards (TRS) unit의 과

학, 기술, 그리고 비즈니스 영역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실질적으로 수백만의 정부발

행 문서들과 함께 연방 정부, 대학,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다수의 국제적 조직들에

의해 생산된 기술 보고서들 역시 수집 및 관리한다13).

수집된 기술보고서들은 현재 150만 건 이상이고, 연간물들은 온라인 카탈로그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동시에 관내의 Science & Business Reading Room에서

열람이 가능하다(http://www.loc.gov/rr/scitech/trs/trslocating.html). 반면 TRS

자료들은 관내의 해당 공간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이용자들은 LC 복사 서비스를

통해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13) The Library of Congress (인용 2013. 10. 10), http://www.loc.gov/

Page 4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1 -

3.2.2.2 영국도서관(BL)

영국도서관(British Library;이하 BL)에는 영국도서관 문헌제공서비스(BLDSS:

British Library Document Supply Service) 부서가 있다. 이는 이전의 영국도서관

문헌제공센터(BLDSC: British Library Document Supply Center)를 개칭한 것으

로서, 이용자들이 온라인 상으로 다양한 자료 및 회색문헌들을 검색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14).

여기에서 주로 제공하고 있는 회색문헌으로는 주로 회의자료, 보고서, 특허, 정부

간행물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검색은 웹사이트 상에서 가능하지만 다운로드 정보

제공은 유로이며, 영국도서관에 등록한 이용자만이 자료 요청 및 주문을 통해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영국도서관은 The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 Archive라는 부서를 통

해 1940년대부터 1997까지의 15,000권이 넘는 무료 정보들과 전단지, 포스터, 소

책자 및 기타 홍보 자료 등과 같은 특별한 회색문헌들을 수집하여 소장하고 있다.

이 정보원들은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이 영국정부 부서들과 기관들을 위해

디자인하고 생산한 것으로써, 복본 set로 수집되고 있다. 해당 정보원들에는 제목,

발행 부서 이름, 발행일, 언어 및 위치코드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들이 표기되어

있으며, 열람은 도서관 사회과학실에서만 이용가능하다.

[그림 15] The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 Archive의 회색문헌 수집물

(http://www.bl.uk/인용 2013. 10. 13)

14) British Library (인용 2013. 10. 13), http://www.bl.uk/

Page 4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2 -

3.2.2.3 호주국립도서관(NLA)

호주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Australia;이하 NLA)15)은 호주의 문화적 유

산을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한 기관 중의 하나로써,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Act 1960에 근거하여 호주와 그 외 도서관의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보존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NLA는 주로 자료의 역사 및 문화적 중요성, 자료의 가치 및 희귀성, 자료에 대

한 수요, 사회적 트렌드에 따라 자료들을 수집하는데, 회색문헌으로는 기술보고서,

연구보고서, 회의자료, 멀티미디어자료 등을 수집 및 관리하고 있다(국립중앙도서관

2012).

이용자는 도서관 카드를 이용해 회색문헌 자료들을 해당 자료실에 열람 요청하거

나 복사할 수 있으며, 이는 유료로 제공된다. 해당 자료에 대한 목록은 인터넷 사이

트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ID, 제목, 저자, 포맷, 이용 빈도 등의 사항

이 기록되어 있다.

[그림 16] NLA Technical Report 화면 예시

(http://www.nla.gov.au/인용 2013. 10. 22)

15)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인용 2013. 10. 22), http://www.nla.gov.au/

Page 4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3 -

4.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 환경 분석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수집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웹 설문조사

와 웹사이트 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웹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학 내 연구기관 및

산학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웹 사이트 조사를 통해서는 대학, 학회,

재단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 및 학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에서는 전반적인 보유현황(자료유형별, 주제분야별, 기관 설립연도별) 파악 및

세부적인 보유현황(전체 및 주제분류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단에 대해서는 웹사

이트 분석을 통해 재단 회색문헌의 보유현황을 분석하였다.

4.1 연구기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설문조사 분석

웹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대학 내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분석하였다. 웹 설문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

법, 연구보고서 및 논문의 제출 범위,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효과적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한 설문의 답변을 분

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대학 내 연구기관 및 산학협력단, 교무처 등을 대상으로 한 웹 설문조사의 설문

기간은 2013년 10월 21일 부터 12월 11일 까지며, 설문에 참여한 기관의 수는 총

81개 기관이다. 각 문항별 응답 기관수는 다음 <표 10>과 같다.

문항 응답 기관수 응답률

1-1번 74개 91.36%

1-2번 66개 81.48%

2-1번 60개 74.07%

2-2번 50개 61.73%

3번 58개 71.60%

4번 69개 85.19%

5번 11개 13.58%

<표 10> 각 문항별 응답 기관수

Page 4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4 -

4.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

웹 설문조사의 1-1문항에서는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에 대해

서 질문을 하였다. 각 유형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제출을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하

였고, 다음 [그림 17]과 <표 11>과 같은 응답을 받았다.

[그림 17] 문항 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

그 결과 대학 내 연구기관들은 회색문헌을 오프라인으로 제출받고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오프라인으로 제출받는 경우 가장 많은 유형은 기관발행학술지이고,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세미나/워크샵자료, 논문발표집/회의자료, 최종보고서, 기관

간행물 등도 다수 제출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가장 많이

제출받는 자료는 최종보고서와 기관발행학술지인 것으로 미루어보아, 기관발행학술

지를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가장 많이 제출받는 유형임을 알 수 있다.

Page 4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5 -

자료유형온라인 (13개) 오프라인 (42개)

빈도 순위 선택율 빈도 순위 선택율

최종보고서 14 1 58.3 45 4 67.2

중간산출물 7 7 29.2 31 8 46.3

기관발행학술지 12 2 50 51 1 76.1

기관간행물 9 4 37.5 44 6 65.7

논문발표집/회의자료 9 4 37.5 45 4 67.2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10 3 41.7 50 2 74.6

세미나/워크샵 자료 5 10 20.8 46 3 68.7

강좌/강연자료 4 11 16.7 35 7 52.2

표/통계자료 7 7 29.2 28 9 41.8

멀티미디어자료 6 9 25 24 10 35.8

웹자료 9 4 37.5 22 11 32.8

기타자료 0 12 0 13

<표 11> 문항 1-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물 유형 및 방법(데이터)

문항 1-2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이 가능한 자료 유형 및 방법에 대해서 질

문하였으며, 이 역시 1-1문항과 마찬가지로 자료유형별로 온·오프라인을 구분하여

질문하였다. 응답받은 결과는 [그림 18]과 <표 12>와 같다.

[그림 18] 문항 1-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자료 유형 및 방법

응답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이 가능한 자료 유형으로는 오프라인을 많이

Page 5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6 -

응답하였으며, 자료 유형으로는 대부분 골고루 응답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선택률

이 60%가 넘는 자료 유형은 최종보고서, 중간산출물, 기관발행학술지, 기관간행물,

논문발표집/회의자료,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세미나/워크샵 자료 등으로, 앞으로 이

들에 대한 수집이 가능하리라 예상한다. 응답 결과 의외로 온라인을 통한 제출에

대해서는 다소 주춤함을 알 수 있었다.

자료유형온라인 (10개) 오프라인 (38개)

빈도 순위 선택률 빈도 순위 선택률

최종보고서 11 1 61.1 35 6 61.4

중간산출물 5 5 27.8 25 8 43.9

기관발행학술지 5 5 27.8 44 1 77.2

기관간행물 4 9 22.2 39 2 68.4

논문발표집/회의자료 5 5 27.8 36 5 63.2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6 3 33.3 38 3 66.7

세미나/워크샵 자료 4 9 22.2 37 4 64.9

강좌/강연자료 4 9 22.2 28 7 49.1

표/통계자료 6 3 33.3 23 9 40.4

멀티미디어자료 7 2 38.9 20 11 35.1

웹자료 5 5 27.8 21 10 36.8

기타자료 0 12 0 11

<표 12> 문항 1-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자료 유형 및 방법(데이터)

4.1.2 연구보고서 및 논문 제출 범위

문항 2-1에서는 연구보고서의 제출 범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표지와 요약문만

받는 경우와, 원문 전체를 받는 경우를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응답결과는

다음 <표 13>과 [그림 19]와 같다.

자료유형교내연구 (32개) 교외연구 (22개)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연구보고서 (표지/요약문) 15 26% 9 24%

연구보고서 (원문전체) 42 74% 29 76%

<표 13> 문항 2-1, 연구보고서 제출 범위(데이터)

Page 5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7 -

연구보고서의 경우 교내연구와 교외연구에 대해서 자료유형별로 제출 받는 비율

은 비슷하게 나타났고, 연구보고서의 원문 전체를 제출받는 경우가 교내연구 74%,

교외연구 76% 정도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서, 다수의 학교가 원문 전체를 제출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19] 문항 2-1, 연구보고서 제출 범위

문항 2-2에서는 2-1과 같이 연구논문의 제출 범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이 문

항에서도 표지와 요약문만 받는 경우와, 원문 전체를 받는 경우를 구분하여 응답하

도록 하였으며, 응답결과는 다음 <표 14>와 [그림 20]과 같이 나타났다.

자료유형교내연구 (30개) 교외연구 (21개)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연구논문 (표지/요약문) 9 18% 8 24%

연구논문 (원문전체) 40 82% 26 76%

<표 14> 문항 2-2, 연구논문 제출 범위(데이터)

연구논문의 경우도 교내연구와 교외연구에 대해서 자료유형별로 제출 받는 비율

은 비슷하게 나타났고, 연구논문의 원문 전체를 제출받는 경우가 교내연구 82%, 교

외연구 76% 정도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서, 다수의 학교가 원문 전체를 제출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5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8 -

[그림 20] 문항 2-2, 연구논문 제출 범위

4.1.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다음은 문항 3에서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에 대한 질문으로, 해당

응답을 받은 것을 분석하여 [그림 21]과 <표 15>로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현재까

지 확보하고 있는 연구성과물들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질

문하였고, 58개의 기관들 중 중복체크를 허용하여 응답을 받았다. 그 결과 제목/과

제명과 연구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관이 53개 기관으로, 대부분의 기관에

서 제목/과제명과 연구자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자

료의 유형이나 연구기관/소속, 연구비지원기관에 대한 정보도 다수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1] 문항 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Page 5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39 -

자료유형 빈도 순위 선택율

제목/과제명 54 1 93.1

자료의 유형 48 4 82.8

연구자 53 2 91.4

연구기관/소속 50 3 86.2

연구비 지원기관 43 5 74.1

자료내용 요약 23 6 39.7

개요 14 7 24.1

목차 13 8 22.4

기타 2 9 3.4

<표 15> 문항 3, 확보된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데이터)

4.1.4 효과적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견

문항 4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효과적으로 회색문헌을 수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고, <표 16>과 [그림 22]와 같은 응답을 얻었다. 42개의 기

관이 응답하였으며, 중복 체크를 불가능하게 하여 응답을 받은 결과, 회색문헌을 수

집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연구재단 연계(응답률 4

2%)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왔다. 이는 연구자들이 연구재단에 직접 제출하는 연구

물의 수가 학교 차원에서 제출받는 경우보다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

으로는 연구업적평가시스템 연계(응답률 21.7%), 연구기관 단위(20.3%) 순의 응답

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업적평가시스템이란 학교에서 자체적으

로 관리하고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이며, 연구기관 단위는 각각의 학교 내에

있는 연구소들에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뜻한다.

자료유형 빈도 순위 백분율

연구업적평가시스템 15 2 21.7

연구기관 단위 14 3 20.3

연구재단 연계 29 1 42

자료의 종류에 따라 7 4 10.1

기타의견 4 5 5.8

<표 16> 문항 4, 국립중앙도서관의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 방법(데이터)

Page 5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0 -

[그림 22] 문항 4, 국립중앙도서관의 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 방법

문항 4-1에서 자료의 종류에 따른 수집방법에 대해 기타 의견을 물어보았을 때,

아이디 otan**는 모든 자료 유형에 대해 “해당 기관과 직접 연락”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하였으며, 이어 아이디 hnka**는 “각 교수별 자료제공 동의가 필요하기 때

문에 동의하신 교수들에 대해 개별 수집이 바람직함”이라고 응답하였음을 알 수 있

었다.

Page 5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1 -

4.2 정부 및 공공기관 회색문헌 수집현황 분석

정부 및 공공기관 회색문헌 수집현황 분석을 통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현재 수

집한 회색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공공기관 전체 현황 분석을

통한 공공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분석과, 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수집현황을 통

한 기관별 수집현황 파악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데이터는 2013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수집

현황으로, 회색문헌 수집 팀을 구성한 후 수집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립중

앙도서관에서는 2013년 이전에도 회색문헌을 부분적으로 수집해 왔으나, 이를 별

도로 관리하지는 않고 다른 자료 수집에 포함해 실시해 왔다.

4.2.1 정부 및 공공기관 전체 현황 분석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분석은 다음과 같다. 회의자료가 보고서

에 비해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3] 공공기관 전체 현황 분석

Page 5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2 -

4.2.2 기관별 회색문헌 수집현황

회색문헌 수 상위 10위 기관들의 수집현황을 파악하여 자료유형별, 자료연도별로

[그림 24]와 같이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공공기관 중 과학기술처의

회색문헌 수집이 가장 많았고, 그 외 문화체육관광부, 국토해양부,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보건복지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농림

수산식품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순으로 분포한다16).

[그림 24] 기관별 수집현황(상위 10위)

16) 2013년 3월 23일 「정부조직법」(법률 제11690호) 전부개정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국토해양부는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로, 농림축산부는 농림축산식품부로 개

편되는 등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부서의 명칭변경이 있어왔다

Page 5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3 -

1)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처에는 회의자료만 있으며, 1997년도가 최신 자료이다. 과학기술처의 자

료가 1997년도까지만 수집된 이유는 이후 기관의 명칭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1998년에 과학기술부로 승격하였고, 2008년에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되었다.

[그림 25] 과학기술처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2)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이다.

[그림 26] 문화체육관광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Page 5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4 -

3)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이다.

[그림 27] 국토해양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이다.

[그림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Page 5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5 -

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

이다.

[그림 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6)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와 2013년도 자료가 다수이

다.

[그림 30] 보건복지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Page 6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6 -

7)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 2013년도 자료가 다수

이다.

[그림 31] 한국교육개발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이다.

[그림 32]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Page 6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7 -

9)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와 2013년도 자료가 다

수이다.

[그림 33] 농림수산식품부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는 회의자료가 다수 분포하며, 2012년도 자료가 다수이다.

[그림 34]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유형 및 연도별 자료 수

Page 6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8 -

4.3 대학 부설 연구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대학 내에 있는 연구소들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 대학 부설

연구소들의 웹페이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학 전체 현황 분석, 회색문헌 보

유현황(전체),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을 제시하였다.

4.3.1 대학 부설 연구소 전체 현황 분석

대학 전체 현황 분석에서는 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 수 및 접속된 연구소의 자료개수에 대한 전체 분석, 2)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을 분석하였다.

1)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 수 및 접속된 연구소의 자료개수에 대한 전체 분석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체육, 공학, 의약학, 복합학, 자연과학, 농수해양의 8가지

주제 분야로 나뉜 분류에 따라 전체 연구소의 수와 조사된 연구소의 수, 접속되지

않거나 자료 유무, 자료가 있는 비율을 도출해냈으며, 자료가 있는 사이트의 자료들

을 파악하여 각 주제 분야별 자료의 개수를 도출하였다. 조사한 연구소 수 대비 자

료의 개수를 살펴보기 위해 주제 분야별 각 연구소 당 자료수를 산출(평균)해냈으

며, 이를 다음 <표 17>에서 제시하였다.

주제분야연구소

조사

연구소

접속

안됨

자료

없음

자료

있음

자료

있는

비율

자료

개수

연구소당

자료 수

사회과학 619 342 90 113 139 40.64 16,468 48.15

인문학 390 206 47 62 97 47.09 7,272 35.30

예술체육 124 77 18 41 18 23.38 627 8.14

공학 581 320 128 101 91 28.44 8,671 27.10

의약학 202 96 21 35 40 41.67 4,476 46.63

복합학 84 42 7 11 24 57.14 1,280 30.48

자연과학 301 158 47 57 54 34.18 3,498 22.14

농수해양 72 37 9 14 14 37.84 2,316 62.59

합계 2,373 1,278 367 434 477 37.32 44,60834.90

(평균)

<표 17>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 수 및 접속된 연구소 자료개수에 대한 분석

Page 6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49 -

2)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전반적인 연구소의 주제 분야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 35]와 같다. 조사 결

과 사회과학(26%)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공학(25%), 인문학(1

6%)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5]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연구소의 세부 주제 분야(총 94개)에 따른 학회의 수와 그 비율의 상위 5위를 살

펴보면 다음 [그림 3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세부 주제 분야 중 공학(16.35%)

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인문학(12.66%), 자연과학(9.57%), 의약

학(5.32%), 식품과학(3.75%)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구소의 경우, 공

학 및 자연과학, 의약학과 같은 이공계분야의 분포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그림 36]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연구소의 수 및 비율

Page 6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0 -

4.3.2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에서는 대학이 보유한 회색문헌 전체를 대상으로 한 빈

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1) 자료유형별 분포, 2)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3) 세부 주

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1) 자료유형별 분포

대학 부설 연구소의 자료유형별 분포는 다음 [그림 37]와 같이 나타난다. 세미나

/워크샵자료가 25.97%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최종보고서가 25.93%로 세

미나/워크샵자료와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이후로는 proceeding(8.96%), 멀

티미디어(8.73%), 강좌/강연자료(8.71%) 순으로 높은 분포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림 37] 대학 부설 연구소의 자료유형별 분포

Page 6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1 -

2)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대학 부설 연구소의 주제분야별로 자료의 개수 및 비율을 살펴보면 [그림 38]과

같다. 사회과학(36.92%) 분야가 가장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학(19.44%), 인문학(16.30%), 의약학(10.03%), 자연과학(7.84%) 순으로 분포하

고 있다.

[그림 38] 대학 부설 연구소의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세부 주제 분야로 살펴보면, 사회과학이 가장 높은 비율(16.68%) 차지하며, 그

외에 인문학(10.28%), 기계공학(7.92%), 의약학(6.98%), 자연과학(6.32%) 순으로

상위 자료 수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즉, 전반적으로 사회과학 및 인문학 분야가

회색문헌을 다량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 수 있다.

[그림 39] 대학 부설 연구소의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Page 6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2 -

4.3.3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에서는 대학이 보유한 회색문헌을 주제 분류별로

나누어 각 주제 분류 내 회색문헌의 분포파악을 하였고, 1) 주제 분야별로 전체 연

구소 중 회색문헌을 보유한 연구소 비율, 2)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3)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1) 주제 분야별로 전체 연구소 중 회색문헌을 보유한 연구소 비율

웹사이트 조사결과, 대학 부설 연구소에서 주제 분야별로 회색문헌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연구소들의 비율을 다음 [그림 40]과 같이 나타냈다. 이는 조사된

주제 분야별 연구소를 100%로 놓고 보았을 때, 조사된 사이트 내에 회색문헌이 있

는 경우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 비율은 복합학(57.14%)과 인문학(47.09%), 사회과

학(40.64%)이 가장 높으며, 평균 38.80%를 보유하고 있어, 학회에 비해서는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0] 주제 분야별 회색문헌 보유 연구소 비율

Page 6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3 -

2)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문헌 유형

다음은 자료유형 및 주제 분야별로 각각이 보유하고 있는 회색문헌의 수를 제시

하였다. 1,000단위 이상은 모두 음영으로 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회과학분야의

최종보고서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세미나/워크샵자료는 대

부분의 분야에서 다수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자료유형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체육 공학 의약학 복합학 자연과학 농수해양

최종보고서 5,362 954 82 2,565 579 139 885 1,003

중간산출물 223 25 0 14 0 31 0 0

기관발행학술지 278 270 54 61 9 79 48 26

기관간행물 676 323 38 466 131 113 285 2

proceeding 1,763 1,340 51 153 156 271 149 114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114 44 1 334 1,234 111 75 469

세미나/워크샵자료 3,817 2,352 60 1,250 1,858 184 1,554 508

강좌/강연자료 1,115 1,275 94 388 330 286 230 166

표/통계자료 46 0 0 0 0 0 0 0

멀티미디어자료 264 629 242 2,645 12 34 67 0

웹자료 2,735 60 5 2 2 32 69 0

특허 75 0 0 793 165 0 136 28

<표 18>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Page 6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4 -

3)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위의 <표 18>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 41]과 같다. 이를 통해 특허 및

멀티미디어자료는 공학, 웹자료 및 표/통계자료, 중간산출물은 사회과학, 강좌/강연

자료 및 세미나/워크샵자료, proceeding, 기관발행학술지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학

술대회논문발표자료는 의약학, 기관간행물 및 최종보고서는 사회과학과 공학에 다

수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그림 41] 주제 분야별 연구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Page 6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5 -

4.4 학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학회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을 위해서 각 학회의 웹페이지를 파악하여 학회

전체 현황 분석,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을 제시하

였다.

4.4.1 학회 전체 현황 분석

학회 전체 현황 분석에서는 학회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1)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 수 및 접속된 학회의 자료개수에 대한 전체 분석, 2)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을

분석하였다.

1)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 수 및 접속된 학회의 자료개수에 대한 전체 분석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체육, 공학, 의약학, 복합학, 자연과학, 농수해양의 8가지

주제 분야로 나뉜 분류에 따라 전체 학회의 수와 조사된 학회의 수, 접속되지 않거

나 자료 유무, 자료가 있는 비율을 도출해냈으며, 자료가 있는 사이트의 자료들을

파악하여 각 주제 분야별 자료의 개수를 구해냈다. 조사한 학회 수 대비 자료의 개

수를 살펴보기 위해 주제 분야별 각 학회 당 자료수를 산출(평균)해냈으며, 이를 다

음 <표 19>에서 제시하였다.

주제분야 학회 수조사

학회 수

접속

안됨

자료

없음

자료

있음

자료

있는 비율

자료

개수

학회당

자료 수

사회과학 816 396 60 31 305 77.02% 53,099 134.09

인문학 563 208 38 12 158 75.96% 13,025 62.62

예술체육 180 90 23 7 60 66.67% 2,506 27.84

공학 242 137 11 6 120 87.59% 52,911 386.21

의약학 327 167 19 14 134 80.24% 14,287 85.55

복합학 134 65 12 5 48 73.85% 9,651 148.48

자연과학 128 56 5 5 46 82.14% 7,269 129.80

농수해양 70 36 2 2 32 88.89% 10,636 295.44

합계 2,460 1,155 170 82 90379.05%

(평균)163,384

141.46

(평균)

<표 19>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 수 및 접속된 학회 자료개수에 대한 분석

Page 7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6 -

2)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전반적인 학회의 주제 분야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 42]와 같다. 결과상으

로, 사회과학(33%)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는 인문학(23%)과 의

약학(13%)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2]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학회의 세부 주제 분야(총 139개)에 따른 학회의 수와 그 비율의 상위 5위를 살

펴보면 다음 [그림 43]과 같이 나타난다. 세부 주제 분야 중 교육학(5.98%)이 가

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사회과학(4.55%), 법학(3.78%), 인문학(3.50

%), 역사학(3.41%)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문사회학분야가 상위 5

위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그림 4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학회의 수 및 비율

Page 7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7 -

4.4.2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

회색문헌 보유현황(전체)에서는 학회가 보유한 회색문헌 전체를 대상으로 한 빈

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1) 자료유형별 분포, 2)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3) 세부 주

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1) 자료유형별 분포

학회의 자료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 44]와 같이 나타난다. 특허가 2

6.85%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그 외 기관간행물(18.06%), 최종보고서(16.5

6%), proceeding(14.78%) 순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림 44] 학회의 자료유형별 분포

2)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학회의 주제 분야별로 자료의 개수 및 비율은 다음 [그림 45]와 같다. 사회과학

(32.50%)과 공학(32.38%) 분야가 가장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는 의약학(8.74%), 인문학(7.97%), 농수해양(6.51%), 복합학(5.91%) 순으로 분포되

어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7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8 -

[그림 45] 학회의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3)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세부 주제 분야로 살펴보면, 전자/정보통신공학 분야가 가장 많은 비율(27.17%)

을 차지하며, 그 외에 경제학(8.50%), 사회과학(6.09%), 농수해양(5.89%), 교육학

(4.31%) 순으로 상위 자료 수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공학 분야가 회

색문헌을 다량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자/정보통신공학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료

유형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허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자/정보통신공학을 제외

하면 2~5위를 차지한 경제학, 사회과학, 농수해양, 교육학 분야는 139개 세부주제

중 상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8.5%나 6.09%, 5.89%, 4.31% 등 낮은 비율을

보이며, 분야별로 비슷하게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6] 학회의 세부 주제 분야에 따른 자료 수 및 비율

Page 7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59 -

4.4.3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

회색문헌 보유현황(주제분류별)에서는 학회가 보유한 회색문헌을 주제 분류별로

나누어 각 주제 분류 내 회색문헌의 분포파악을 하였고, 1) 주제 분야별로 전체 학

회 중 회색문헌을 보유한 학회 비율, 2)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3)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1) 주제 분야별로 전체 학회 중 회색문헌을 보유한 학회 비율

웹사이트 조사결과, 학회에서 주제 분야별로 회색문헌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

는 학회들의 비율을 다음 [그림 47]에서 나타냈다. 이는 조사된 주제 분야별 학회

를 100%로 놓고 보았을 때, 조사된 사이트 내에 회색문헌이 있는 경우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 비율은 농수해양(88.89%)과 공학(87.59%), 자연과학(82.14%)이 가장

높으며, 평균 79.05%의 학회가 회색문헌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

은 결과는 앞서 살펴보았던 대학 내 연구소(38.80%)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매우

높은 수치이며, 동시에 대부분의 학회가 회색문헌의 정보를 공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7] 주제 분야별 전체 학회 중 회색문헌 보유 학회 비율

Page 7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0 -

2)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다음은 자료유형 및 주제 분야별로 각각의 학회가 보유하고 있는 회색문헌의 수

를 제시하였다. 1,000단위 이상은 모두 음영으로 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학 분

야의 특허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proceeding, 기관간행물,

최종보고서, 세미나/워크샵자료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다수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자료유형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체육 공학 의약학 복합학 자연과학 농수해양

최종보고서 16,118 1,478 112 241 99 2,240 4,116 2,649

중간산출물 88 172 0 1 73 1 0 4

기관발행학술지 88 54 24 213 57 74 403 26

기관간행물 14,842 2,558 429 2,359 4,336 1,386 554 3,040

proceeding 6,319 5,656 852 2,603 5,477 1,002 1,303 942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1,272 197 365 93 289 99 32 1

세미나/워크샵자료 6,661 2,521 597 1,470 2,462 1,404 750 273

강좌/강연자료 3,927 253 55 83 582 434 29 12

표/통계자료 1,413 0 0 0 0 87 68 3,642

멀티미디어자료 484 115 72 696 148 2,607 9 46

웹자료 1,887 21 0 1,560 764 42 5 1

특허 0 0 0 43,592 0 275 0 0

<표 20>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3)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위의 <표 20>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 48]과 같다. 이를 통해 특허는

공학, 웹자료는 사회과학과 공학, 멀티미디어자료는 복합학, 표/통계자료는 농수해

양, 강좌/강연자료 및 세미나/워크샵자료,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는 사회과학, proce

eding은 사회과학과 인문학과 의약학, 기관간행물은 사회과학과 의약학, 기관발행

학술지는 자연과학과 공학, 중간산출물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최종보고서는 사회과

학과 자연과학에 다수 분포함을 알 수 있다.

Page 7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1 -

[그림 48] 주제 분야별 학회의 보유 회색 문헌 유형 비율

Page 7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2 -

4.5 재단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

재단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분석을 위해서 재단 전체 현황 분석, 회색문헌 보유현

황(전체 및 재단유형별)을 웹페이지를 통해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4.5.1 재단 전체 현황 분석

재단의 유형에 따른 재단 수와 그 비율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을 분석하면 다음

[그림 49]와 같다. 분석 결과 장학재단이 64.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

으며, 다음으로는 종합유형 재단이 13.81%, 장학 및 학술지원 재단이 11.9%의 비

율로 분포한다.

[그림 49] 재단유형에 따른 재단 수 및 비율

4.5.2 재단 회색문헌 보유 현황

1) 회색문헌 보유 현황

재단 보유 회색문헌 중 종 수로 보면 소식지(29개)와 학술행사자료(26개)가 가장

많으며, 전체 자료 수는 연구보고서(1,539개)와 소식지(1,303개) 유형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종 당 평균 자료 수는 연구보고서(평균 76.95개)가 가장 높게 나타

났다.

Page 7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3 -

[그림 50] 회색문헌 유형별 종수 및 전체 자료 수

2) 유형별 회색문헌 보유 현황

조사 결과 종합유형 재단이 가장 많은 회색문헌 자료를 보유(1,214개)하고 있으

며, 그 다음으로 장학 및 문화 재단(945개)과 장학 재단(928개)이 회색문헌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유형 재단은 재단 당 자료 수, 회색문헌 출판

재단 당 자료 수에서도 2위를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장학 및 복지 재단은 등록된 재단 수(10개)가 가장 적으며,

회색문헌 자료 수 역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재단 유형재단

회색문헌 출판

재단 수(비율)

회색문헌

종수

회색문헌

자료 수

재단 당

자료 수

회색문헌

출판 재단

당 자료 수

장학 135 28(20.74) 46 928 6.87 33.14

장학 및 학술지원 25 14(56) 33 417 16.68 29.79

장학 및 문화 12 3(25) 7 945 78.75 315

장학 및 복지 10 4(40) 10 289 28.9 72.25

종합 29 20(68.97) 56 1,214 41.86 60.7

<표 21> 재단 유형별 회색문헌 보유 현황

Page 7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4 -

5. 회색문헌 수집방안

본 장에서는 앞 장에서 파악한 회색문헌의 정의와 특성, 국내외 회색문헌 수집

동향, 국내 주요 기관의 회색문헌 출판 현황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

헌 수집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사 지침과 일

관성을 유지하며 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의 기본적인

사항들을 함께 고려하였다. 수집 시에는 본 연구에서 함께 제공하는 국내 대학, 학

회, 재단의 회색문헌 기관 및 자료 리스트를 활용하도록 한다.

5.1 회색문헌 수집방안의 목적 및 근거

5.1.1 회색문헌 수집방안 제시 목적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위해 회색문헌 수집방안을 제시한다.

① 수집 대상 회색문헌의 범위 및 유형 명확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회색문헌 수집을 계획하고는 있으나, 내부적으로 회색문

헌의 정의 및 수집 대상 자료를 분명하게 정의하지 않은 상황이다. 앞 장에서 이론

적 배경 및 사례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회색문헌에는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며,

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자료를 회색문헌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명

확한 수집 대상의 정의는 본격적인 회색문헌의 수집을 위해 가장 먼저 정립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수집할 회색문헌 자료의 범위

및 유형을 명시해, 회색문헌 수집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어떤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의 문제는 곧 회색문헌 컬렉션의 청사진으로 이어지며, 자료 관리를 위한 분

류체계나 관리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② 회색문헌 수집 시 고려할 사항 제시

회색문헌은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자료를 포함하며, 소장 기관 또한 각각이다. 따

라서 수집 시 자료에 따라 여러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회색문헌

수집 시에 체크해야 할 사항을 제시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7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5 -

제20조(도서관자료의 납본)

① 누구든지 도서관자료(온라인 자료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를 발행 또는 제

작한 경우 그 발행일 또는 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그 도서관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하여야 한다. 수정증보판인 경우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09.3.25.>

② 국립중앙도서관은 제45조제2항제3호에서 규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

우 도서관자료를 발행 또는 제작한 자에게 이를 디지털 파일형태로도 납본하도록 요청

할 수 있다. 요청을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개정

2009.3.25.>

➂ 회색문헌 수집 프로세스 정립

회색문헌은 자료 유형 및 소장 기관에 따라 제각각 관리되고 있어 자료의 일괄

수집이 불가능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컬렉션이 만들어질 경우, 꾸준

한 관리와 새로운 자료의 지속적 수집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항목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회색문헌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조사한 여러 기관들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수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5.1.2 회색문헌 수집방안 근거

회색문헌 수집방안의 법률적 근거로는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 「공

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국립중앙도서관이 현재 시행하

고 있는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에서도 수집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근거에

의해 국립중앙도서관은 회색문헌 수집의 의무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으며, 자료

제공 기관들에게 회색문헌 수집을 요청할 수 있다. 회색문헌 수집과 특히 관련이

깊은 조항은 다음과 같다.

5.1.2.1 「도서관법」

도서관법에서 도서관 자료는 발행일 또는 제작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온라인 자

료는 보존가치 높은 자료를 대상으로 도서관에 납본하여 보존할 것을 지정하고 있

다. 또한 자료 제작자나 제공자가 이에 협조해야 함을 법에서 밝히고 있다.

Page 8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6 -

제20조의2(온라인 자료의 수집)

①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되는 온라인 자료 중에서 보존가치가 높은 온

라인 자료를 선정하여 수집·보존하여야 한다.

② 국립중앙도서관은 온라인 자료가 기술적 보호조치 등에 의하여 수집이 제한되는 경

우 해당 온라인 자료 제공자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받은 온라인 자료 제공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제13조(도서관자료의 납본)

① 법 제20조제1항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納本)하는 도서관자료는 다음 각 호

의 도서관자료로 한다. <개정 2008.12.31, 2009.9.21>

1. 도서

2. 연속간행물

3. 악보, 지도 및 가제식(加除式) 자료

4. 마이크로형태의 자료 및 전자자료

5. 슬라이드, 음반, 카세트테이프, 비디오물 등 시청각자료

6.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전자출판물 중 콤팩트디스크, 디지털비

디오디스크 등 유형물

7. 점자자료, 녹음자료 및 큰 활자자료 등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8. 출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로 발간되는 기록물로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도서관자료

② 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에 디지털 파일형태로도 납본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도서관자료는 제1항 각 호의 도서관자료 중에서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로 변

환 및 제작이 가능한 자료로 한다. 이 경우 디지털 파일형태는 국립중앙도서관장이 제

13조의3에 따른 도서관자료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정하여 고시한다. <개정

2009.9.21>

③ 제1항에 따른 납본 대상 자료의 납본 부수는 2부로 하고, 제2항에 따른 디지털 파일

5.1.2.2 「도서관법 시행령」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도서, 연속간행물, 전자자료, 시청각자료, 출판 환경의 변

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로 발간되는 기록물로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도

서관자료 등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납본 대상으로 언급하고 있다. 또한, 납본 대상

자료의 납본 부수는 2부, 디지털 파일형태로 된 자료의 납본 부수는 1부로 지정하

였다. 온라인 자료 수집에 대한 사항 또한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언급하고 있다.

Page 8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7 -

형태로 된 자료의 납본 부수는 1부로 한다. <개정 2009.9.21>

제13조의2(온라인 자료의 수집)

① 법 제20조의2제1항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하는 온라인 자료는 전자적 형태로

작성된 웹사이트, 웹자료 등으로서 국립중앙도서관장이 제13조의3에 따른 도서관자료심

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정하여 고시하는 자료로 한다.

제2조(정의)

2. "공공저작물"이라 함은 공공기관이 업무상 창작하거나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저작물을 말한다.

제4조(공공저작권 관리의 원칙)

①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이 민간에서 널리 신속하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문화 및 관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15조(비독점적 이용허락의 원칙)

공공저작물의 이용허락은 비독점적 이용허락을 원칙으로 한다.

제18조(저작물 제공 방법)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통상적인 공개 및 제공방법 이외에도 이용자가 원하는 방법에

따라서 공공저작물을 제공할 수 있다.

5.1.2.3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에서는 공공저작물이 민간에서 최대한 활용될 수 있

도록 관리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저작물은 비독점적 이용허락

을 원칙으로 하며, 이용자가 원하는 방법에 따라 제공되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Page 8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8 -

5.2 회색문헌 수집 대상 자료

본 장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수집방안 수립에 있어서 우선 시 해야

할 회색문헌의 출처와 해당 출처에서 생산하는 회색문헌의 유형에 대한 간략한 정

의, 그리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5.2.1 회색문헌 출처

본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

학 내 연구소, 학회, 재단으로부터 생산된 회색문헌을 우선 수집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에서 정의하는 대학 내 연구소 및 학회, 그리고 재단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대학 내 연구소 및 학회

-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 내 연구소, 학회

● 재단

- 학술·연구재단, 복지재단을 제외한 각종 재단

5.2.2 회색문헌 유형

본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에서는 다

음 유형의 자료를 우선 수집할 것을 제안한다.

각 유형의 회색문헌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연구 보고서

- 외부 지원을 받은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출판물

- 연구보고서, 용역보고서 등의 형태로 존재

● 기관 간행물

- 기관에서 정기·비정기적으로 간행하는 출판물

- 기관발행학술지, 뉴스레터, 연보, 단행본, 홍보 포스터 등의 형태로 존재

● 프로시딩

-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자료를 모아놓은 자료집 및 회의록

- 학술대회 논문집, 학술대회 자료집, 회의록 등의 형태로 존재

Page 8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69 -

● 학술대회 자료

- 학술대회 발표를 보조하기 위해 제작된 자료

- PPT 슬라이드, 발표용 포스터 등의 형태로 존재

● 세미나/워크샵 자료

- 학술대회를 제외한 학술 모임에서 생산된 자료

- 세미나, 워크샵, 포럼, 심포지움, 토론회, 집담회, 월례회, 콜로키움, 강좌, 강연

등의 학술 모임에서 다양한 형태로 생산됨

● 표/통계자료

- 수치 및 수치를 바탕으로 시각화된 자료

- 표, 통계치, 그래프, 도표 등의 형태로 존재

● 멀티미디어자료

- 영상, 음성, 화상과 같이 다양한 정보 형태를 가진 자료

- 홍보 동영상, 디자인 시안, 제품 사진 등의 형태로 존재

● 웹자료

- 웹 상의 이용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자료 및 그 집합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온라인 검사, 온라인 게시판 본문 등의 형태로 존재

● 특허

- 기관이나 해당 기관에 속하는 개인 및 단체가 특허를 받은 자료

- 국내 및 국제 특허

Page 8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0 -

기관명 협정 주요 내용

한국연구재단Ÿ 학술 자료 제공에 관한 협정

Ÿ 학술 기관 목록 제공에 관한 협정(학회 등)

교육부Ÿ 대학 내 학술 관련 자료 수집 요청 지원에 관한 협정

Ÿ 대학 내 학술 기관 목록 제공에 관한 협정(대학 부설 연구소 등)

국가기록원

Ÿ 정부/공공기관 자료 교환에 관한 협정

Ÿ 정부간행물 목록 제공(발간등록번호)에 관한 협정

Ÿ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 수립에 관한 협정

<표 22> 중심기관 별 협정 주요 내용

5.3 회색문헌 수집 기본 원칙

회색문헌은 단행본 등 정식 유통되는 기존의 자료와는 달리 수집 난이도가 상대

적으로 높다. 일반적인 유통 과정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소장 기관을 명확히 파악

하기 힘들며, 파악한다고 해도 각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자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양을 예측할 수 없어, 전략적이며 체계적인 자

료 수집을 통해 효율을 최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회색문헌 수집 시 기반으로 삼

을 수 있는 여섯 가지 기본 원칙들을 제안한다. 앞서 수행한 회색문헌 발행 기관

및 기관 자료 조사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회색문헌 수집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5.3.1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회색문헌 수집 시 가장 먼저 수행해야할 사항으로, 중심기관들과의 협정 체결을

제안한다. 중심기관은 회색문헌 발행 기관들을 관리하거나 그들의 정보 및 자료를

가지고 있는 기관을 의미한다. 이들과 협정을 체결할 경우, 각 중심기관이 관리하는

연구소, 학회, 공공기관 등의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함으로써 회색문헌 수집

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대표적 중심기관으로 한국연구재단, 교육부, 국가기록원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 협정 체결 대상은 아니나 문화체육관광부는 협력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하는 기관으로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이들은 정부/공공기관, 학

회, 대학 내 연구소, 각종 비영리 기관 및 재단의 정보 및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해당 기관들의 정보나 자료의 허브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회색문헌 자료 수집에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기관 별로 <표 22>과 같은 협정

을 중점적으로 맺을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각 중심기관 기본 정보, 협정 대상 자료,

체결 전략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 기술하였다.

Page 8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1 -

5.3.1.1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은 준 정부기관으로, 이전의 한국과학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국제

과학기술협력재단을 통합하여 2009년에 새롭게 출범한 국가대표 연구 관리 전문기

관이다. 주요 기능은 학술·연구개발 활동 및 관련 인력의 양성·활용 등을 효율적이

고 공정하게 지원하는 것이다. 즉, 연구 및 인력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원 프로젝트 등으로 부터 생산되는 학술 자료와 국내 학술 관련

기관의 리스트를 보유 및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연구재단과 회색문헌 수집과

관련한 협정을 체결하되, 학술 자료 제공, 학술 기관 목록 제공으로 나누어 두 가지

측면에 집중할 것을 제안한다.

① 학술 자료 제공에 관한 협정

한국연구재단이 보유한 회색문헌 자료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1) 한

국연구재단 지원 프로그램에 따른 학술자료, 2) 한국연구재단 자체 생산 자료이다.

먼저 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그램에 따른 학술자료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연구재

단이 지원하는 각종 연구 프로젝트의 경우, 연구 수행자들이 정기적으로 프로젝트

의 진행현황이나 성과물을 한국연구재단에 제출한다. 자료의 형태는 최종보고서, 중

간보고서가 주를 이루며, 통계자료나 발표자료 등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심사를 거쳐 재정적 지원을 받는 사업들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경우가 많다. 이 자료들은 주로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영하는 성

과마루 홈페이지(http://rnd.nrf.re.kr/)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표 23>

과 같다. 대체적으로 지원 프로젝트들의 성과물을 충실히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

이나, 보안 등 여러 이유로 누락되거나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은 자료들이 있는지

직접 연락하여 확인할 필요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종 연구보고서의 경우

타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등 이미 회색문헌의 범주를 벗어난 경우도

있음을 유의해 수집 대상으로 지정할 것을 당부한다.

다음으로 한국연구재단 자체 생산 자료는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http://www.nrf.re.kr)

의 자료실 메뉴 및 성과마루 홈페이지(http://rnd.nrf.re.kr/)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주요 내용은 <표 23>를 참고한다. 연간 「대학산학협력백서」, 연간

「대학연구활동조사보고서」, 「학회 및 학술단체 지원의 효율화 방안」, 「국내외

학술지 발행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관련 연구」 등 회색문헌을 생산할만한 학술 기

관 자체에 대한 조사 자료나 보고서 등의 자료도 존재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회색

문헌 수집 업무 수행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협정 시에는 기존 자료, 신생 자료의 경우를 구분해 협정을 맺을 것을 제안한다.

Page 8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2 -

기존 자료의 경우 자료를 빠짐없이 수집하되, 저작권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먼저 빠짐없는 자료 수집을 위해 성과마루 홈페이지 및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

수록된 자료를 파악해 수집 량이나 범위를 예측한 후 한국연구재단에 자료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또한 누락된 자료가 있는지 여부를 담당자와의 긴밀

한 협조를 통해 세심하게 살펴야 하며, 자료의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함께 논의해

추후 만약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준 정부기관으로

공공기관에 속하며, 원칙상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에 따라 이들이 업무

상 창작하거나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저작물은 "공공저작물"에 포함된다. 자

료 유형별로 살펴보면, 한국연구재단 자체 생산 자료의 경우 이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나, 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그램에 따른 학술자료의 경우 그 성격이 모호할 수

있으므로, 한국연구재단의 입장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신생 자료의 수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자료 업데이트의 신속성인데, 한국연

구재단의 입장에서는 자료 독점 제공과 관련해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음을

고려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안을 제안한다.

l A안 : 지원받는 연구자나 한국연구재단 직원이 홈페이지 상에 자료를 등록할

때,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이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장치를 도입하는

안이다. 가장 빠르고 확실한 신생 자료 수집을 기대할 수 있으나 한국연구재단

측에서 실시간성에 대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이 한국연

구재단보다 더 빠르게 자료를 등록하거나 두 기관이 동시에 등록해 이용자를 빼

앗기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l B안 : 2주나 1달 정도의 주기로 자료 업데이트 현황을 보고받는 안이다. A안에

비해 자료 제공의 신속성은 떨어질 수 있으나, 한국연구재단에서 보다 주체적으

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자료 제공 측면에서 한국연구재단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보다 수월하게 받아들여 질 수 있다.

l C안 : 성과누리나 한국연구재단의 홈페이지에서 일반이용자에게 공개된 자료만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받는 안이다. 가장 소극적인 방법으로, A안, B안에 대

한 협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최후의 방책으로 사용한다.

Page 8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3 -

생산경로 대분류 소분류 자료위치

연구 지원

사업

결과물

연구보고서 기초연구사업보고서 성과마루

원천기술개발사업보고서 성과마루

원자력기술개발사업보고서 성과마루

과학기술국제화사업보고서 성과마루

거대과학지원사업보고서 성과마루

학술연구지원사업보고서 성과마루

학술연구(이공)결과물 성과마루

연구사례 50선 연구사례 성과마루

연구사례동영상 성과마루

연구사례집 성과마루

학술강연 석학인문강좌 성과마루

성과소개서 성과마루

성과결과물 논문 성과마루

특허 성과마루

실용신안 성과마루

소프트웨어 성과마루

기술이전 성과마루

실험결과 성과마루

시제품 성과마루

기타 성과마루

연구과제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성과마루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성과마루

원천기술개발사업 성과마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성과마루

한국연구재단

자체 생산

자료

정책연구보고서 성과마루

조사분석보고서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

성과마루

해외정책동향 예산 성과마루

인력 성과마루

정책, 시스템 성과마루

프로그램, 분야 성과마루

멀티미디어 자료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

성과마루

반부패·청렴자료 한국연구재단홈페이지

기타자료 성과마루

<표 23> 한국연구재단이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술 자료

Page 8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4 -

② 학술 기관 목록 제공에 관한 협정(학회 등)

한국연구재단은 다양한 학술활동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학회, 학술지, 연구소 등

국내 학술 관련 기관들의 리스트를 보유 및 관리하고 있다. 특히 학회 리스트는 한

국연구재단에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도 한국연구재단으로부

터 이를 제공받아 각 학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소장 회색문헌을 파악한 바 있다. 또

한 등재 학술지 뿐 아니라 등재 후보 학술지 리스트17)를 보유하고 있어, 현재 등재

되지는 않았지만 가치 있는 학술지를 발굴하여 수집 대상으로 확보하는 작업에 도

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학술 관련 기관 리스트를 제공받을 경우, 각 학술 관련 기관들로부터 직접 회색

문헌 자료를 수집하는 가장 확실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앞에서 제안한 한국연

구재단과의 자료 수집 협정을 통해 상당수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겠지만, 한국연구

재단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학술자료 또한 매우 많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각

기관과의 직접 접촉은 회색문헌 수집에 필수적이다. 현재 보유한 리스트들을 제공

받되, 새로운 기관이 등록되는 경우를 대비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받는 방법 또

한 한국연구재단과의 협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다.

5.3.1.2 교육부

교육부는 정부기관으로, 유아교육, 초중고교육, 대학교육, 평생교육, 교원정책, 학

부모정책 등 교육에 관련된 전반적인 주요 업무를 책임지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국사편찬위원회, 국립특수교육원, 중앙교육연수원,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국립국제교

육원, 대한민국학술원이 있다. 그 중 회색문헌 수집에 가장 집중할만한 부분은 대학

교육으로, 교육부 지원 사업에 따른 학술 자료들의 수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의 협정 체결에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교육부는 대학에

매우 큰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기관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교육부와의 협정이 잘

이루어질 경우, 대학 내 산학이나 연구소를 대상으로 보다 원활한 회색문헌의 수집

을 기대할 수 있다. 교육부에 관련해서는 대학 내 학술 관련 자료 수집 요청 지원,

대학 내 학술 기관 목록 제공,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협정을 체결할 것을 제

안한다.

① 대학 내 학술 관련 자료 수집 요청 지원에 관한 협정

대학 내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으로는 대학 내 연구소 자료를 대표적으로 들 수

17) (https://www.nrf.re.kr/nrf_tot_cms/show.jsp?show_no=184&check_no=176&c_relation=0&c_relation2=0)

Page 8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5 -

있다. 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대학 내 각 연구소에 직접 연락을 취하거나, 각 대학

내에 존재하는 산학협력단을 통해 연구소들의 자료를 취합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

단위, 산학협력단과의 협력이 힘들 경우 각 연구소 단위로 개별 연락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집에 큰 수고를 요한다. 뿐만 아니라, 각 기관에 연락을 취한다 해도 응답

하지 않거나 요청을 소극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육부의 협조는 회색문헌 수집에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교육부 차원에서 각 연구소나 산학협력단에 공

문을 발송해 회색문헌 수집을 요청할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이 자체적으로 자료를

요청하는 것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회색문헌 수집 시

에 공문 발송 및 집행 업무에 대한 협약을 맺어 수집 작업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교육부 지원 사업의 경우 대부분 한국연구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많

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각종 학술 연구 지원 사업의 경우 한국연구재단에서 실

제 지원 업무를 진행하되, 교육부가 관리 감독하거나 권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구도를 회색문헌 수집에 반영해,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대상 기관이나 자료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해당 기관에 회색문헌 자료 요

청 시에는 교육부의 권위를 빌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② 대학 내 학술 기관 목록 제공에 관한 협정(대학 부설 연구소 등)

대학 내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 파악을 위해 필요한 대학 내 학술기관 리스트는

교육부와의 협약을 통해 제공받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도 교

육부로부터 대학 부설 연구소의 리스트를 제공받아 각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 대상

회색문헌을 파악한 바 있다. 본 장의 ‘5.3.1.1 한국연구재단 > ② 학술 기관 목록

제공에 관한 협정’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리스트를 제공받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기관에 자료 제공을 요청하기에 앞

서, 보다 체계적인 수집과 구체적인 요청을 위해 어떤 회색문헌을 소장하고 있는지

어느 정도는 미리 살펴볼 것을 당부한다.

5.3.1.3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은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공공 및 주요 민간, 해외 기록물을 수집, 보존, 평가하고 기록정보자원의 편찬, 콘텐

츠 구축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특히 대통령기록물, 공공기관

의 기록을 공식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고 있어, 국가기록원과 회색문헌 수집에 관

Page 9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6 -

련된 협약을 체결할 경우 정부/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수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가기록원과 협정을 체결하되, 정부/공공기관 자료 교환에 관한 협

정, 정부간행물 목록 제공(발간등록번호)에 관한 협정,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 수립

에 관한 협정, 이 세 가지 협정 체결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첫 번째 협정은

주로 기존 자료 수집에, 나머지 두 협정은 신생 자료 수집에 특히 도움이 될 것으

로 보인다. 또한 뒤의 두 협정은 특히 정부간행물 수집에 유용하리라 예상한다. 이

들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추진/계획 중인 사안들이다.

국가기록원과 협약 체결을 실시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

립중앙도서관의 정부간행물 수집이 보다 완전해 질 수 있다. 정부기관에서 자료를

발간할 때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국가기록원에 발간등록을 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의

발간등록번호 목록에 접근할 수 있다면 발간현황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파악한 자료를 기초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미소장자료를 점검하고 각 자료

소장기관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둘째,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정부간행물의 활용

도를 높일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2013년 회색문헌수집팀 구성이후에 본격적

으로 전자파일을 수집하고 있는 한편, 국가기록원은 이미 원문파일을 다량 확보하

고 있다. 국가기록원과의 파일 공유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국립중앙도서관을 통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면, 공공자원인 정부간행물에 국민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셋째, DB 중복 구축, 파일 중복 생산 등의 불필요한 투자를 막을 수 있

다. 이에 덧붙여, 발간등록과정에 ISBN/ISSN 신청 링크를 함으로써 ISBN/ISSN 활

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① 정부/공공기관 자료 교환에 관한 협정

국가기록원은 중앙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공공기관에서 발간하는 간행물을 수집하고 있다. 대상 자료는 기록물(간행물 포함),

시청각자료, 전자파일(2007년~)이며, 자료 입수 시에는 식별자로 발간등록번호를

부여한다. 수집 현황은 2011년 7,000종/21,000여 책, 2012년 11,000종/33,000

여 책으로, 2012년 기준 장서는 문서, 도면, 카드, 시청각 자료, 행정박물, 간행물

을 통틀어 6,670,004여 책이다. 본 자료들은 현재 국가기록원은 나라기록포털

(www.archives.go.kr), 대통령기록포털(www.pa.go.kr)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으나,

자료의 공개 범위가 넓지 않으며 사이트의 접근성도 크게 높지 않아 활발히 활용되

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협약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국가기록원의 자료를 공유 받고 이용자

에게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면, 공공자료의 접근성 및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으

리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협약 항목은 국가기록원과 수집 자료 및 전자

Page 9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7 -

파일 공유, 자체 구축 정부간행물 원문 DB 공유이다. 한편 국가기록원의 많은 자료

들이 공공자료이기는 하지만, 국가기록원 자체에서 노력을 들여 수집한 자산이므로

일방적으로 제공을 요청하기보다는 상호 간 도움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협정 체결을

추진하도록 한다. 두 기관이 각각 정부간행물 소장/미소장 여부를 파악하거나 미소

장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고, 공동 DB를 구축하는 방식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② 정부간행물 목록 제공(발간등록번호)에 관한 협정

정부간행물 목록은 국가기록원이 지닌 가치 높은 자료 중 하나이다. 정부기관에

서 자료를 발간할 때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국가기록원에 발간등록을 하고 있다. 발

간등록번호는 동종의 자료에 대한 고유번호로 간행물의 수집, 정리, 열람 시 자료

관리와 접근의 기본단위로 사용된다.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의거

공공기관이 간행물을 발간할 때에는 발간등록번호를 부여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간등록번호는 영구기록물 관리기관 기호, 발행기관 기관코드, 등록일련번호, 발간

주기 구분기호로 구성되어 발간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이처럼 법에 의해 발간등록이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빠르고 정확한 정

부간행물의 발간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협정을 통해 정부간행물 발간등록번호 부여

DB(목록)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면, 국립중앙도서관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

이고 완전한 정부간행물을 수집을 실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단, 국가기록원의

정부간행물 목록에 모든 간행물이 포함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국립중앙도서관 차

원의 정부간행물 수집을 위한 자체적 노력 또한 동반되어야 한다.

③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 수립에 관한 협정

국가기록원은 발간자료 등록 시 납본을 받아 자료를 수집한다. 앞에서 언급했듯

이 발간자료등록은 법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정부기관들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고 있

다. 따라서, 국가기록원과 정부간행물의 납본 지침에 대한 협약을 맺어 정부기관의

납본 지침을 보다 체계화하는 동시에 정부기관이 발간자료등록 시 국립중앙도서관

에도 자료를 등록, 납본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실제로 현재 국립중

앙도서관에서는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을 제작중인데, 국가기록원과 협력 진행에 지

침 마련과 홍보에 실행력과 효율성을 더하도록 한다.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이 성공

적으로 정착될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은 신생 정부간행물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자료 등록 시 자료등록번호 이외에도 ISBN/ISSN을

함께 부여하게 하여 ISBN/ISSN의 활발한 사용 및 자료 관리의 체계화에도 긍정적

Page 9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8 -

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간행물 납본 지침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의할 사항은 자료 등록 절차를 최대

한 간단하게 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발간자료등록 절차에 비해 지나치게 등록

절차가 복잡해 질 경우, 자료 제출 기관들이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더욱이 자료

제출 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기관에 제출할 때 필요한 중복 정

보는 한 번만 입력하게 하고, ISBN/ISSN이 최대한 자동 생성되게 하는 등 시스템

적인 배려가 충분히 동반되어야 한다.

5.3.1.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홍보 등 여러 문화 분야

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 기관이다. 대표적인 소속 기관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이 있

다. 학술적인 성격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국가에서 보존할만한 문화적 자산들을 생

산하며, 그러한 자료를 생산하는 타 기관들의 중심에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의 스펙트럼을 넓고 다양하게 만드는 데 상위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와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한다. 문화체육관광부 및 타 소속기관이 보유한 회색

문헌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협력 네트워크 강화 시에는 문화체

육관광부 보유 자료 수집, 문화체육 관련 기관 목록 제공, 관련 기관 자료 수집 요

청 지원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① 문화체육관광부 보유 자료 수집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강화

문화체육관광부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회색문헌 자료가 존재하는데, 협력 네트워

크 강화를 통해 이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홈페이

지 상으로 파악한 문화체육관광부 보유 자료는 <표 24>와 같다.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http://www.mcst.go.kr/)의 ‘자료실’ 메뉴에서 실제 자료를 찾아볼 수 있

다.

본 협정과 관련해서는, 본 장의 ‘5.3.1.1 한국연구재단 > ① 학술 자료 제공에 관

한 협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기존 자료와 신생 자료의 경우를 구분해 협력을

실시할 것, 2) 기존 자료의 경우에는 공공저작물 및 저작권 여부를 확인할 것, 3)

신생 자료의 수집에는 자료 업데이트의 신속성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고려해

단계를 나눈 A안, B안, C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이 전략은 교육부의 경우와

유사하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 장의 '5.3.1.2 교육부 > ① 대학 내 학술 관련 자료

수집 요청 지원에 관한 협정' 부분을 참고한다.

Page 9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79 -

대분류 소분류 소개

국회자료 문화체육관광부와 관련해 국회에서 진행된 업무 관련 자료

예산자료각 업무 및 부서의 예산제출, 국회심의, 예산확정, 예산집

행 관련 자료

법령자료

현행법령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의 현행법령 자료

훈령, 예규, 고시 소속기관들의 행동강령, 운영 규정, 업무 지침 등

입법, 행정예고 각종 법률 및 규칙 신규 및 개정안

발간자료문화콘텐츠산업, 문화정책, 예술, 관광, 국민소통, 미디어정

책 등 각 실국에서 발간한 자료 및 보고서

현황자료 동향, 현황자료 문화체육 관련 단체, 시장, 콘텐츠 등의 동향 및 현황 자료

실국자료문화콘텐츠산업, 문화정책, 예술, 관광, 국민소통, 미디어정

책 등 각 실국에서 생산한 업무계획, 현황 등의 자료

통계자료문화통계포털(http://stat.mcst.go.kr/) 사이트에서 문화예

술, 문화산업, 관광, 체육 통계를 제공하고 있음

<표 24> 문화체육관광부가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체 생산 자료

② 문화체육 관련 기관 목록 제공(재단 포함) 및 자료 수집 요청 지원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강화

문화체육관광부에는 총 16개의 소속기관18)과 3946개의 소관 비영리법인19)이 존

재한다(2013년 12월 5일 기준). 이들 비영리법인에는 29개의 재단이 포함되어 있

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내 문화체육 관련 각종 기관들의

관리·감독 및 허브 역할을 하고 있어, 문화체육 관련 기관들의 회색문헌 수집을 위

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홈페이

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관련 기관들의 리스트를 수시로 체크하고, 이들 중 수집할

만한 회색문헌을 생산하는 단체가 있는지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각 기관이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문화체육관광부를 통해 공문을 보내는 방

식을 취해, 기관들의 응답률을 높이도록 한다.

18) (http://www.mcst.go.kr/web/s_about/organ/inner/innerIntro.jsp)

19) (http://www.mcst.go.kr/web/s_data/corporation/corpList.jsp)

Page 9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0 -

개정 항목 반영할 내용

도서관법 20조

- 납본 대상에 국제표준자료번호를 부여받아야 하는 온라인 자료 포함

-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납본 시 디지털 파일 형태도

납본해야 하며, 보상하지 않음

도서관법

시행령 13조

- 납본 대상에 국제표준자료번호를 부여받아야 하는 온라인 자료 포함

- 납본 부수를 기존 2부에서 3부로 변경

- 공공기관의 정의를 보다 상세히 함

- 디지털 파일 형태의 요건 추가

- 온라인 자료 이용 범위 정의

<표 25> 개정추진 중인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의 주요내용

5.3.2 제도적 기반 마련

회색문헌의 효과적인 수집을 위해, 중심기관과의 협정과 함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은 바로 제도적 기반이다. 제도적 기반은 회색문헌 수집에 공고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각 기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득해 회색문헌 수집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5.1.2 회색문헌 수집방안 근거’에서 언급한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이 근거 마련의 좋은 바탕이 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

로 회색문헌을 명시하는 지침을 추가하거나 관련 항목을 수정하여 회색문헌 수집에

대한 내용을 삽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본 보고서의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회색문헌은 최신의 연구결과를 파악할 수 있

는 중요한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즉, 회색문헌의 자료적 가치 및 중요

성이 점점 대두되는 가운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회색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임무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법령에 회색문헌 관련 조

항을 포함하는 것은 응당하다는 의견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서관법 개정시 그 법적 근거를 다음 <표 25>와 같이 마련할

예정이다.

법령에 회색문헌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이 포함될 경우 자료 수집 및 관리가 보다

공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용자들에게 큰 이득을 가져다 줄 것

이라 기대한다.

Page 9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1 -

5.3.3 자료 수집 대상 및 방법 우선순위 확립

5.3.3.1 수집 대상의 우선순위

회색문헌의 종류와 양은 매우 방대한 반면, 국립중앙도서관은 회색문헌 수집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는 초기 단계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작위로 모든 자료

를 수집하기보다 우선 수집할 자료의 우선순위를 정립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시행하

는 것이 수집 측면, 그리고 추후 자료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노

력 대비 자료 수집 성공률이 높은 자료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은 초기 회색

문헌 자료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수집이 수월한, 밝은 회색

문헌(light grey literature)을 우선적으로 수집하고, 추후 점진적으로 어두운 회색

문헌 단계로 수집을 진행해 망라적 회색문헌 수집을 달성할 것을 제안한다.

노력 대비 수집 효율이 높은 회색문헌 자료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소장기관을 기

준으로, 1) 공공기관, 2) 민간기관 순으로 수집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

한 기관을 분류해 보면 1) 정부/공공기관 자료, 2) 대학 부설 연구소 및 학회, 3)

재단 순으로 나타난다. 정부/공공기관의 경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납본 지침을

만들어 수집을 시작한 상태이며, 이들 기관의 자료는 공공적 성격을 띠는 대표적인

자료로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에 의거해 수집이 가능하다. 민간기관 중

에서는 대학 부설 연구소 및 학회의 숫자가 많고 다양한 학술 자료를 보유하고 있

으므로 둘째 순위로 제안하였다. 상대적으로 재단 기관수나 자료 수는 적은 편인

데다 자료 소장 기관을 파악하는 작업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세 번째 우선순

위로 두었다.

한편, 자료 소장 기관이 중심기관에 의해 관리되는지 여부에 따라 1) 중심기관의

관리 하에 있는 기관의 회색문헌, 2) 관리되지 않는 기관의 회색문헌 순으로 수집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국연구재단,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중심기관의 관리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기관의 경우 탐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자료를

요청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한 인적 자원 투자가 필요하고 실패 확률도 높기 때문이

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정기발행 여부도 수집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데, 1)

정기적 간행물, 2) 비정기적/단발성 간행물 순으로 수집할 것을 제안한다. 정기적

간행물은 생산 주기를 예측할 수 있어 지속적 수집이 보다 수월한 측면이 있다. 무

엇보다 자료가 꾸준히 생산되기 때문에 소장 기관으로부터 정기 제출을 약속받을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자료를 보다 풍성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정기적

간행물이라 하더라도 이후의 관리와 점검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

Page 9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2 -

5.3.3.2 수집 방법의 우선순위

수집 방법 또한 우선순위를 정해 전략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1) 국립중앙도

서관 차원의 적극적 노력을 통한 수집, 2) 기증 유도를 통한 회색문헌 수집, 3) 각

기관에 적절한 보상 부여를 통한 수집 순으로 우선순위를 염두에 둘 것을 제안한

다. 현재 회색문헌과 관련해 체계가 충분히 잡혀 있지 않기 때문에, 우선 국립중앙

도서관이 주도적으로 회색문헌 현황을 파악하고 수집에 힘쓸 필요가 있다. 회색문

헌에 관한 정의 및 인식이 확립된 후에는 홍보를 통해 기증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도 제안할 만한 방법이다. 한편, 앞의 두 방법을 통해 수집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각 자료에 적합한 보상을 시행해 활발한 회색문헌 수집을 도모한다.

국립중앙도서관 차원의 적극적 노력을 통한 수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보

고서 전체에 걸쳐 언급하였으며, 보상에 관한 내용 또한 다루었으므로 본 장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는다.

기증의 경우, 도서관 차원의 수집을 통해서는 획득이 힘든 다양하고 희귀한 자료

를 납본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증과 관련해 각 기관이 가질 수 있는 목적

은 다음과 같다. 학회/연구소의 경우, 특정 연구자를 기리거나 특정 분야의 활성화

를 위한 기증을 고려할 것으로 예측된다. 재단의 경우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데, 각 재단의 자료를 보존한다는 목적, 국립중앙도서관에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재

단이 진행하는 사업이나 취하는 입장에 공신력을 부여하려는 목적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정부/공공기관이 생산하는 자료는 공공저작물로 제출에 따른 별도의 보상

을 하지 않으므로, 기증의 의미는 다소 약할 수 있다. 기증은 기증자의 자발성이 결

정적인 요인이므로, 각 기관과 대화를 통해 기증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한다.

5.3.4 도서관-개별기관 간 win-win 전략 추진 및 보상

회색문헌 수집에는 연구소, 학회, 재단, 공공기관 등 자료 소장기관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회색문헌 수집은 장기적으로 자료의 업데이트가 잘 이

루어져야만 양질의 컬렉션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회색문헌 수집은 상호적,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자료 보유 기관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는 국립중앙도서관뿐만 아니라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 또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

향으로 수집 전략이 세워져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황에 맞는 형태의 보상이

필요할 수 있으며, 자료 요청 및 협정 시 상대 기관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

단기적으로 많은 자료를 얻어내는 것 보다는 장기적인 기관과의 관계에 무게를 둘

Page 9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3 -

제20조(도서관자료의 납본)

③국립중앙도서관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도서관자료를 납본한 자에게 지체 없이 납

본 증명서를 발급하여야 하며 납본한 도서관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인 경우에

는 그 도서관자료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09.3.25, 2012.2.17>

④납본대상 도서관 자료의 선정·종류·형태·부수와 납본 절차 및 보상 등에 관하여 필요

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9.3.25>

[제목개정 2009.3.25]

제20조의2(온라인 자료의 수집)

⑤ 국립중앙도서관은 제1항에 따라 수집하는 온라인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인

경우에는 그 온라인 자료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⑥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선정·종류·형태와 수집 절차 및 보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

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09.3.25.]

것을 제안한다. 이는 학회, 연구소, 재단 등 개별 기관 뿐 아니라 중심기관과의 협

정을 맺을 때도 주지해야 할 태도이다.

아래는 보상과 관련된 법 조항들이다. 단, '5.1.2.3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

침」'에서 언급했듯이, 공공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보상이 필요하지 않다.

기관 및 자료유형에 따른 보상 방법에 대한 내용은 본 보고서의 ‘5.6 유형별 수

집 방안’에서도 다루고 있으므로 필요시 참고한다.

5.3.4.1 「도서관법」

도서관법에서 자료를 납부한 자에게는 납본 증명서를 발급하고, 판매용 자료의

경우에는 정당한 보상이 필요함을 명시하고 있다. 온라인 자료의 경우에도 이는 동

일하게 적용된다. 도서관에서 납본을 받을 때 통상적으로 자료 정가의 50%를 제공

자에게 제공하는데, 대부분의 회색 문헌은 배포용으로 이 경우에 해당하지는 않는

다. 즉, 자료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기관들

의 자발적인 회색문헌 제출을 유도하기 위해, 출판비 영수증 등 공식적 기록이 존

재하는 경우 출판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Page 9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4 -

제13조(도서관자료의 납본)

④ 법 제20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도서관자료를 납본하는 자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도서관자료 납본서를 국립중앙도서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납본한 도서관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인 경우에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

는 바에 따라 보상청구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2009.9.21>

[제목개정 2009.9.21]

제13조의2(온라인 자료의 수집)

②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법 제20조의2제1항에 따라 수집하는 온라인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판매용인 경우에는 그 온라인 자료를 제공한 자에게 도서관자료 수집증명서를

발급(전자문서에 의한 발급을 포함한다)하여야 한다.

③ 제2항에 따라 도서관자료 수집증명서를 발급받은 온라인 자료 제공자는 문화체육관

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도서관자료 보상청구서를 국립중앙도서관장에게 제출(전자

문서에 의한 제출을 포함한다)하여야 한다.

④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법 제20조의2제1항에 따라 수집하는 온라인 자료에 대하여 그

대가를 정당하게 보상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서관자료에서 해당 온라인 자료를 삭제하

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09.9.21.]

5.3.4.2 「도서관법 시행령」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도 판매용 자료에 대한 보상을 지정하고 있다. 회색문헌의

보상과 관련해서는 ‘5.3.3.1 「도서관법」’에 작성한 내용을 참고한다.

5.3.5 회색문헌 소장 기관의 공감대 획득

전략적으로 도서관-개별기관 간 win-win 전략을 취하는 한편, 기관을 상대로 한

소통의 기저에는 공감대가 깔려있어야 한다. 아무리 제도적으로나 전략적으로 수집

을 위해 힘쓴다 해도, 자료 소장 기관이 자료 제공의 이유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면 진정한 장기적 관계는 힘들어질 수 있다.

회색문헌은 단행본 등 기존의 자료에 비해 쉽게 소멸될 수 있다. 복본의 양이 적

은 경우가 많고, 공식적 소장처나 유통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회 학술대회 자료집의 경우, 많은 개인에게 배포되지만, 이

Page 9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5 -

사나 서재정리 등의 과정에서 버려지는 경우가 많고, 학회 본부에 공간적 여유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행처의 장기 소장조차 힘들 수 있다. 반면, 학

회 입장에서 학술대회 자료집은 매우 소중한 정보로 학회의 역사적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중요하지만 소멸이 쉬운 회색문헌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이 보관하고(보

존성), 또한 많은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는(접근성) 공공적 관점에 대한 기관의 공

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료 소장 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

다면, 업무상으로뿐만 아니라 의미상으로도 최선의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5.3.6 타 정보기관과의 연계

앞서 중심기관 및 각 자료 소장 기관, 즉 회색문헌 자료를 입수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들과의 협력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에 더하여 자료 및 정보 공유의 차원에서,

회색문헌을 수집하는 타 기관과의 연계에 힘쓰는 것 또한 회색문헌 수집에 장기적

으로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회색문헌 수집은 여러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가 잡힌 상태는 아니며, 회색문헌 자료는 다양한 곳에 분포되어 있어 일

괄적 자료수집이 힘든 만큼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회색문헌을 수집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KISTI, KERIS, 국회도서관을 들

수 있다. 먼저 자료 공유 차원에서는, 이들이 수집 및 보유하고 있는 회색문헌의 성

격을 파악하고, 서로의 자료 및 자료원 공유를 통해 기관의 자료 풍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단, 기관 간 자료 차별화 또한 함께 논의해야 할 주제이다. 다음으로, 정보

공유 차원에서는, 회색문헌 수집 방법이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KISTI의 자료맵, 영국도서관의 회색문헌 수집 담당부서의 자문 요청 등을 생

각해 볼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의 ‘3.1.1.1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KISTI)’와 ‘3.2.2.2 영국도서관(BL)’을 참고한다.

정보기관들이 상대적 경쟁력을 갖추려는 상황에서 회색문헌 관련 자료 및 정보

공유가 쉬운 과제는 아니겠지만, 장기적으로 각 기관의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무엇

보다 이용자에게 이득을 줄 수 있다는 큰 그림을 상기하고 협력을 추진할 것을 제

안한다. 1980년 유럽 커뮤니티 국가들에서 생산된 회색문헌들을 수집 및 이용하기

위해 창설된 유럽 회색문헌정보시스템(SIGLE)의 사례가 참고가 될 수 있다. 본 사

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2.1.5 유럽 회색문헌정보시스템(SIGLE)’을 참고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추진 중인 타 정보기관과의 연계사업으로는 OAK

(Open Access Korea) 사업 인수를 들 수 있다. KISTI와 문화체육관광부가 함께

주관한 OAK 사업이 2013년 종료됨에 따라, 사업결과물을 인수하여 국립중앙도서

Page 10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6 -

관에서 제공하는 것이 OAK 사업 인수의 주된 내용이다.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

루어질 경우 사업결과물이 안전하게 보관되는 동시에, 국립중앙도서관이 제공하는

회색문헌의 범위가 보다 넓어질 것이라 기대한다. 무엇보다, 종료된 사업의 차원에

서도 국립중앙도서관의 차원에서도 이점을 갖는 win-win 전략이라는 점에서 추후

타 정보기관과의 연계 추진에 본보기로 삼을만한 사례이다. 참고로 OAK 사업에 대

해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OAK 사업의 공식 명칭은 '국가지식콘텐츠의

창조적 관리 및 확산'으로, 국가 지식콘텐츠 아카이빙(보존) 및 활용확산을 위한 국

내 오픈액세스(OAK OAK(Open Access Korea)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문화체육

관광부와 KISTI에서 2009~2013년에 걸쳐 주관하였으며, 사업 내용은 OAK 리포

지터리 개발 및 보급, 국내 오픈액세스저널 발굴 및 육성, 오픈액세스 홍보 및 공공

접근 정책연구이다. 이 사업을 통해 리포지터리 20건(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려

대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주대학교 의학문헌정보센터, 한국

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소비자원, 한국원자력연

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표준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세대학교 의학도서관, 서울연구원, 공주대학교 교육공학

혁신센터, 극지연구소, 경기도 사이버도서관, 한국조세연구원), 학술정보 25만건,

XML 저널 1,835건, 그리고 관련 기술 및 서비스를 결과물로 확보하였다.

5.3.7 도서관의 꾸준한 노력과 투자

앞서 언급한 협정, 제도마련, 기관의 공감 형성 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해

도, 회색문헌 수집은 도서관 차원의 큰 노력과 투자를 필요로 한다. 특히 일괄적 관

리가 불가능하며 각 기관으로의 직접 연락을 통해 자료를 요청하는 등의 업무가 동

반되는 회색문헌 특성 상, 지속적인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은 필수 요소이다. 또한

업데이트되는 기관이나 자료를 파악하기 위해 상시적·장기적으로 업무가 수행되어

야하기 때문에, 회색문헌 수집 및 관리 담당 부서를 별도로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

해 볼 것을 제안한다. 영국도서관에서는 문헌제공서비스(BLDSS: British Library-

Document Supply Service)를 위한 부서, 그리고 특별한 회색문헌 수집을 위해

The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 Archive 수집 부서를 따로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본 사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2.2.2 영국도서관(BL)’을 참고한다.

회색문헌 수집을 위한 인력 구성에 대한 내용은 본 보고서의 ‘5.7 전담 인력 구

성 제안’을 참고한다.

Page 10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7 -

5.4 회색문헌 수집 시 고려사항

기본 원칙에 의거해 회색문헌 수집을 추진하되, 수집 시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5.4.1 자료 관련 선행 정책 및 협약 유무

특정 자료를 수집하고자 할 때, 특정 기관 및 기관 내 자료유형과 관련한 내부

정책이나 외부 협약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수집 대상인 회색문헌을 기관이

내부적으로 외부 공개를 제한하는 자료이거나, 특정 학술 DB 서비스(ex. RISS)와

독점적 계약을 맺은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 등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 차원에서도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므로, 여러 이유로 수집이 힘들더라

도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재정적 투자가 필요할 수 있다.

5.4.2 자료 생산의 정기/비정기 여부

자료의 정기/비정기 여부에 따라 수집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집 시 이를

확인하도록 한다.

자료가 정기 간행물인 경우, 기존 자료 중 수집에서 누락되는 호가 없도록 꼼꼼

히 챙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생 자료 수집을 위해 생산 주기를 확인해 간행물

의 지속적 수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정기 학술대회 자료집, 정기 세미나 자료

집, 뉴스레터, 연간 보고서 등이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자료들이다.

자료가 비정기 간행물인 경우 기존 자료 수집에서는 역시 빠지는 호가 없도록 신

경 쓸 필요가 있는데, 정기적 발행이 아니기 때문에 누락 자료가 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비정기 연속 간행물의 경우에는 출판 주

기를 체크할 수 없으므로, 자료 소장 기관의 self-report가 무척 중요하다. 만약 자

료 소장 기관 차원에서 self-report가 불가능한 경우, 그 간의 자료들의 생산 주기

를 기초로 대략의 주기를 예측하고, 이를 기준으로 주기를 정해 정기적으로 신생

자료를 체크 할 필요가 있다.

5.4.3 온라인 자료 열람 시 관외 접속 공개수위 및 로그인 여부

회색문헌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경우, 원문의 관외 접속 공개수위, 로그인 여부

등을 고려해 서비스해야 한다. 이용자 편의를 최대한으로 배려하되, 저작자의 입장

또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각 자료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Page 10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8 -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 자료는 모두이용/협정공공도서관이용/협정도서관

이용/관내이용으로 공개수위를 구분하고 있다. 한편 각 자료 소장 기관은 자체 생산

자료를 공개수위 및 로그인으로 보호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서 해당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공개수위에 대해 기관과의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

측된다. 공문을 통해 기관에 자료를 요청하는 시점부터 이에 대한 항목을 삽입하여

기관에서도 이를 미리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국회도서관의 경우는 공개수위를 구분하되, 모든 자료 사용에 로그인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KISTI의 경우는 자체 연구성과물(논문·보고서 및 산업재산권

자료)의 원문 이용 시 웹사이트 상의 본인확인 절차(주민등록번호 또는 공공아이핀

기입)를 요구하고 있다.

5.4.4 DB 내 메타데이터 생성 및 관리

회색문헌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회색문

헌에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DB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먼저 회색문헌 유형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보고서,

중간산출물, 기관발행학술지, 기관간행물, 프로시딩,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세미나/

워크샵자료, 강좌/강연자료, 표/통계자료, 멀티미디어자료, 웹자료를 회색문헌의 유

형으로 제안하였다. 기존 DB에서 이를 잘 포함할 수 있는지, 추가적으로 생성해야

할 자료유형은 없는지 살핀다. 이와 함께 소장 기관, 정기/비정기 여부 등 기존의

DB가 회색문헌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초기 단계부터 충분한 주의를 기울

여야 한다.

5.4.5 해외 회색문헌 제공 및 접근경로 마련에 대한 검토

회색문헌 관련 사례조사 결과, 해외에서는 국내에 비해 회색문헌에 대한 인식도

가 높으며 활발한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해외 회색문

헌의 경우, 정보원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워 희소가치가

특히 높다. 국내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자료인 만큼, 국립중앙도서관이 해외 회색문

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준다면 이용자에게 유용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서관 이미

지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따라서 국내 생산 회색문헌 제공을 기본으로 하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해외 회

색문헌에 대한 접근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도 검토할 것을 제안하다. 본 보고서의

‘3. 국내외 주요 회색문헌 현황’에서 언급한 유럽 회색문헌정보시스템(SIGLE), 영국

도서관 해외 회색문헌 DB와의 협정 및 연계 등도 도전해 볼 만한 과제이다.

Page 10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89 -

5.5 회색문헌 수집모형

본 연구의 수집 대상인 회색문헌은 그 출처 및 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별개의 수집방법 및 고려사항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회색문헌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3차원 모형을 기본수집모형으로 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차원의 각 축은 다음의 [그림 51]에서와 같이 자료유형, 소장기

관, 현존여부로 구성되며, 이 축을 기준으로 삼아 경우를 나누어 수집 방안을 제안

한다. 각 기준은 다음과 같다.

[그림 51] 3차원 회색문헌 수집기본모형

1) 자료유형 (1, 2, 3, 4, 5, 6)

자료유형은 보고서, 기관간행물, 학술대회/세미나자료, 교육자료, 표/통계자료, 웹/

멀티미디어자료의 총 6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생산과 관리에 있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회색문헌을 유형별로 분류함으로써, 각 유형의 수집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

로 한다.

2) 소장기관 (A, B, C, D)

본 수집기본모형에서 소장기관 유형은 크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뉘며, 각

부문 별로 회색문헌 생산에 있어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접근 방식, 보상 방안 등을

제시한다. 공공부문은 정부/공공기관(A), 민간부문은 대학 내 연구소(B), 학회(C),

재단(D) 총 3가지 기관으로 구성된다.

Page 10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0 -

본 연구에서 공공부문의 경우, 6가지 자료 유형 중 보고서 자료와 학술대회/세미

나 자료에 한해 세부 수집 방안을 제시한다. 이 두 가지 유형은 국립중앙도서관 회

색문헌 전담팀이 기존에 수집 중인 회색문헌 유형으로, 본 연구에서 이를 개선할

방안을 집중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3) 현존여부(신, 기)

수집기본모형의 ‘현존여부’는 신생 자료와 기존 자료로 구분된다. 신생 자료의 경

우 대상 기관이 앞으로 생산할 회색문헌으로, 빠르고 꾸준하게 신생 기관을 파악하

고 새로운 회색문헌 소식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기존 자료의 경우에는 최대한 빠짐없이 현황을 파악하여 망라적 수집 방

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5.5.1 자료유형별 특성

1) 보고서

본 수집 기본모형에서 보고서는 연구보고서 및 연차보고서 등을 포함하는 자료유

형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으로 공개될 경우 게시판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경우가 많지만, 외부지원에 의해 생산된 경우 비공개되는 자

료도 다수 존재한다.

보고서 생산에 있어서 두드러지는 분야는 사회과학이다. 웹사이트 조사를 통한

출판동향 분석에 의하면 대학 내 연구소에서 발행한 11,569개의 최종보고서 중

46%인 5,362개의 최종보고서가 사회과학 계열에서 발행하였으며, 학회에서 발행한

총 27,053개의 최종보고서 중 68%인 16,118개의 최종보고서가 사회과학 계열에서

생산하였다.

기관별로 보고서 생산에 있어서의 특성을 분석해볼 때, 학회에 비해 연구소에서

보고서 생산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학회의 보고서 생산이 27,053개, 대학

내 연구소의 보고서 생산이 11,569개로 학회의 보고서 양이 대학 내 연구소의 약

3배에 이른다. 재단의 경우에는 연구보고서보다는 대중에 대한 공개를 목적으로 하

는 연차보고서 생산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Page 10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1 -

2) 기관간행물

기관간행물은 기관에서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간행하는 출판물로, 대표적인

형태로는 기관발행학술지, 뉴스레터, 단행본, 연보 등이 있다. 기관간행물의 특징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정기·비정기 자료가 혼재한다는 점으로, 뉴스레터와 같이 정

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와 연보, 칼럼, 단행본 등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가 함

께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와 비정기적으

로 생산되는 자료를 구분하여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를 우선 수집하는 전략을

고려해볼만 하다.

기관간행물 역시 보고서와 같이 사회과학 분야에서 다수 생산되고 있다. 웹사이

트 조사를 통한 출판 동향 분석 결과, 대학 내 연구소에서 생산한 2,859개의 기관

간행물 중 33%인 954개의 기관간행물을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소에서 발행하였다.

총 30,443개의 학회 기관간행물 중에서는 14,930개의 기관간행물이 사회과학 학회

에서 발간되었는데, 이는 전체의 49%에 달하는 비율이다.

기관별 특성 중, 우선 재단을 살펴보면 재단이 생산하는 전체 회색문헌 3,341개

중 약 30%인 1,478개를 기관간행물이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재단이 기관 홍보

를 위해 소식지, 연보 등을 다수 발행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회와

연구소의 전체 회색문헌 생산량 대비 기관간행물 생산량 비율을 비교해보면, 학회

의 생산량이 대학 내 연구소보다 약 3배 높게 나타난다. 대학 내 연구소에서 생산

된 총 회색문헌 중 기관간행물의 비율은 약 6%인데 반해 학회의 회색문헌 간행 중

19%가 기관간행물로, 학회가 대학 내 연구소보다 기관간행물 생산에 있어 활발함

을 알 수 있다.

3)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학술대회/세미나 자료는 대학 내 연구소 및 학회에서 널리 생산되는 가장 보편적

인 회색문헌으로, 회색문헌 중 자료수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제 분야별로도

두드러지는 분야 없이 두루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유형은 연 1회에서 2회 가량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학술대회와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세미나, 워크샵, 콜로키움, 포럼 등 학술 행사의 중간산출물 및 결과물로

생산되는 자료를 포함한다. 다만, 일부 세미나와 워크샵의 경우는 학술대회보다 잦

은 빈도로 개최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아, 수집할 때 자료의 분량 및 생산 빈도의

측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학술대회/세미나 자료는 온라인으로는 제공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수집 시 연구소 및 학회에 직접 연락을 취해 수집해야할 가능성

이 높다. 즉, 기관들의 자발적 협조 및 참여가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Page 10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2 -

기관별 특성을 살펴보면,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발행에 있어 연구소와 학회 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학회의 경우, 학술대회자료가 1467개, 세미나자료가 993개

로 학술대회자료가 보다 많이 생산되는데 이는 학술대회의 개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반대로 연구소의 경우는 1135개에 이르는 세미나자료에 반해

학술대회 자료는 563개에 그쳐 세미나 자료가 연구소의 중점 회색문헌임을 알 수

있다. 두 기관에 비해 재단의 경우 학술적인 목적을 가진 행사의 개최가 저조하여,

전체 재단 회색문헌의 2%인 총 96개의 자료가 생산되었다.

4) 교육자료

본 수집 기본모형에서 교육자료는 강연/강좌 및 교육과 관련된 자료를 포함한다.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에 자료가 업로드 되는 경우가 많지 않

아 기관과의 연락 및 기관의 self-report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 분야별로 교육자료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사회과학분야의 자료 생산이 두드

러진다. 전체 5,375개의 학회 발간 교육자료 중 사회과학 분야의 학회가 73%인

3,927개의 교육자료를 발간하고 있다. 대학 내 연구소의 경우, 인문학 분야 연구소

의 발간 자료수가 1,275개로 전체 3,884개의 교육자료 중 32%를 차지하며, 사회

과학 분야 연구소는 28%에 해당하는 1,115개의 교육자료를 생산하여 인문·사회분

야의 해당 유형 자료 생산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특정 분야의 학회에서는 일부 학

회가 대다수의 교육자료를 발간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의약

학 학회의 해당 유형 자료 중 86%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 교육자료 생산 현황을 비교해볼 때, 학회에 비해 연구소의 생산이 2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단에서는 해당 유형의 회색문헌 발간은 거의 이루

어지지 않았다.

5) 표/통계자료

표/통계자료는 전체 회색문헌 생산 중 3% 미만의 적은 비중을 가지지만, 그 형태

가 낱개의 이미지 및 파일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집 시 추가적 고려

가 필요한 형태의 자료이다. 또한 온라인 접근성이 뛰어난 유형의 자료이기 때문에

수집 후 관리에 있어서 파일로 보존 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웹사이트 조사를 통한 표/통계자료 출판 동향 분석에 따르면, 연구소에서 생산

되는 표/통계자료 46개 전체가 사회과학 연구소에서 생산되고 있다. 학회의 경우,

총 5,210개의 표/통계자료 중 69%인 3,642개를 농수해양 분야 학회가 생산하고,

27%인 1,413개의 표/통계자료는 사회과학 분야 학회가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

Page 10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3 -

타났다.

기관별로 해당 유형의 회색문헌 생산의 특징은 학회가 타 기관에 비해 많은 수의

표/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해당 유형의 회색문헌이 학회 전체

회색문헌 중 3%, 연구소 전체 회색문헌 중 0.1%, 재단 전체 회색문헌 중 1.25%를

차지하는데 그쳐 그 생산은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6) 웹/멀티미디어자료

멀티미디어 자료와 웹 자료는 모든 유형의 기관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생산

되는데, 연구소, 학회, 재단 모두 웹/멀티미디어 자료의 수는 전체 회색문헌 수의

10% 미만에 해당한다. 반면, 해당 유형의 회색문헌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형태로 존

재하며 게시판과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생산되는 경우도 있어 온라인 접근성이 뛰

어나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대중에게 공개할 목적을 가진 홍보 동영상 및 프로

그램을 포함하고 있어 웹페이지를 통한 수집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 분야별 해당 유형 자료의 생산 현황은 멀티미디어 자료와 웹 자료로 각각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멀티미디어 자료의 경우, 학회에서 생산되는 해당 유형 회색

문헌의 수는 4,177개이며 이 중 62%인 2,607개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복합학 분야

에서 생산된다. 연구소의 경우에는 총 3,893개의 해당 유형 자료 중 67%인 2,645

개를 공학 분야 연구소에서 생산한다. 다음으로 웹 자료를 살펴보면, 학회가 생산하

는 총 4,280개의 웹 자료 중 43%인 1,877개의 자료를 사회과학 분야에서 생산하

며, 뒤이어 36%인 1,560개의 자료를 공학 분야에서 생산한다. 연구소 중에는 사회

과학 분야의 연구소가 전체 2,905개의 해당 유형 자료 중 2,735개를 생산, 총

94%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장 기관별로는 학회에 비해 연구소에서 멀티미디어와 웹 자료의 생산을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전체 회색문헌 중 멀티미디어와 웹 자료의 수가

각각 8.7%, 6.5%를 차지하는 반면 학회는 각각 2.5%, 2.6%를 차지하여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재단의 경우 역시 전체 재단 회색문헌의 약 5% 정도만이 웹과 멀티미

디어 자료에 해당하여, 생산 수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5.5.2 소장기관별 특성

1) 정부/공공기관

정부 및 공공기관은 앞서 '5.3.2 제도적 기반 마련'에서 밝힌 바와 같이 「도서관

Page 10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4 -

법」,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정한 바와 같이 납본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공공

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등에서 규정된 정보공개의무를 가지고 있다. 따라

서 민간기관과 달리 정보 공개와 납본에 대한 법적의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색

문헌 공개 및 납본에 있어 비교적 협조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국립중앙도서

관 자료수집과 회색문헌 전담팀이 구성된 이후, 정부 및 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수집

이 이전보다 많이 활성화 되고 있다.

전반적인 정부 및 공공기관의 회색문헌 보유 현황에 대한 조사가 부재한 관계로

국립중앙도서관의 공공기관 회색문헌 목록을 통해 일부 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생산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자료 유형별 공공기관 회색문헌 현황을 살펴보면, 전

체 126개의 회색문헌 중 최종보고서가 37.3%인 47개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

고 있다. 뒤를 이어 학술대회/세미나 자료가 31.7%인 40개가 생산되었다. 주제 분

야별로 보았을 때는 인문·사회계열의 공공기관이 생산한 회색문헌이 다수를 차지하

였는데, 사회과학분야의 공공기관이 전체의 36.5%, 인문학 분야의 공공기관이

29.37%의 비율로 나타났다.

2) 대학 내 연구소

대학 내 연구소는 외부 연구 용역 및 개인 학술 연구를 주된 활동으로 하는 기관

이며, 그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운영상황에 따라 웹 상에 자료 아카

이빙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웹사이트 조사를 통한 출판동향 분석 결과,

웹사이트에 자료가 있는 연구소의 비율은 37.32%로 나타났으며, 연구소 당 평균

34.9개의 자료를 생산하고 있어 그 규모가 학회(79.05%, 141.46)에 비해 작으며

웹 상의 아카이빙 면에서도 저조한 실적을 보여준다.

대학 내 연구소의 주제 분야별 자료 생산은 사회과학, 공학, 인문학 분야에서 두

드러진다. 각각 전체 자료의 36%인 16,468개, 19%인 8,671개, 16%인 7,272개의

자료를 생산하였다. 학회의 회색문헌 생산과 비교해 볼 경우,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자료 생산이 활발한 편임을 알 수 있다. 학회의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의 경우 자

연과학 분야의 회색문헌이 전체 회색문헌의 4.5%, 인문학이 7.8%를 차지하는 것에

반해 연구소는 각각 7.8%, 1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유형별 특성으로는 세미나/워크샵 자료(26%)의 생산과 최종보고서 생산

(26%)이 활발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 내 연구소가 개인의 학술 연구 보조와 외

부 연구 용역을 위주로 운영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회와 비교해보

았을 때 강좌/강연자료(9%)와 멀티미디어자료(9%)가 전체 연구소의 회색문헌 생산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이다.

Page 10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5 -

3) 학회

학회는 학술자료를 활발히 생산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크고 조직이 체계적인 경

우가 많다. 이러한 조직을 바탕으로 정기적인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일반적인

학회의 모습이다. 또한 국제학회 및 교류와 관련된 자료도 상당수 보유하고 있어

그 자료의 풍부성이 돋보인다. 웹사이트 조사를 통한 학회 별 출판동향 분석에 따

르면 전체 학회 중 자료를 가지고 있는 학회의 비율은 79%에 이르며 학회 당 자료

수도 141.46개로 나타난다. 연구소에 비해서는 웹사이트 운영도 활발한데, 생산한

회색문헌을 학회 웹사이트에 충실히 업로드 하는 편이다. 다만 학회 회원만을 대상

으로 학술행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홈페이지 또한 회원 위주로 운영되어 일

반 이용자는 회색문헌에 접근하기 힘들다는 점은 회색문헌의 수집에 있어서 어려움

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학회의 주제 분야별 회색문헌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사회과학, 공학 분야에서 자

료가 많이 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 사회과학은 전체 자료의 33%인

53,099개, 공학은 32%인 52,911개로 3분의 2 가량을 차지한다. 연구소와 비교해

보았을 때 두드러지는 주제 분야는 공학 분야로, 연구소는 전체 회색문헌 중 공학

분야 연구소에서 간행된 자료가 19% 가량인 반면 학회는 32% 이상을 기록하여 그

차이가 확연하다.

자료유형별로 살펴보면 학술대회 자료와 세미나/워크샵 자료를 활발히 생산하고

있는데, 세미나/워크샵보다는 정규적인 학술대회 개최가 학회 운영 상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회원 위주의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소에 비해

학회 소식지나 학술행사 홍보용 포스터 간행이 많아 기관간행물의 비중이 전체의

13%로 높은 편이다.

4) 재단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재단들의 경우, 장학재단과 문화재단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

은 재단들은 대개 대중의 참여와 홍보가 중요하며, 홈페이지를 통한 원문자료 접근

또한 용이한 편이다. 다만 장학재단은 회색문헌을 출판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규

모가 큰 종합재단은 회색문헌 출판이 활발하다. 재단의 약 33%가 회색문헌을 출판

하며, 종합재단은 69% 가량이 회색문헌을 생산하고 있다. 재단 당 자료수 는 약

42개를 기록하였다. 재단에서 발행하는 회색문헌의 주제 상 특징은 전문·학술적 자

료보다는 소식지·교육자료가 일반적으로 널리 분포한다는 점이며, 일부 재단의 경우

에서만 보고서, 논문집과 같은 학술자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 및 학

회에 비해 두드러지는 자료는 연간보고서로, 자료 수는 많지 않지만 그 종 수를 볼

Page 11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6 -

때 전체 회색문헌 종 수인 152개 중 12%인 약 18종을 차지하여 재단의 특징적인

회색문헌이라고 볼 수 있다.

5.5.3 현존여부별 특성

1) 신생자료

본 수집모형에서 신생자료는 대상 기관들이 앞으로 생산할 회색문헌을 의미한다.

신생 자료 수집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빠르고 꾸준한 신생 기관 및 회색문헌 소식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기관에서 생산하는 신생자료를 수집할 경우, 본 연구에서 수

집한 기관 리스트를 주 대상으로 수집을 진행하되, 신설 기관이 생기는 경우를 대

비하여 연구재단 등 중심기관을 통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자료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와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로

나누어 수집 및 관리 방식을 달리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는 기관의 self-report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이 필

요하다.

2) 기존자료

본 수집모형에서 기존자료는 대상 기관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회색문헌을 의미

한다. 기존자료들 중 수집이 용이한 회색의 농도가 낮은 회색문헌부터 수집한 후

점차 수집이 어려운 짙은 회색문헌의 수집을 늘리는 방식으로 최대한 빠짐없이 현

존 자료를 수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소, 학회, 재단 리스트를

정리하고 일부 기관의 소장 자료를 파악하여 현존하는 민간기관의 회색문헌 수집의

기초 자료를 만든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회색문헌 소장 현황은 기관 웹페이

지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에 한정된 바, 이후 기관과의 연락망 구축 및

self-report 체계 구축을 통해 기존자료가 유실되지 않고 수집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료 수집 대상 기관 파악 및 관리를 위해서는 연구재단, 교육

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중심기관과의 적극적 연계가 필수적임을 당부한다.

5.5.4 추가고려사항

1) 회색문헌 농도와 기관의 self-report

본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에서는 추

Page 11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7 -

가 고려사항으로 회색의 농도에 따른 수집 우선순위 부여를 제시하고자 한다.

회색의 농도는 회색문헌의 공개 수준, 생산기관 유형, 정기성을 기준으로 하여 스

펙트럼을 이룬다. 최선희 외(1997)에 따르면, 회색의 정도에 따라 회색문헌을 분류

할 경우, 공개를 목적으로 출판된 자료, 혹은 저자가 직접 외부에 자신의 연구결과

를 표현한 공식보고서, 프로시딩 등은 밝은 회색문헌(light grey literature)에 속하

고 외부로 보급할 목적이 없고 동일한 목적을 갖는 집단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한

중간 회색문헌(medium grey literature), 존재 여부를 특정인 혹은 특정단체가 공

개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어두운 회색문헌(dark grey literature)로 나눌 수 있다.

[그림 52] 중심기관 관리 여부에 따른 회색문헌의 농도

회색문헌 생산기관 유형은 일차적으로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공기관 발행자료의 경우는 대개 공개를 목적으로 공시되기 때문에 민간기관 발행

자료에 비해 회색문헌의 농도가 옅다고 볼 수 있다. 이차적으로 민간기관 중 한국

연구재단, 교육부, 대학 산학협력단 등의 중심 기관에서 관리하는 개별기관의 경우

는 그 접근성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관에서 생산하는 회색문헌은 그

농도가 옅은 편이라 볼 수 있다.

위의 두 기준과 더불어, 회색문헌의 정기성 또한 회색문헌의 농도를 결정짓는다.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회색문헌의 경우는 비정기 간행물이나 단발성 간행물에 비해

회색의 농도가 옅다.

[그림 53] 회색문헌의 농도 스펙트럼

Page 11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8 -

제22조(공공저작권의 자유이용허락)

① 공공기관은 공공저작물의 민간에서의 이용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유이용허락

에 노력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에서 이용료를 징수하도록 의무를 부과한 경우 또는 이

용허락의 상대방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 그 범위에서는 자유이용허락을 할 수 없다.

회색문헌의 농도가 짙어질수록, 수집에 있어서 self-report 의존도가 높아진다.

공개 수준이 낮고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짙은 농도의 회색문헌의 경우, 해당 기관

의 self-report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집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심 기

관에 의해 관리되지 않는 기관의 회색문헌을 수집할 때에는 기관과 개별적으로 연

락을 취해야하기 때문에, 옅은 농도의 회색문헌 수집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필요

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력 대비 수집량을 극대화하여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수집대상으로 밝은 회색문헌 (light grey literature)을 선택할 것을 제안하며,

추후 점진적으로 어두운 단계로 수집을 진행하여 망라적 회색문헌 수집을 달성할

것을 제안한다.

2) 기관 성격에 따른 수집 전략

공공기관, 민간기관 여부에 따라 회색문헌의 수집에 있어서 그 접근 방법이나 보

상 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수집 기본모형에서 정부/공공기관과 여타 민간기관을

분리한 것은 이러한 양 기관 간의 성격 차이가 수집 전략에서의 차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우선 정부 및 공공기관에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출연기관, 공기업, 준정부

기관, 기타 공공기관 등이 속한다.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 등에서 납본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공개하지 못할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정보를 최대한 요청하

면 공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보다는 자료의 접근성

확보 및 공공 이익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자료를 제출하여 위의 법에서 부과한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 측면에서도 별도의 보상은

필요하지 않다.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지침」 제 22조(공공저작권의 자유이용허

락) 에서 정한 바와 같이, 공공기관은 특별한 사항이 없는 경우 공공저작물의 자유

이용허락에 힘써야하는 바, 보상보다 회색문헌 수집 협조를 통해 법률상의 권고를

다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Page 11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99 -

반면 대학 내 연구소, 학회, 재단, 기타 영리/비영리기관 등이 속하는 민간기관의

경우에는 공공기관과 달리 그 보상 및 인센티브가 회색문헌 수집 전략에 있어 필수

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접근 방법에 있어서도 기관이 회색문헌 납본을 통해 이득

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도서관-기관 간의 win-win 전략을 염두에 두는

것을 권장한다. 개인 차원에서 소장할 경우 소멸되기 쉬운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

에의 납본을 통해 안전하게 아카이빙 한다는 점, 별도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을 내세우며 자료 제출을 설득하는 것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민간기관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보상 측면에서는 직접적으로 금전 보상을 해주는 방법도 있겠지만,

win-win 전략의 일환으로 학술대회/세미나/포럼 등의 자료집 인쇄비의 일부를 지

원하고 납본을 받는 방식 등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지원 경로가 생길 경

우, 민간기관의 납본을 활성화함은 물론이고 자료집의 발간 자체를 활성화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3) 기관의 주제 분야에 따른 수집전략

본 연구에서는 대학 부설 연구소와 학회를 주제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주제 분야별로 나타나는 회색문헌 유형 차이와 같은 회색문헌 생산 상의 차이

점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는 기관의 주제 분야에 따른 수집 전략 형성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인 주제 분야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ㄱ. 대학 부설 연구소

주제 분야별 대학 부설 연구소의 회색문헌 생산 현황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살

펴보면, 연구소 수와 회색문헌 수는 비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과학

과 공학 분야는 연구소 수와 회색문헌 수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두 수치 간

의 비례를 보여준다. 또한 다수의 주제 분야에서 세미나/워크샵자료를 많이 생산하

고 있으며, 그 외에도 특정 자료 유형에 있어서 생산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있다.

세부적으로 주제 분야별 대학 부설 연구소의 회색문헌 생산 상의 특성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과학 분야는 연구소 수와 회색문헌 수에서 최다를 기록

하고 있다. 사회과학 분야는 회색문헌 수에서 전체의 32%를 점하는데 이는 2위를

기록한 공학 분야 연구소의 보유 비율인 15%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이다. 자료 유

형 중에서는 최종보고서, 세미나/워크샵자료, 웹 자료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특히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소는 웹 자료의 90%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웹 자료 수집에

있어 주요한 수집원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소 수와 회색문헌 수에서 2위를

차지한 공학의 경우 주목할 만 한 점은 회색문헌 수가 많은데 반해 회색문헌 보유

Page 11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0 -

비율, 기관 당 자료 수는 평균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부 공학 분

야 연구소에 회색문헌이 집중 보유되어있다는 것으로, 수집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참고할 만한 정보이다. 인문학 분야는 학술대회/세미나자료 및 강좌/강연자료를 다

수 보유하며 의약학, 자연과학 분야 역시 학술대회/세미나자료를 많이 생산한다. 의

약학 분야 연구소에서 특징적인 점은 정신과학 분야의 회색문헌 수가 전체 해당 분

야 회색문헌 수의 30%를 기록한다는 부분이다. 연구소 수가 적은 예술체육, 농수해

양 분야의 경우, 예술체육 분야의 멀티미디어 자료 생산이 많으며, 농수해양 분야의

기관 당 자료수가 163.29개로 평균을 상회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ㄴ. 학회

주제 분야별로 학회의 회색문헌 생산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학회는 회색문헌

생산의 활성화 정도와 기관수가 크게 비례하는 경향을 띄지 않으며 연구소에 비해

기관간행물 발행이 두드러진다. 주제 분야별로 나타난 구체적인 회색문헌 생산 상

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연구소와 마찬가지로 사회과학 분야의 학회 수와 회색문헌 수가 가장 높게 나타

났는데, 최종보고서와 기관간행물의 생산이 많은 편이다. 반면 학회 수가 두 번째로

많은 인문학 분야의 학회는 회색문헌 보유 비율 및 기관 당 회색문헌 수는 평균보

다 낮아, 연구소와 달리 학회는 기관의 수와 회색문헌 생산량이 비례하는 추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인문학 학회에서 많이 생산하는 자료는 프로시딩과 기관간행물

이다. 회색문헌 수가 2위인 분야는 의약학으로, 역시 프로시딩과 기관간행물 생산

이 많다. 또한 일부 학회가 강연/강좌자료를 대량 생산하여 전체 강연/강좌자료의 1

6%를 차지하였다. 공학 분야의 학회는 학술대회/세미나자료를 많이 보유하며, 전자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학회가 회색문헌 생산에 활발하다. 복합학 및 자연과학은 큰

특징 없이 최종보고서와 프로시딩 생산에 일조하고 있다. 학회 수에서 예술체육과

농수해양은 하위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예술체육은 동 분야의 연구소와 마찬가지

로 적은 수의 회색문헌을 생산하는데, 이 분야 학회의 회색문헌 수는 전체의 6.5%

로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농수해양 분야의 학회는 학회 수가 전체의 3%로

가장 적지만 회색문헌 보유 비율은 88.9%로 가장 높아, 농수해양 분야는 기관 종

류를 막론하고 회색문헌 생산에 있어 비교적 활발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

다.

Page 11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1 -

자료

소장기관1위 2위 3위 기타

정부/

공공기관

보고서

(A-1-신/기)

기관 간행물

(A-2-신/기)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A-3-신/기)

- -

대학 부설

연구소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B-3-신/기)

보고서 자료

(B-1-신/기)

웹/멀티미디어

자료

(B-6-신/기)

기관간행물,

교육자료,

표/통계자료,

특허

학회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C-3-신/기)

기관간행물

(C-2-신/기)

보고서

(C-1-신/기)

교육자료,

표/통계자료,

웹/멀티미디어자료

재단보고서

(D-1-신/기)

기관간행물 자료

(D-2-신/기)

웹/멀티미디어

자료

(D-6-신/기)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표/통계자료

<표 26> 자료 소장기관 별 자료유형 비율 순위

5.6 수집 유형별 고려사항

본 장에서는 수집 유형별 특징 및 수집 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한다.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 각 자료 소장 기관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자료 유형 3가지

(<표 26> 참고)를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각각 기술하였으며, 나머지는 ‘기타’로 묶

어 다루었다.

앞 장에서 정의한 수집 유형을 기초로 하였으므로, [그림 51] 및 ‘5.5 회색문헌

수집 모형’의 자료유형별, 소장기관별, 현존여부별 자료 특성과 함께 참고해 수집

업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표 26> 및 본문의 앞 장에서 정의한 해당 수집 유형

의 코드를 함께 기입하였다.

본 장에서 기술한 내용은 본 연구에서 실시한 연구소, 학회, 재단의 회색문헌 출

판 현황 파악 및 분석을 기초로 하였음을 밝힌다. 단, 정부/공공기관 자료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이미 수집업무를 시행중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에서 수집한 자료 및 「정부간행물 납본[제출] 지침」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5.6.1 정부/공공기관

국립중앙도서관은 최근 정부/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자료 수집을 시작하였다. 「정

부간행물 납본[제출] 지침」을 만들고 이에 의거해 수집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Page 11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2 -

따르면 수집 범위, 수집 대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

l 수집 범위

-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의 정책자료, 연구보고서, 백서, 연감(연보), 통계, 지도자

료, 도록 등

-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정책자료, 통계, 연감, 회의록, 예산집행, 지역사회

연구보고서 등

- 전국 교육청이 생산하는 교육관련 각종 통계, 평가자료, 연수교재, 지도자료 등

- 공공기관인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의 중장기 기본계획, 통계자료,

각종 보고서(연구활동, 사업실적 등) 역사자료 등

- 국회 및 지방의회,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법원 등이 공식적으로

발간한 자료

l 수집 대상 자료

구분 대상자료 제출부수

단 행 자 료

각종 통계자료, 업무편람, 법령집, 사료 연혁집, 연설 강

연집, 도감, 도록, 화보집, 목록, 교육자료, 성과사례집, 정책

평가 결과보고서 등

인쇄자료 3부

해당 전자파일

(PDF) 1점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 기술보고서, 이슈페이퍼,

워킹페이퍼 등

학술대회, 세미나ㆍ심포지엄ㆍ워크숍ㆍ포럼ㆍ설명회

관련 자료집 등

연속간행물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발간하는 자료(연감, 연보, 백서, 기

관지 등 잡지 형태)

비도서자료CD, DVD 등

3점각종 포스터, 팜플릿, 리플릿, 건축도면, 지도자료 등

전자출판물 전자적 형태(e-book, 전자파일 등)로만 생산된 자료

1점

(CD, DVD에

담아 제출)

<표 27> 정부/공공기관의 수집 대상 회색문헌

5.6.1.1 정부/공공기관의 보고서, 기관간행물 자료 (A-1-신/기, A-2-신/기)

기관간행물 및 보고서의 경우, 정부부처의 부처별 발간자료를 조사하여 공문을

통해 정부간행물을 제출(납본)해야 함을 홍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홍보의 성과로,

정부부처에서 일반 자료의 경우 자료 발간 즉시 도서관에 납본하는 것이 점점 자리

Page 11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3 -

순서 내용 세부작업 비고

1

[정부간행물]

정부간행물

수집 계획 및 납본

홍보

정부간행물 발간기관 및 부서

조사

정부간행물 제출(납본) 홍보

공문발송으로 인해

꾸준히 들어오고

있으며 보고서 자료

수집은 90%이상으로

판단됨

[회색문헌] 발간자료

조사

웹사이트 조사

- 세미나/컨퍼런스/포럼 등 일정

조사

- 발간 정보 조사

- 담당자 연락처 조사

2 [회색문헌] 목록 작성해당기관 발간자료 목록작성

- 회의 자료집, 보고서 등

소급 자료의 경우,

소장자료 복본조사

필요

3 [회색문헌] 납본 요청

기관/담당자 연락

- 유선전화/이메일

- 납본요청 공문 및 조사 목록

첨부

<표 28> 정부/공공기관 회색문헌 수집 과정

잡히고 있다. 특히 보고서의 경우, 자료발간 즉시 도서관에 납본이 되는 경우가 상

당히 많이 있음을 국립중앙도서관 측을 통해 확인하였다.

5.6.1.2 정부/공공기관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A-3-신/기)

학술대회 자료집 등의 경우는 웹사이트 조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스크랩마

스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세미나/컨퍼런스 개최 일정, 자료발간 관련 정보, 담당

자 연락처 등을 조사하여 기관 개별 연락을 통해 수집한다. 이 과정에서 발간자료

목록을 작성하는데, 이미 발간된 자료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 복본자료가 있는지

우선 확인한다. 자료가 없는 경우, 앞서 조사한 기관 정보를 바탕으로 담당자에게

유선전화, 이메일 등으로 납본 요청 공문을 보내어 자료를 요청하며, 이 때 미리 파

악한 발간자료 목록을 첨부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부/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수집 과정을

도식화하면 <표 28>과 같다.

Page 11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4 -

정부/공공기관 회색문헌의 수집은 점점 체계를 잡아가는 중에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공문 발송 등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자료 납본 관련 사항 홍보에 노

력을 기울인 결과, 자료소장 기관의 자료 납본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회색문헌 수집은 자료 소장 기관의 협조가 무척 중요하며, 기관의 자발적

자료 제출은 이상적인 수집 사례라 볼 수 있다. 앞으로도 기관의 자료 제출이 원활

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자료 제출 방법의 간소화, 담당자의 관리감독에 힘을 기울

이도록 한다.

보다 완전한 자료 수집을 위한 정부/공공기관 파악에 '한국정부기관부호표'가 도

움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5.3 회색문헌 수집 기본 원칙 > 5.3.1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에서 언급했듯이 국가기록원과 다방면으로 협력

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아직 회색문헌 수집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은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의 경우, 정부/공공기관의 회색문헌 수집 사례를 참고해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정립할 것을 당부한다. 단 기관의 자발적 자료 제출의 경우 민간기관은 공공기관에

비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등 본 보고서

에서 제안한 회색문헌 수집 기본 원칙을 충분히 고려하도록 한다.

5.6.2 대학 부설 연구소

대학 내 연구소는 외부 연구 용역 및 개인 학술 연구를 주된 활동으로 하는 기관

으로, 그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다. 운영상황에 따라 웹상에 자료 아카이빙이 잘 되

지 않고 있는 연구소가 다수 존재한다.

5.6.2.1 대학 부설 연구소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B-3-신/기)

대학 부설 연구소가 생산하는 회색문헌 중 약 40%는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이다.

전체 자료의 70%가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인 학회보다는 적은 비율이지만, 연구소

의 회색문헌 중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점은 연구소의 경우 학술대회 자료에 비해 세미나/워크샵 자료의 비중이 훨씬 크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즉, 세미나/워크샵자료의 비중이 26%, 프로시딩이 9%로, 세미

나/워크샵자료가 약 3배 정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구소의 학술대회/

세미나 자료의 다수가 상대적으로 비정기 생산되는 세미나/워크샵 자료임을 고려하

여 self-report를 이 유형 자료의 주된 수집 방안으로 삼기를 권장한다.

기존 자료의 경우, 연구재단 및 대학 내 산학 협력단과 같이 대학 내 연구소를

Page 11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5 -

관리하는 단체가 보유한 연구소 리스트를 활용하여 가능한 한 모든 자료를 파악하

고 수집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일부 연구소의 소장 자료 리스트

를 활용할 경우, 기존 기관 보유 자료를 수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연구기관 회색문헌 출판현황 설문조사 결과 학교 별로 운

영하는 연구업적평가시스템과 연계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자료를 우선적으로 수집하

는 방안도 고려할만한 수집 방안이다.

신생 자료의 경우,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의 경우에는 연구소에 인쇄비 일부

를 지원하고 연구소가 자발적으로 자료를 제출하도록 하는 체계를 도입하여 자료

수집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반면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는 연구소 별로

연락을 취해 연초에 연간 계획을 수집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소

에서 개최하는 다수의 학술행사가 간헐적이며 소규모로 열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가적으로 6개월에 한 번 정도 웹페이지 및 개별 연락을 통해 행사 개최 정보 및

자료 수집을 하여 최대한 새로 생산되는 자료 수집에 누락됨이 없도록 한다.

보상 방식으로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자료 제출을 약속 받고 일정 부분 인쇄

비를 지원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규모가 작은 많은 대학 내 연구소의 경우 적은 금

액의 지원만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6.2.2 대학 부설 연구소의 보고서 자료 (B-1-신/기)

대학 부설 연구소의 보고서 자료는 연구소 생산 회색문헌 중 약 26%를 차지한

다.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와 함께 연구소의 주요 회색문헌이며, 외부 용역보고서,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 기술보고서 등의 형태를 가진다. 연구소의 주요 활동인 외

부 연구 용역 및 개인 학술 연구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연구소는 최소 한

건 이상의 보고서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일부 보고서 자료의 경

우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특히 연

구 용역의 경우 일부 대형 연구소에 집중적으로 수주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대형

연구소는 상당히 정기적으로 보고서 자료를 생산하는 반면, 그 외 연구소의 보고서

자료 생산 주기는 간헐적이기 때문에 회색문헌의 농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소 보고서 자료의 수집 방안에서는 연구소 규모에 따라 수집 방안을 달리할 것

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자료의 경우, 회색의 농도가 옅은 대형 연구소의 자료를 우선 수집한 후 농

도가 짙은 소규모 연구소의 자료를 수집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대형 연구소들은

운영상황이 양호하며 웹사이트에 연구 보고서 업로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편이

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 보고서를 우선 수집하여 초기 수집량을 획기적으

로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1차적으로 대형 연구소 웹사이트를 통한

Page 12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6 -

수집이 끝난 이후에는, 대형 연구소 웹사이트를 통해 존재여부를 알 수 없는 보고

서와 소규모 연구소의 보고서 자료를 최대한 꼼꼼하게 수집하여 누락됨이 없게 한

다. 이 과정에서는 각 연구소와 개별 연락을 취해 보고서의 원문 및 인쇄본을 수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신생 자료의 경우, 기존 자료 수집에서 파악한 보고서 생산 패턴을 통해 추후 수

집 주기를 결정한다. 대규모 연구소는 비교적 정기적으로 자료를 생산하며 그 양도

많기 때문에 6개월 이내의 주기로 신생 보고서 자료를 확인하기를 권장한다. 소규

모 연구소는 1년 간 보고서를 생산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회색문

헌 수집 전담 부서에서 직접 체크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대신 self-report를

통해 신생 보고서 자료를 수집할 것을 추천한다.

보상 측면에서는 소규모 연구소에 대한 보상이 중요하다. 웹사이트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대규모 연구소 보고서와 달리, 소규모 연구소는 self-report 형태로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에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이 핵심적이기 때문이

다. 첫째로는 보고서 생산에 있어 일정 부수의 인쇄비를 제공하는 방식의 보상이

있을 수 있다. 둘째로 self-report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규모 연구소 각각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게시판 및 웹 저장 공간을 마련하는 win-win 방식의 보상도

가능하다.

한편, 용역을 맡긴 측에서 내부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생산된 용역 보고서 등은

원문 수집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회색문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서지 사항만이라도 수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6.2.3 대학 부설 연구소의 웹/멀티미디어 자료 (B-6-신/기)

대학 부설 연구소의 웹/멀티미디어 자료는 전체 자료에서 각각 2.5% 씩의 비율

에 해당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는 회색문헌 유형은 아니지만, 다양한 형태의 매체가

혼재하고 있어 수집에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유형의 자료는 온라인 접

근성 측면에서는 뛰어나지만, 수집 후 보존 측면에서는 기술적인 고려가 필수적이

다.

우선 멀티미디어 자료의 경우에는 지도, 디자인과 같은 이미지파일 형태(jpg, gif,

png 등)의 자료, 분자 모형이나 3D 모델링과 같은 플래시(swf 등)나 동영상 형태

(avi, )의 자료, 음악 자료(mp3, wma 등)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혼재하고

있다. 자료 수집에 있어서의 기술적 고려는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개발정책'

의 세부지침을 참고하여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웹상에 게재된 자료의 경우

직접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신생

자료를 수집할 때에는 각 연구소의 협력을 받아 원본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당

Page 12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7 -

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웹 자료의 경우에는 게시판 내의 게시글 형태가 가장 많고, 온라인 검사 시스템

이나 프로그램의 형태를 띄는 경우도 존재한다. 게시글 형태의 자료는 PDF 포맷으

로 저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활용중인 '스크랩마스

터'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수월하게 게시글을 PDF 형태로 전환하여 수집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검사와 같이 단순 텍스트로 이루어지지 않은

웹 자료의 경우에는 html, xml 파일 등으로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URL

주소를 수집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데, 연구소의 홈페이지 수명이 길지 않은 편이

고 게시판이 제거되거나 홈페이지 구조가 변하면 접근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보상 방안으로는 연구소에게 일정량의 웹하드와 같은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방안

을 고려할 수 있다. 최근에는 1테라바이트(TB) 당 25만원정도 가격으로 이용 가능

한 클라우드형 웹하드 등의 발전으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대용량 저장공간을 구

축할 수 있어 더욱 긍정적이다. 저장공간 제공에 있어서 많은 수/용량의 파일을 업

로드 하는 연구소일수록 저장공간의 크기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회색문헌 생산을 독

려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다만,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학술·연구와 관계없는 자료를 업로드하는 연구소에게는 규정에

따라 제제를 가해야한다.

5.6.2.4 연구소 자료 기타 : 기관간행물, 교육자료, 표/통계자료, 특허 (B-2-신/기,

B-4-신/기, B-5-신/기)

대학 내 연구소의 회색문헌 중 기관간행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6%, 교육자료는

8%, 표/통계자료는 0.1%에 그친다. 생산 수로 보았을 때 위의 자료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회색문헌 장서의 풍부한 스펙트럼을 위해서 수집 및 보존을

소홀히 할 수 없는 유형의 자료들이기도 하다.

대학 부설 연구소의 기관간행물에는 연보, 뉴스레터, 단행본 등이 포함되며 대부

분 비정기적, 단발적으로 간행되는 짙은 회색문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관별

self-report를 통한 수집을 원칙으로 하되, 그 생산량이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하여

연 1회 가량 직접 연락 및 웹페이지 체크를 통한 추가적인 수집을 보조적으로 수행

하는 것을 권장한다.

대학 부설 연구소의 교육자료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대학 내 인문학 연구소에서

특히 강좌/강연자료를 많이 생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문학 연구소의 교육 자료는

학술적 연구 뿐 아니라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 자료를 포함하는 넓은 스펙트럼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육 자료의 경우에는 인문학 연구소의 교육 자료를 우선

집중적으로 수집하여 수집의 효율성을 높일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연

Page 12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8 -

구소 회색문헌 리스트에 기록된 회색문헌 외에도, 리스트 상의 인문학 연구소에 우

선 연락을 취해 보유 중인 회색문헌이 있는지 확인하면 다수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었던 회색문헌을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통계자료의 경우는 온라인에 스프레드시트 파일 형태나 이미지 파일로 업로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온라인에 게재된 파일을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수

집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특허 자료는 현재 수집기본모형에서 제시하는 6가지 회색문헌 유형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전체 연구소 생산 회색문헌의 2.68%를 차지하고 있다. 특허 자료는

주로 공학 분야의 연구소에서 생산되며 아예 특허자료를 보유하지 않는 인문·사회

분야 연구소도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공학, 의약학, 복합학, 자연과학 등 자연·공학

계열 연구소를 위주로 수집을 진행하기를 권하며, 한국특허정보원과 같이 특허 자

료를 관리하는 기관과 협력하도록 한다.

5.6.3 학회

학회는 연구소나 재단에 비해 자료를 충실히 웹 상에 게재하는 편이다. 단 학회

회원만을 대상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일반

이용자의 자료 접근이 불가하다.

5.6.3.1 학회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C-3-신/기)

학회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는 학회자료 전체의 약 71%를 차지한다. 이는 학회

자료의 상당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학술대회/세미나 논문집, 학술대회/세미나 발표

자료,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집 등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학회가 정기적으로 학술대

회를 개최하기 때문에 학술대회 자료는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회별로 개최 정보(행사명, 개최주기, 발간자료 종류 등)를 사전에 정리해 수집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세미나의 경우 정기적으로 개최되기도 하지만 수시 개최 또한

빈번하다.

기존 자료의 경우, 각 학회의 학술행사를 최대한 꼼꼼하게 체크하여 리스트를 관

리하고 빠짐없이 납본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시리즈로 발간되는 자료의 경우

권호의 누락이 없도록 주의한다. 한편 학회에 따라 웹 상에 행사 개최여부 및 자료

를 게재하지 않는 곳도 상당수 존재하므로, 정확한 자료 정보의 획득을 위해서는

기관에 직접 연락하여 확인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신생 자료의 경우, 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에 대해 학회에 간행물 인쇄비 일부

Page 12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09 -

를 지급하고 학회 자체적으로 자료를 제출하도록 하는 체계를 도입해 자료 수집에

필요한 인적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특별 학술 행사

는 연초에 세우는 학회 연간계획표에 따라 실시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해 학회 홈

페이지나 사전 연락을 통해 학회의 연간계획표를 수집, 예상되는 생산 자료를 파악

하는 것이 한 가지 전략이 될 수 있다.

보상 방법의 하나로, 학회에 간행물 인쇄비 일부를 지급하고 자료를 납본 받는

시스템을 시행하는 win-win 전략도 검토해 볼만 하다. 지원금을 필요로 하는 소규

모 학회의 자료 수집에 특히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정기 자료 수집 뿐 아

니라 self-report가 중요하며 수집 난이도가 높은 비정기 자료 수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단 대부분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의 경우 배포용으로 제작되는 경

우가 많기 때문에 보상금 지급을 위해서는 학회 측에서 인쇄비 영수증 등 증빙자료

를 별도로 준비해야 한다. 참고로 정상 유통과정을 거치는 자료를 도서관에서 납본

받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정가의 50%를 보상으로 지급하고 있다.

5.6.3.2 학회의 기관간행물 자료 (C-2-신/기)

학회의 기관간행물 자료는 학회 회색문헌 전체의 약 13%를 차지한다. 전체자료

의 5%만이 기관간행물 자료인 연구소에 비해, 학회는 상대적으로 많은 기관간행물

을 생산해 왔다. 주요 자료는 회원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뉴스레터, 일반 독자를 대

상으로 발행하는 정보지, 학술대회 포스터 및 팸플릿, 총람 등이다.

기관간행물 자료에는 매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이 중 어떤 자료를 수집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검토하고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로 학회

내부적 소식 공유를 위한 뉴스레터의 경우, 회색문헌으로 수집할만한 가치가 있는

지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하나의 학회에서도 여러 종류의 뉴스레터가 존재하므로,

기준을 수립해 특정 뉴스레터만 수집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학술대회 포

스터, 팸플릿 또한 수집 여부 및 기준을 내부적으로 정립 후 수집을 수행해야 하며,

포스터 인쇄본의 경우 일반 자료에 비해 사이즈가 크다는 점을 소장 계획 수립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정 주제나 대상을 망라한 총람 자료의 경우, ISBN에는

등록되지 않았으나 자료가치가 높은 경우가 꽤 있어,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 및 관

리한다면 특히 의미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생 자료 수집에는 생산 주기의 정기성 여부가 수집 방법과 난이도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정기적 기관간행물 자료로는 뉴스레터, 학술대회 포스터 및 팸플릿, 정

보지를 들 수 있다. 각 자료의 생산주기를 체크하고, 학회와의 협의를 통해 정기적·

안정적으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정기적 기관간행물 자료는 생산주기를

예측할 수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 측에서 학회의 자료 제출 여부를 어느 정도 확인

Page 12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0 -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집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비정기적 기관간행물 자료로는

총람, 학회 내부 공유 서적 등을 들 수 있다. 자료 생산주기를 예측하기 힘든 경우

가 많으므로 학회의 self-report가 매우 중요하며, 국립중앙도서관 측에서 학회의

자료 제출 여부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1달 정도를 간격으로 각 학회와 직접

연락을 통해 신생 자료 여부를 체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기관간행물 자료는 온라인에 꾸준히 게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학회의

홈페이지를 신생 자료 수집에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물론 이 또한 사전에 학

회와의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5.6.3.3 학회의 보고서 자료 (C-1-신/기)

학회의 보고서 자료는 학회에서 생산한 최종보고서, 중간산출물을 포함하며, 학회

자료 전체의 약 5%를 차지한다. 전체자료의 27%가 보고서인 연구소에 비해, 학회

의 전체 자료 중 보고서의 비중은 낮은 편이다. 학회 특성상 상주 연구원들이 존재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아 타 기관의 용역으로 수행한 용역 보고서는 드물고, 특정 계

기가 있을 때 학회 자체적으로 수행한 연구나 조사에 대한 보고서가 존재한다. 각

학회에 자료를 요청할 때는 이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존 자료 수집의 경우, 연구재단이 보유한 학회 리스트를 활용하여 현존 자료들

을 최대한 빠짐없이 파악 및 수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일부

학회의 소장 자료 리스트를 활용할 경우, 보다 빠르게 기관들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회의 보고서 신생 자료는 간헐적, 비정기적으로 생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

의 학회 보고서 생산 패턴 분석을 통해 이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각 학회의

self-report가 매우 중요하다. 정기적으로 학회들의 신생 보고서 자료를 체크하되,

학회의 보고서 자료 생산이 크게 활발하지 않음을 감안하여 6개월 혹은 1년 정도

의 빈도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5.6.3.4 학회의 기타 자료 : 교육자료, 웹/멀티미디어자료, 표/통계자료

(C-4-신/기, C-6-신/기, C-5-신/기)

전체 학회 자료 중 교육자료는 약 4%, 웹/멀티미디어자료는 약 4%, 표/통계자료

는 약 1%를 차지한다. 이들은 앞에서 언급한 학술대회/세미나자료, 기관간행물, 보

고서 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며, 자료집 등으로 묶여 나오는

경우가 흔치 않아 더 짙은 농도의 회색문헌에 속한다. 이러한 점에서 앞의 세 유형

에 비해 수집 우선순위는 낮지만,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웹/멀티미디어

Page 12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1 -

자료의 경우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므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학회 교육자료의 경우, 초청강연회, 연수자료, 교육사례집 등이 있으며, 국립특수

교육원, 강원과학교육연구회 등 교육과 관련된 학회의 경우 특히 많은 교육자료를

생산한다. 이들의 수집 방법은 기본적으로 학회 학술대회/세미나자료의 경우와 유사

한데, 단 대부분 비정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이며 웹 게재 비율이 낮다는 점을 참

고한다.

학회 웹/멀티미디어자료에는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웹에 게재된 텍스

트 형태의 자료이다. 일반 대중 공개를 목적으로 하는 학회 분야 관련 정보자료나

질답 형태의 자료 등이 있다. 학술대회 논문 발표 자료를 파일로 업로드하지 않고

게시글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현재 상태로 별도 파일 형

태로 저장되어 있지 않고 html 내에 텍스트로 존재하는데, 가급적 국가표준포맷인

PDF/A 포맷으로 납본 받아 서비스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다만 콘텐츠가 동적이거

나 움직이는 그림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자료 업데이트가 빈번한 경우에는 다른 방

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해당 학회의 홈페이지를 html 페이지 형태로 납본 받

아 국립중앙도서관의 별도 서버에 저장하고, 학회의 해당 페이지에 업데이트가 있

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구글 검색에서도 사용

하고 있는 방식이다(검색결과 각 항목에 대해 ‘저장된 페이지’ 기능을 제공, 해당

사이트가 접속불가 상태일 때도 ‘저장된 페이지’를 통해 페이지 열람 가능). 외부

URL 링크로 자료를 제공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학회 홈페이지의 상황에

따라 자료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자제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에서 외부 URL 링크로 웹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는 찾지 못했다. 둘째, 동영상 자료

로는 학술대회세미나 녹화자료, 교육용 동영상 등이 있다. 동영상 자료의 경우 국립

중앙도서관 소장 자료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으나, 학회 내부 행사 녹화자료 등

자료적 가치가 낮은 경우도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해 자료 수집 여부를 판단한다.

두 형태의 자료를 통틀어, 웹/멀티미디어 자료는 최신성이 자료 가치에 중요성을 띄

므로 자료의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제공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표/통계자료의 경우, 웹상에서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연간/월간 등

정기적으로 특정 주제분야에 대한 통계자료를 발간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

다.

특허자료는 소수의 학회에서만 생산하는 자료 유형으로, 현재 수집기본모형에서

제시하는 6가지 회색문헌 유형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총 43,867건으로 수치상으로

는 전체 학회 회색문헌의 26% 차지하나, 그 중 90% 이상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공학분야의 일부 학회가 생산한 자료이다. 이러한 현상을 감안해보았을 때, 특허

자료의 경우 공학 분야 학회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허

자료는 공유보다는 보유 자체가 의미 있는 자료로, 학회가 보유하고 있으나 홈페이

Page 12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2 -

지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특허자료를 관리하는 한

국특허정보원 등 특허자료를 수집하는 기관과 협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6.4 재단

재단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웹페이지를 통해 공

개되는 회색문헌의 비율이 연구소나 학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된

다. 다만 대다수의 재단에서 전문·학술적 자료보다는 소식지·교육자료 등이 많이 생

산되고 있다.

5.6.4.1 재단의 보고서 자료 (D-1-신/기)

재단의 보고서 자료는 전체 재단 생산 자료 중 48%를 차지하는 유형의 자료로

기관간행물과 함께 재단의 대표적인 회색문헌 유형이다. 재단의 보고서 자료에는

연구 보고서와 연간 보고서 등이 속하는데, 이 중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연간 보고

서의 경우는 재단 유형을 막론하고 널리 생산되는 반면 연구 보고서는 일부 종합

재단을 중심으로 생산된다.

기존 자료의 경우, 본 연구에서 수집한 일부 재단의 소장 회색문헌 리스트를 재

단 회색문헌 수집의 시작점으로 할 것을 권장한다. 특히 보고서 생산의 경우 일부

종합 재단에서의 생산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종합 재단으로 분류된 재단을 우선 수

집 대상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작한 재단 회색문헌 리스

트에 있는 회색문헌 수집이 완료된 이후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하는 재단 리스

트를 활용하여 (문화체육관광부홈페이지→자료공간→현황자료→비영리법인현황20))

수집 범위를 넓히는 것을 추천한다.

신생 자료의 경우, 정기 자료인 연간 보고서는 기존 생산주기 확인을 통해 지속

적으로 수집하고, 비정기 자료인 연구 보고서는 간행 이력이 있는 재단을 위주로

self-report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 연간 보고서의 경우는 연 1회 발행 혹은 그 이

상의 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연초 혹은 연말에 정기적으로 신규 생산을 확인하는 방

식이 효율적이다.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자료가 많다는 점을 활용하여 1차

로 온라인 수집을 진행한 후, 기관 개별 연락을 통해 수집이 불가능한 자료 및 온

라인에서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외부 용역 보고서의 경우에는 비공개 자료가 간혹 존재하기 때문에

재단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납본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원문 자료 확보가 불

20) (http://www.mcst.go.kr/web/s_data/corporation/corpList.jsp)

Page 12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3 -

가능 할 경우 회색문헌의 존재를 알리는 차원에서 서지사항을 대신 수집하여 관리

하기를 권장한다.

5.6.4.2 재단의 기관간행물 자료 (D-2-신/기)

재단의 기관간행물 자료는 전체 재단 회색문헌 중 44%의 비율을 가지는 자료 유

형으로 보고서 자료와 함께 재단의 대표적 회색문헌 유형이다. 기관간행물 자료는

연구소의 경우 전체 회색문헌 중 5%, 학회의 경우 13% 가량인데 반해, 재단의 회

색문헌 중에서는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기관간행물에 속하는 회색문헌에

는 소식지, 논문집, 홍보물 등이 있으며 그 중 90% 이상이 소식지이다.

기존 기관간행물 수집 시, 기관간행물 유형에 따라 수집 방안을 달리하는 것이

좋다. 우선 소식지는 같은 내용이 인쇄본과 전자책 두 형태로 동시에 간행되는 경

우가 많기 때문에 둘 중 어떤 매체의 소식지를 수집할지 미리 결정해야 한다. 결정

시에는 재단의 선호 매체와 수집 후 보존의 용이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연구

기관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설문조사를 참고할 때, 온라인으로 전자책을 납본하는

것 보다 인쇄본 형태로 납본하는 것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 홍보물의 경우 포스

터, 브로셔가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이 때 그 크기가 규격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인쇄물 형태로 납본을 받으면 관리가 힘들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인쇄물보다는 전

자자료 형태로 납본을 받아 다양한 크기로 인한 관리상의 어려움을 미연에 방지한

다. 논문집은 다시 수상 논문집과 재단 지원 논문집으로 나뉘는데, 두 유형의 생산

주기가 다르므로 기존 논문집을 수집하며 그 생산 주기를 파악하여 신생 논문집 수

집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논문집의 경우 대부분 학술적 가치가 높

은 반면 소식지나 홍보물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논문은 빠

짐없이 수집하되. 소식지나 홍보물은 공공 가치를 판단하여 지나치게 재단 내부에

서만 활용 가능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 수집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

구에서 제작한 재단 회색문헌 리스트에 있는 회색문헌 수집을 우선 실시한 후, 문

화체육관광부가 관리하는 재단 리스트를 활용하여(문화체육관광부홈페이지→자료공

간→현황자료→비영리법인현황21)) 수집 범위를 넓히도록 한다.

신생 자료의 경우는 정기자료와 비정기 자료의 수집 방안을 다르게 수립하는 것

이 중요하다. 정기자료에는 소식지와 수상 논문집이 속하는데, 소식지는 월 1회, 수

상 논문집은 연 1회 가량 신생 자료가 있는지 확인하기를 권장한다. 소식지의 생산

이 매우 활발하기 때문에 월 1회 주기로 꾸준히 업데이트 하지 않으면 추후 업무

부하가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지속적인 체크가 중요하다. 비정기 자료에는 홍보

물 및 연구 논문집이 속하는데 두 자료 유형 모두 간행이 활발하지 않아 연 1회 정

21) http://www.mcst.go.kr/web/s_data/corporation/corpList.jsp)

Page 12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4 -

도 신규 간행을 확인하는 정도로 충분하다. 소식지나 홍보물의 경우는 온라인 게재

가 활발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 온라인 수집을 할 것을 제안한다.

보상에 있어서는 앞서 제안한 인쇄비 지원, 저장 공간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고

려해야 한다. 특히 재단의 기관간행물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보상 수단에는 수상

논문집을 발행하는 재단 중 일부 재단을 후원하는 방식이 있다. 인쇄비 지원보다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논문 공모전 상금이나 운영비를 지원하여 학술 논문 공모를 진

흥한다는 의의를 함께 가진다.

5.6.4.3 재단의 웹/멀티미디어자료 (D-6-신/기)

재단의 웹/멀티미디어 자료는 전체 재단 회색문헌 중 4% 가량을 차지하는 유형

의 회색문헌이다. 비중이 크지 않지만 동영상, 음악,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매체

가 섞여있으므로 수집에 있어서 기술적 고려가 필요한 회색문헌 유형이다. 특히 재

단의 경우는 웹 자료보다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분포가 더 많으며, 멀티미디어 자료

의 대부분이 강연, 공연 등 재단 행사를 기록한 동영상이다. 이 유형의 자료는 온라

인 접근성이 뛰어나며 대중에게 공개할 목적을 가지고 생산된 경우가 많다.

기존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제작한 재단 회색문헌 리스트를 위주

로 수집을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과정에서 보존 가치가 떨

어지는 자료의 경우는 수집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특히 재단이 많이 보유 중인 동

영상 자료는 용량이 큰 경우가 많아 무차별적으로 수집할 경우 저장 공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세부적인 기술적 고려는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 개발정책'의 세부지침을 참고할 수 있다.

신생 자료수집의 경우, 문화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재단의 해당 유형 자료 생산

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 문화 관련 재단의 자료 생산을 우선적으로 체크하도록 한

다. 또한 기존에 웹/멀티미디어 자료를 생산한 기록이 있는 재단도 지속적으로 확인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유형의 자료는 비정기성을 띄는 짙은 회색문헌이다. 그러므

로 self-report가 성공적인 회색문헌 수집에 중요하며, self-report 독려는 기존에

해당 유형의 자료를 생산한 경험이 있는 재단을 위주로 진행하도록 한다.

기타 세부적인 수집 방안 및 보상 방안은 연구소, 학회의 웹/멀티미디어 자료 세

부수집방안과 동일하므로, '5.6.2.3 대학 부설 연구소의 웹/멀티미디어 자료',

'5.6.3.4 학회 자료 기타 : 교육자료, 웹/멀티미디어자료, 표/통계자료'를 참고할 것

을 권장한다.

Page 12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5 -

5.6.4.4 재단 자료 기타 : 학술대회/세미나자료, 표/통계자료(D-3-신/기, B-5-신/기)

재단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표/통계자료는 각각 전체의 2%, 0.5%의 비중을 가

지고 있어 그 규모가 매우 작다. 따라서 수집 방안은 여타 유형 기관들의 수집 방

안을 기본으로 하되, 재단의 특징을 반영한 수집 방안을 추가로 제안한다. 교육자료

를 발간하고 있는 재단은 웹페이지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아 본 수집 방안에서는 생

략한다.

재단의 학술대회/세미나 자료는 재외동포재단, Konrad-Adenauer-Stiftung 재단

한국대표부 등 일부 재단에서 대부분 생산된다. 따라서 수집에 있어서 기본적인 사

항은 연구소나 학회의 수집 방안을 참고하되, 위와 같이 자료 생산이 활발한 재단

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도록 한다. 그 외의 재단에서도 신생 학술대회/세미나 자

료가 간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 1회 정도 웹페이지 조사를 통해 생산 현황을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재단의 표/통계자료도 90% 가량이 재외동포재단에서 생산된다. 기본적으로 연구

소나 학회의 표/통계자료 수집 방안을 따르도록 하고, 재외동포재단의 자료를 수집

하는 것을 우선한다. 그 외의 재단에서도 신생 표/통계자료가 생산될 가능성이 있으

므로 연 1회 가량 웹페이지 조사를 통해 생산 현황을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Page 13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6 -

5.7 회색문헌 수집 인력 구성 제안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회색문헌 수집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는 단계에 있다.

회색문헌은 자료소장 기관과 자료 유형에 따라 수집 방법이 다르며, 일관된 수집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색문헌 수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는 충분한 인적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료소장 기관과 직접 접촉이 필요한 경

우가 많다는 점, 자료의 추가 수집과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또

한 이를 뒷받침한다.

본 장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에 적절한 인력 구성을 제안한다. 국

내외 참고 사례와 현재 상황에서 회색문헌 수집에 필요한 업무를 바탕으로 하였다.

5.7.1 참고 사례

국내 사례로 KISTI, KERIS, 국회도서관, 해외 사례로 영국국립도서관, 호주국립

도서관의 인력 구성을 살펴보았다. 각 정보서비스 기관 홈페이지를 주로 참고하였

으며, KISTI와 KERIS의 경우 내부 관계자에게 직접 문의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였다.

국내외를 통틀어 ‘회색문헌’이라는 명칭을 수집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경우는 보

이지 않으며, 기관에 따라 회색문헌 수집 업무를 위한 인력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

하고 있다. KERIS와 영국도서관의 경우 회색문헌에 해당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부

서를 별도로 구성하고 있고, 국회도서관과 호주국립도서관의 경우 웹자료를 수집하

는 인력이 별도로 존재한다. KISTI의 경우 여러 부서들이 협력해 회색문헌 수집을

수행한다.

5.7.1.1 KISTI22)

KISTI의 경우, 회색문헌만을 취급하는 인력을 별도로 배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관련된 여러 부서의 협력을 통해 회색문헌을 수집, 관리하고 있다. 내부 관계자를

통해 파악한 회색문헌 수집 관련 부서, 담당 업무별 인력은 다음과 같다.

l NTIS 센터 (43명: 센터장 포함)

- R&D 시스템 개발실 : 18명

- R&D 정보 융합실 : 17명

- NTIS 사업팀 : 7명

22) (http://www.kisti.re.kr/kisti/org/orgmapnew.jsp?htxt_cms=001&htxt_code=124632636539018

679967001616248568&htxt_nm=%C1%B6%C1%F7%B5%B5/%C0%CE%B7%C2)

Page 13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7 -

l 해외정보 수집관리 부서

- 해외정보실 : 27명 중 학술회의록 자료 수집, 관리 약 2명

l 국내정보 수집관리 부서

- 국내정보실 : 14명 중 학회자료 수집 관리 약 3~4명

l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 수집 관리부서

- NDSL서비스실 : 19명 중 리포지터리 수집, 관리, 서비스 담당 약 2명

5.7.1.2 KERIS23)

KERIS의 경우, 조직구성에 회색문헌이라는 명칭을 직접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회색문헌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료인 학위논문/학술논문/dCollection/기타논문을

수집하는 담당 부서가 존재한다. ‘대학정보화부’에서 해당 자료 수집을 담당하고 있

으며, 담당 직원은 2.5명(운영 2명, 개발0.5명)이다. 또한 위탁운영 업체가 많은 업

무를 분담해서 담당하고 있어, 실제 담당 인원의 규모는 좀 더 크다고 봐야 한다.

위탁운영에서 처리하는 업무는 고객문의처리, 학술/학위논문 dCollection 접수 및

승인, 오류 수정, 유지보수 등이다.

5.7.1.3 국회도서관24)

국회도서관의 경우, 기본적으로 자료수집과에서 수집을 담당하고 있다. 단, 인터

넷 자료의 경우 별도로 인터넷자료과에서 수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회색문

헌 수집을 담당하는 인력은 조직도 상에 나타나 있지 않았다.

5.7.1.4 영국도서관25)

영국도서관의 조직은 크게 운영(Operation), 수집(Collections), 재정(Finance),

마케팅(Audiences) 부서로 나누어져 있는데, 수집 부서에서 회색문헌 수집을 주로

관할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집 부서에는 'Curator e-Manuscripts'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자료를 수집하고 오프라인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역할이 별도로 존재하는데,

이들은 영국도서관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화 프로젝트에도 함께 개입하

는 것으로 보인다. 회색문헌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화를 진행하

고 있으나, 인력의 규모를 홈페이지 상에서 다루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영국도서관은 특별한 회색문헌들 또한 수집하는 부서로 The Central

Office of Information Archive를 두고, 1940년대부터 1997까지 15,000권이 넘는

무료 정보들과 전단지, 포스터, 소책자 및 기타 홍보 자료 등과 같은 특별한 회색문

23) (http://www.nanet.go.kr/06_introduce/02_history/02/organization.jsp)

24) (http://www.nanet.go.kr/06_introduce/02_history/02/organization.jsp)

25) (http://www.bl.uk/careers/departments.html)

(http://www.bl.uk/reshelp/findhelprestype/offpubs/ukofficalpub/cofficeinfo/centraloffice.html)

Page 13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8 -

헌들을 수집해 왔다.

5.7.1.5 호주국립도서관26)

호주국립도서관은 수집관리(Collections Management) 부서 내 국내 자료 수집

(Australian Collections), 해외 자료 수집(Overseas Collections Management), 디

지털화 및 사진 수집(Digitisation and Photography), 웹 아카이빙 및 디지털 보존

(Web Archiving and Digital Preservation) 인력들이 회색문헌을 주로 수집할 것

으로 예측된다. 인력조직이나 연차보고서 등에 회색문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국내 도서관에 비해 다양한 출처와 형태의 자료를 수집 대상

으로 하고 있어 회색문헌의 범주를 자료수집에 자연스럽게 포괄하고 있었다. 역시

인력의 규모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5.7.2 인력 구성 제안

본 연구에 걸쳐 파악한 회색문헌 현황 및 제안한 수집방안을 기초로, 국립중앙도

서관의 회색문헌 수집을 위한 인력을 구성하였다. 인력 구성안의 주요 내용 및 도

식은 아래와 같다.

l 조직의 구분

- 조직의 종적 구분 : 업무 프로세스 및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회색문헌 수집

총괄,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 실제 수집 업무의 세 단계로 조직을 구성

하였다. 단, 공공기관/정부 자료, 해외 자료의 경우 별도의 중심기관이 존재하

지 않으므로 대상 자료의 수집 및 관리 업무를 한데 묶어 인력을 구성하였다.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 인력을 별도로 구성한 이유는 각 중심기관별 협

정 체결 시 일관성 유지에 효과적이며, 한국연구재단과 교육부와 같이 여러 중

심기관 간 협정 내용을 상호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 조직의 횡적 구분 : 회색문헌 소장 기관 즉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 정

부/공공기관, 해외를 기준으로 업무 역할을 구분하였다. 각각의 많은 수의 개

별 기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관의 종류에 따라 수집 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

에 기관별로 업무를 구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하였다.

- 해외 자료 수집 및 관리에 2명을 배당하였는데,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수집 범위, 즉 해외 회색문헌을 수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본 업무의 필요성을

결정한다. 해외 회색문헌 수집의 경우 해외 자료의 제반 사항을 파악하는 데

26) (http://www.nla.gov.au/about-us/organisational-structure)

Page 13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19 -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업무를 별도로 신설하지 않고, 현재 자료수

집과에서 해외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인력을 보강하여 해외 수집 자료의 범위

를 회색문헌으로 확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l 인력 규모 산정

- 본 연구 내용을 기초로 산정한 업무별 최소 인원수를 제안하였으며, 국립중앙

도서관의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 및 기타기관의 경우, 대상 기관의 수를 고려해

인원수를 배당하였다. 기관의 수가 많은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에는 2명을,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재단 및 기타기관의 경우는 1명을 배치하였다. 각 기관

에 1명씩 담당을 배치하되, 1명은 대학 부설 연구소와 학회의 자료 수집 업무

를 지원하고 기관 간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역할을 배정하는 것도 추천할

만한 방법이다. 즉, 대학 부설 연구소와 학회를 통틀어 3명의 인력을 배당하는

셈이 된다.

- 회색문헌 수집의 체계가 어느 정도 잡히고 1차 자료수집이 완료된 이후에는

인원수를 재조정해 관리 모드의 조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업무 효율에 좋을 것

으로 판단된다. 공공기관/정부 자료 수집 및 관리의 경우, 「정부간행물 납본

[제출] 지침」이 정립되는 등 어느 정도 안정화 된 상태로 파악하고 1명의 담

당자만 배치하였다.

l 조직 운영의 유의점

- 조직의 회색문헌 수집 업무를 기관별로 나누었지만, 상당부분 유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으며 서로 일관성을 갖추어야 할 부분도 많다. 따라서 각 업무 담당자

들 간 원활한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조직 구성은 [그림 54]와 같다. 또한 <표 29>에 각 업무

에 따른 역할을 정의하였다.

Page 13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0 -

업무 인원 역할

회색문헌 수집 총괄 1명

- 회색문헌 수집을 총괄한다.

- 회색문헌 수집의 기본 원칙을 세우고 관리한다.

- 회색문헌 수집과 관련된 업무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 조직의 부서 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

록 이끈다.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1명

- 한국연구재단,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회색문헌

소장 기관과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및 관리를 수행

한다.

- 중심기관 협정 체결과 관련한 상세 내용은 본 보고서

의 ‘5.3.1 중심기관과의 협정 체결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참고한다.

- 다른 업무 역할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전체적

인 일관성을 책임지는 것도 본 역할의 주요한 업무이

다.

대학 부설 연구소

자료

수집

1-2

- 대학 부설 연구소 자료의 수집, 업데이트, 기관 리스

트 관리를 담당한다.

-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 인력과의 협력 및 커뮤

니케이션이 특히 중요하다.

- 1명이 담당하되,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자료 수집을

함께 지원하는 인력 1명을 별도로 배정하는 것도 좋

은 방법이다.

<표 29> 업무 별 인원 및 역할

[그림 54] 회색문헌 수집을 위한 인력 구성 제안

Page 13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1 -

학회 자료 수집1-2

- 학회 자료의 수집, 업데이트, 기관 리스트 관리를 담

당한다.

-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 인력과의 커뮤니케이션

이 특히 중요하다.

- 1명이 담당하되,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자료 수집을

함께 지원하는 인력 1명을 별도로 배정하는 것도 좋

은 방법이다.

재단 및 기타기관

자료 수집1명

- 재단 및 기타기관 자료의 수집, 업데이트, 기관 리스

트 관리를 담당한다.

- 추가로 회색문헌을 수집할 만한 기타기관을 탐색한다.

- ‘중심기관 협정 체결 및 관리’ 인력과의 커뮤니케이션

이 특히 중요하다.

정부/공공기관 간행물

수집 관리1명

- 공공기관/정부 간행물 자료의 수집, 업데이트, 기관 리

스트 관리를 담당한다.

- 이미 납본 지침이 정립된 상태로, 다른 기관의 회색문

헌 수집 체계 정립에도 도움을 주어 업무가 효율적으

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해외 자료 수집 2명

- 외국어에 능통한 자를 담당자로 선정한다.

- 현재 자료수집과에서 해외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인

력을 보강하여 해외 수집 자료의 범위를 회색문헌으

로 확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해외 회색문헌 중 수집할만한 자료를 탐색하고 수집

범위를 정의한다.

- 어느 정도 수집 범위가 정립되면 자료 소장 기관과

접촉한다.

- 해외의 회색문헌 수집 사례를 탐색하고 부서 내에서

공유한다.

Page 13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2 -

5.8 기술 활용 제안

수집이 까다로운 회색문헌을 효율적·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회색문헌 현존 여부 파악과 원문 수집이

각 기관의 웹페이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예상되는 바, IT 기

술의 활용은 회색문헌 수집 효율성과 직결된다. 그러나 현재 회색문헌 수집만을 위

해 개발된 기술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존하는 다양한 IT 기술을 응용하거나

더 나아가 회색문헌 수집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회색문헌 수집에 있어서 응용 가능한 기술과 사례를

분석하여, 회색문헌 수집을 위한 기술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5.8.1 참고 기술 및 사례

5.8.1.1 Google Calendar27)

구글 캘린더(Google Calendar)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시간관리용 웹 어플리

케이션이다. 구글 캘린더에 일정을 등록하게 되면 구글 서버 내에 일정이 기록된다.

따라서 구글 캘린더에 기록한 일정은 인터넷 접속이 되는 디바이스라면 어디에서나

확인이 가능하다. 구글 캘린더의 대표적인 기능에는 일정 입력, 일정 공유, API 제

공 등이 있다. 회색문헌 수집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기능상 특징은 일정 공유 기능

과 open API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구글 캘린더의 강력한 일정 공유 기능은 다수

의 달력을 한 달력 화면에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원한다면 일부 일정을

특정 계정의 소유자에게만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open API를 제공하기 때

문에 구글 캘린더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import)하여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7) (http://www.google.com/calendar/)

Page 13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3 -

[그림 55] Google Calendar 화면 예시

(http://mopdog.com/wp-content/uploads/2013/05/Google-Calendar.jpg 인용, 2013.12.9)

Hayakawa et al.(2013)은 회색문헌 수집과 관련하여, 학술대회 정보를 구글 캘

린더를 통해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구글 캘린더는 학

술대회에 관련된 정보를 연결해주는 포털과 같은 역할을 한다. 구글 캘린더의 일정

정보에 학술회의 웹사이트, 도서관에 수집된 해당 학술회의 자료, 여타 학술회의 자

료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의 DOI 및 URL을 기록하여 회색문헌 관리를 용이하게 하

고 이용에 있어서도 편리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내부적으로는

구글 캘린더를 이용한 회색문헌 관리 웹페이지를 구축했다고 하나, 외부 공개를 하

지 않는다는 점이다.

구글 캘린더의 일정 공유, open API를 이용하면 Hayakawa et al.(2013)이 제안

한 것과 같은 회색문헌 관리·이용을 위한 포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

가 회색문헌 수집 측면에서 구글 캘린더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 별로 학술

행사 일정을 구글 캘린더에 등록한 후, 수집전담부서가 보유한 구글 계정과 공유하

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많은 비용과 수집전담인력의 추가 배정

없이 회색문헌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학술대회/세미나 자료의 생산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8.1.2 KISTI-ACOMS28)

KISTI-ACOMS는 KISTI가 개발한 웹 기반 학술논문관리시스템으로 2001년 학

술단체의 정보화 지원을 위한 국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현재 version

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Page 13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4 -

3.0까지 개발된 상태로 2009년 기준 총 107개의 학회가 KISTI-ACOMS를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6] KISTI-ACOMS 화면 예시

(https://acoms1.kisti.re.kr/kais/index.jsp?publisher_cd=kais 인용, 2013.12.9)

KISTI-ACOMS는 크게 회원/회비 및 업무관리 모듈, 논문투고 및 심사관리 모듈,

학술대회관리 모듈 3가지로 구성되어 학회의 업무 전반에 있어 그 활용이 가능하

다. 모듈 별 특징을 살펴보면 우선 회원/회비 및 업무관리 모듈은 학회 제반업무의

온라인화를 구현한 모듈로, 회원관리, 회비관리 및 학회 보고자료 출력 등 학회의

전반적인 업무를 지원한다. 논문투고 및 심사관리 모듈은 각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

술논문의 투고, 심사, 전자출판, 검색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관리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학회 발행 논문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학술

대회관리 모듈은 학술대회별 홈페이지 생성, 초록 제출, 사전등록 업무를 가능하게

한다.

KISTI-ACOMS의 특징 중 회색문헌 수집에 있어 의의를 갖는 사항은 다음과 같

다. 첫째, KISTI-ACOMS는 논문수집 모듈로 서지사항을 수집하고, 논문가공 모듈

로 서지 및 목차정보를 추출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일괄된 전자문서 형식으로

변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자동 서지사항 수집 및 포맷 변환은 회색문헌 수

Page 13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5 -

집에 있어서 업무 부하를 줄여주고 체계적인 회색문헌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

상된다. 둘째, KISTI-ACOMS는 투고된 논문을 KISTI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는 앞서 5.6장에서 제시한 회색문헌 수집방안 중 기관에게 회색문헌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방안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학회의 입장에서는 저장 공간의 별도 확보

없이 KISTI-ACOMS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논문을 저장할 수 있으며, KISTI 측에서

는 개별 학회와의 연락을 통한 수집 노력 없이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자료 수집을

할 수 있다. 셋째, KISTI-ACOMS는 학회 별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한다. 복

잡한 코딩 없이도 투고 규정, 심사 규정, 심사 권한 설정 등을 통해 학회 별로 여건

에 맞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진입장벽을 최소화 하였다.

5.8.2 기술 활용 제안

본 연구에서는 구글 캘린더와 KISTI-ACOMS의 사례를 참고하여, 단기적으로는

구글 캘린더를 통해 학술행사 일정 체크를 제안하고, 장기적으로는 회색문헌 등록

플랫폼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회색문헌은 생산량이 적고 소실의 위험성도 크다

는 점을 감안할 때, 회색문헌 수집 체계화는 최대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플랫폼 제작에 있어서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 바, 우선 사용이

간편하고 별도의 개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구글 캘린더를 통해 학술대회/세미나

자료 수집을 시작한 후 추후 회색문헌 등록 플랫폼을 개발하여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를 권장한다.

구글 캘린더를 통한 학술행사 일정 체크는 구글 캘린더의 강력한 일정 공유 기능

에 의해 구현된다. 가장 먼저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전담 부서에서는 회색문

헌 체크용 구글 계정을 생성하고, 회색문헌 소장 기관 역시 학술행사 기록용 구글

계정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후 소장 기관의 구글 계정을 수집하여 구글 캘린더 공

유를 신청하면 소장 기관들의 학술행사 일정을 한 달력 내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

다. 각 회색문헌 소장 기관에서는 학술행사가 기획되는 즉시 구글 캘린더에 해당

일정을 기록한다. 행사에서 생산되는 회색문헌의 서지사항까지 기관 별로 기입할

수 있도록 하되, 불가능할 경우 최소한 학술행사의 일정만이라도 기록하여 회색문

헌 수집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소장 기관 입장에서는 행사 일정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으며 기관 홈페이지에 위젯 형태로 구글 캘린더를 설치하거나 open API

기능을 활용하여 캘린더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는 점이 구글 캘린더 이용

에 있어서 장점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협조 요청 시 이 점을 강조하도록 한다.

각 소장 기관에 배포하게 될 회색문헌 등록 플랫폼은 KISTI-ACOMS의 큰 틀을

참조하여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KISTI-ACOMS는 이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

Page 14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6 -

해 저장 공간은 KISTI 측의 서버에 마련하여 통합관리하고 학회 관리자 및 회원에

게는 논문을 투고하고 심사할 수 있는 모듈을 제공한 바 있다. 회색문헌 등록 플랫

폼 역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리하는 서버와 해당 서버와 연결된 소장기관용 플랫

폼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장기관에서는 플랫폼에 생성된 게

시판 등을 통해 각종 회색문헌을 업로드하게 되면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용 서

버에 회색문헌이 업로드 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은 기술 도입을 통해 수집에 있어 self-report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짙

은 회색문헌까지 망라적 수집을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적자원 및 시

간 투자측면에서도 더욱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4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7 -

6. 결론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수집대상이 되는 국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회색문헌 출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회색문헌 수집방향을 제

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회색문헌과 관련한 문헌조사

및 현황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회색문헌을 발행하는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 기관들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고, 공공부문에서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하는 회색문헌 현황을 분석하였다. 민간부문에서는 대학 내 연구기관의 회색문

헌 출판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의 웹사

이트를 조사하여 각각의 회색문헌 보유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토대로 수집방안 기준을 제안하였고, 최종적으로는 회색문헌 수집의 합리적 모

형을 제시하였다.

회색문헌과 관련한 문헌조사 및 현황분석에서는 국내외 회색문헌 현황에 대한 문

헌조사와 사례조사를 실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외 현황

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회색문헌의 개념 설

정을 위하여 회색문헌의 정의, 특성, 유형 및 수집 동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

았다. 또한 현재 적극적으로 회색문헌을 수집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의 국립도

서관을 비롯하여 국내 국가기관인 KISTI와 KERIS,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국외 국가기관인 NTIS, CISTI, JST, SIGLE에서의 회색문헌 수집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수집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서 국

내 회색문헌 출판 기관들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학 내 연구기관의 회색

문헌 출판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웹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대학 내 연구기관 및

산학협력단, 교무처 등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10월 2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총

81개의 기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이를 분석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1) 제출물의 유

형 및 방법, 2) 연구보고서 및 논문의 제출 범위, 3)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

4) 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견으로 이루어졌다. 1) 제출물의 유형에

서는 연구기관들이 회색문헌을 오프라인으로 제출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장 많은

유형은 기관발행학술지임을 알 수 있었다. 2) 연구보고서 및 논문의 제출 범위에서

는 교내연구와 교외연구, 원문전체를 제출받는 경우와 표지/요약문만 받는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교내연구의 경우 표지/요약문만 받는 경우가 많았고, 교외연

구의 경우 원문전체를 제출받는 경우가 많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3)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종류에서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회색문헌의 제목/과제명과 연구자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효과적인 회색문헌 수집방법에 대한 의

Page 14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8 -

견으로는 연구재단을 연계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

음으로는 연구업적평가시스템을 통하거나 개별 연구기관 단위로 받는 것이 효율적

이란 순으로 답변을 받았다.

다음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현재 국내 정부기관 및 소속 공공기관으로부터 회

색문헌을 수집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회의자료를 보고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기관들 중에서 회색문헌 수

집 수 상위 10위의 기관들을 따로 분석하였으며, 과학기술처가 가장 많은 수를 제

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위 기관별 분석에서는 각 기관의 회의자료와 보고서

의 비율, 그리고 자료의 연도별 수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회의자료가 대다수 많

았던 것으로 파악되었고, 2012년의 자료가 많은 수 차지했다.

또한 발행 및 배포기관이 공식화되어 있지 않아 파악이 어려운 민간부문-대학 부

설 연구소, 학회, 재단-에서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각 기관의 웹사

이트를 방문하여 회색문헌 보유 현황을 조사하였다. 회색문헌의 자료 유형별로 나

누어 회색문헌의 수와 제목을 기입하였고, 연구소 1,278개, 학회 1,155개, 재단

211개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 분야에 따른 기관들의 수와 회

색문헌의 자료유형별 분포, 주제 분야별 자료 분포, 주제 분야별 기관이 보유한 회

색문헌의 유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소는 분석결과 사회과학과 공학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자료 유형은 세미나/워크샵자료 및 최종보고서가 많았다. 연구소에

서는 사회과학과 공학, 인문학, 의약학 분야를 중심으로 회색문헌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고, 세미나/워크샵자료는 주제분야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분야에서 다수 보유하

고 있었다. 학회는 분석결과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가 많았고, 자료 유형은 특허와

기관간행물, 최종보고서, Proceeding 순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학회는 사회과

학과 공학, 의약학, 인문학을 중심으로 회색문헌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고 파악되었

고, proceeding, 기관간행물, 최종보고서, 세미나/워크샵자료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다수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재단은 분석결과 유형 중 장학재단이 가

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회색문헌으로는 소식지와 학술행사자료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기관 유형별 회색문헌 보유 정도는 종합유형 재단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수행한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와, 설문조사 및 웹사이트 조사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회색문헌 수집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회색문헌 수집방안의

목적과 근거에 대해 언급하였고, 회색문헌 수집 대상 자료 및 회색문헌 수집 기본

원칙, 수집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자료유형과 소

장기관, 현존여부별로 특성을 나누어 회색문헌 수집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 유형별로 고려할 사항과, 수집 인력 구성 제안, 기술 활용 제안을 통해 향후

국립중앙도서관이 회색문헌의 수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14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29 -

본 연구에서는 회색문헌의 전략적·체계적 수집을 위한 기본 원칙으로 1) 회색문

헌 발행 기관들을 관리하거나 그들의 정보 및 자료를 가지고 있는 중심기관-국가기

록원, 한국연구재단, 교육부-과의 협정 체결 및 문화체육관광부 및 산하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도서관법, 도서관법 시행령,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

과 같은 제도적 기반의 마련, 3) 자료 수집 대상 및 방법의 우선순위 확립, 4) 도서

관-개별기관 간의 win-win 전략 추진 및 보상 제공, 5) 회색문헌 소징 기관의 공

감대 획득, 6) 타 정보기관과의 연계, 7) 도서관의 꾸준한 노력과 투자의 총 7가지

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자료유형, 소장기관, 현존여부를 각각의 축으로 하는 3차원의 회색문헌

기본수집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부설 연구소, 학회, 재단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자료 유형별로 수집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

보았다. 민간기관들의 경우 체계적인 수집의 초기단계에 해당하므로, 회색문헌의 납

본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가는 정부/공공기관의 수집 사례를 참고해 효율적인 프

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회색문헌 수집에는 자료 소장 기관과의 직접 접촉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점,

자료의 추가 수집과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인적 투

자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KISTI, KERIS, 국회도서관의 국내 사례와 영국국

립도서관, 호주국립도서관의 해외 사례, 그리고 현재 상황에서 회색문헌 수집에 필

요한 업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인력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회색문헌을 효율적

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Google Calendar와 KISTI-ACOMS 같은 적절한 IT 기술을

활용하기를 제안하였다.

정보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웹 기반의 정보공유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회색문

헌의 유용성은 이전보다 높아졌으나, 회색문헌의 유형과 범위 역시 점차 확대되어

체계적인 수집 및 관리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회색문헌의 문제점은 국가

적인 차원의 체계적이고 일괄적인 수집과 관리를 통해 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

해서는 명확한 수집기준 및 효과적인 수집방안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분야의 회색문헌 출판현황을 파악하고 자

료유형별, 소장기관별, 현존여부별 고려사항을 파악한 회색문헌 수집모형 제안을 통

해 보다 효과적인 회색문헌의 수집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앞으로

회색문헌을 수집하는 실무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부분적으로나마 해소시키기 위

한 바탕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향후 국립중앙도서관의 연구정보서비스 개발에 있

어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44: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0 -

참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 2011.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자

료기획과.

국립중앙도서관. 2012.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자료 개발정책』. 연구보고서. 서

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선영. 2000. 회색문헌 종류와 유통. 국립대학도서관보. 19: 92-104.

김미진. 남영준. 2003. 회색문헌 통합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4(1) ;

1-18

김미진. 배순자. 남영준. 2002. 국내외 회색문헌의 수집, 처리 및 서비스 체제 구축

연구. 대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자영. 1999. 지식경영을 위한 회색문헌의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8』. 55-58.

남영준. 2002. 디지털 시대의 회색문헌 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

회지. 19 ; 233-256.

남영준. 조현양. 2006. 해외 회색문헌의 국내 유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

보학회지 40(3) ; 369-389.

노영희, 고영선,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23(3):

105-137.

윤정옥, 2010, 웹 아카이브 OASIS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5-27.

이지연. 2006. 국내 과학기술 분야 회색문헌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현이. 2000. 회색문헌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

원.

정효정. 2006. 해외 회색문헌의 국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학교 대학원.

최선희. 2003. 디지털 학술회의자료의 현황분석 및 이용활성화 방안: KISTI를 중심

으로. 정보관리연구. 34(2): 107-123.

최선희. 조현양. 오상훈. 1997. 인터넷을 통한 회색문헌의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연

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 55-58.

Page 145: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1 -

Auger, C.P., ed. 1989. Information Sources in Grey Literature (2nd ed.).

London: Bowker-Saur.

Biagioni, S., Castelli, D., Zoppi, F. 2010. Open Access to Grey Literature on

e-Infrastructures: The BELIEF Project. Grey Journal (TGJ). 6(3):

149-159.

Debachere, M. C. 1995. Problems in obtaining grey literature. IFLA Journal,

21(2): 94-98.

Francisca N. Okoroma, 2011. Towards effective management of grey

literature for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national development,

Library Review, 60(9): 789-802.

Hayakawa, Misa et al. 2013. Collection of Conference Proceedings and

Improving Access to the Full Text of Proceedings. Grey Journal

(TGJ). 9(3): 139-145.

KERIS. 2012. THE 2012 KERIS ANNUAL REPORT. [cited 2013. 10 27].

<http://www.keris.or.kr/download/intro/2012_report_kor.pdf>.

KISTI. 2002a. 『정보자료 수집규모 최적화 연구』. 연구보고서. 대전: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KISTI. 2002b. 『국내외 회색문헌의 수집, 처리 및 서비스 체제 구축 연구』. 연구

보고서. 대전: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C. 2008.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S POLICY STATEMENTS.

[cited 2013. 10. 12]. <http://www.loc.gov/acq/devpol/techrept.pdf>.

Lehman, Heather & Webster, Janet. 2006. Describing grey literature again :

A survey of collection policies.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21(1):

64-72.

Mackenzie Owen, John. 1997. The expanding horizon of Grey Literature. In

GL3 :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Luxembourg, 13-14 November 1997. [Conference paper].

Moahi, K.H. 1995. Electronic networking and grey literature: The case for

African countries, Paper presented at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Natarajan, M. 2006. Grey Literature: Problems and Prospects for Collection

Page 146: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2 -

Development in E-environment. Grey Journal (TGJ). 2(2): 100-105.

NTIS. 2010. American Technology Preeminence Act. [cited 2013. 10. 3].

<https://www.ntis.gov/pdf/ATPA.pdf>.

Yoo Suhyeon, Shin Kijeong, Choi Heeyoon. 2009. Collecting Foreign Digital

Grey Literature through a Consortium in Korea: An Example of

Conference Proceedings. Grey Journal (TGJ). 5(3): 142-146.

Wood, D. N. 1984. The collection, bibliographic control and accessibility of

grey literature. IFLA Journal, 10: 278-282.

Page 147: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3 -

참고사이트

Google Calendar. [online]. [cited 2013. 12. 9]. <http://www.google.com/calendar/>.

NDSL. [online]. [cited 2013. 11. 21]. <http://www.ndsl.kr/>.

OASIS. [online]. [cited 2013. 11. 12]. <http://www.oasis.go.kr/>.

교육부. [online]. [cited 2013. 12. 7]. <http://moe.go.kr/>.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3. 9. 30]. <http://www.nl.go.kr/>.

국회도서관. [online]. [cited 2013. 9. 30]. <http://www.nanet.go.kr/>.

독일 fiz-karlsruhe. [online]. [cited 2013. 10. 06]. <http://www.fiz-karlsruhe.de/>.

디라이브러리. [online]. [cited 2013. 9. 30]. <http://www.dibrary.net/>.

문화체육관광부. [online]. [cited 2013. 12. 7]. <http://mcst.go.kr/>.

미국 국립기술정보서비스국. [online]. [cited 2013. 10. 02]. <http://www.ntis.gov/>.

미국의회도서관. [online]. [cited 2013. 10. 10]. <http://www.loc.gov/>.

성과마루. [online]. [cited 2013. 12. 7]. <http://rnd.nrf.re.kr/>.

영국도서관. [online]. [cited 2013. 10. 13]. <http://www.bl.uk/>.

유럽 회색문헌정보시스템. [online]. [cited 2013. 10. 08]. <http://www.opengrey.eu/>.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online]. [cited 2013. 10. 05]. <http://www.jst.go.jp/>.

캐나다 과학기술정보연구소. [online]. [cited 2013. 10. 02]. <http://cisti-icist.nrc-cnrc.gc.ca/>.

한국교육학술정보원. [online]. [cited 2013. 9. 26]. <http://www.keris.or.kr>.

한국기술정보원. [online]. [cited 2013. 9. 26]. <http://www.kisti.re.kr>.

한국연구재단. [online]. [cited 2013. 12. 7]. <http://nrf.re.kr/>.

호주국립도서관. [online]. [cited 2013. 10. 22]. <http://www.nla.gov.au/>.

Page 148: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4 -

부록. 설문지

대학 내 연구기관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조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각 대학의 학술정보 회색문헌 출판현황 조사를 위해 귀 대학에 아래의 문항에 대

한 답변과 자료를 요청 드리게 되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현재 도서관법 제20조에 근거하여 출판되는 모든 자료들에 대한 납본

을 받고 있으며, 더 나아가 국가문헌 아카이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출판

되지 않은 회색문헌의 효율적인 수집 방안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회색문헌은 출판되지 않은 자료이기에 확보하기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에 의

해 자료 요청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자료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

니다. 또한 회색문헌이 담고 있는 내용은 출판된 자료들에 비견할 만큼 양질의 정보를

담고 있어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기관으로서의 국가문헌 아카이브 차원에서, 출판된 자료뿐만

이 아닌 양질의 콘텐츠인 회색문헌을 확보하고 수집할 효과적인 방안을 연구하고자 본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귀 대학에서 본 조사에 협조하여 제공해주시는 모든 정보와 자료가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적인 차원으로 회색문헌을 수집하는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며, 학문 및 공공기관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보내주신 응답은 오직 이

연구를 수행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응답은 익명으로 처리되며, 응답내용과 의견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많이 바쁘시겠지만 부디 시간을 내주시어 다음의 조사항목에 대하여 응 귀 대학에서 보

유하고 계신 자료를 파일로 업로드하시거나 작성해주시고, 다양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

겠습니다.

Page 149: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5 -

질문 1. 귀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각종자료 및 회색문헌들을 종류별로 제

출하는 방법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가능한 방법을 종류별로 체크하여 주십시오.

* 회색문헌: 발행은 되었지만 정식적으로 출판되어 시판되는 것이 아닌 자료로, 각

대학의 단위 연구기관에서 발간되는 모든 자료

예) 각 연구기관이 발간하는 보고서, 학술적인 기술보고서, 통계자료, 발표자료, 연

구기관 간행물, 학술대회자료, 과제물 중간산출물, 워크샵 자료 등

‘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방법’ 란에서는 귀 대학에서 대학 내 연구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및 각각의 제출 방법에 해당되는 항목을 모두 체크하여 주십시오.

* 온라인 제출: 교원연구업적평가시스템에 업로드, 기관리포지터리에 업로드 등

* 오프라인 제출: 인쇄물 직접제출, CD-ROM 제출 등

‘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방법’ 란은 귀 대학에서 생산된 회색문헌을 수집

하고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자료제공을 요청 드린다면 어떤 방법으로 자료들을 제

공해주실 수 있는지 각 자료 종류별로 오프라인 온라인을 구분하여 체크하여 주십

시오.

* 온라인 제공: 연구업적시스템 등 시스템의 자동 연동을 통한 회색문헌 제공이 가

능할 경우

* 오프라인 제공: 각 대학 내 연구기관이 제출한 인쇄물 및 CD-ROM 자료 등의

오프라인 회색문헌 제공이 가능할 경우

Page 150: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6 -

1) 대학 내 연구기관의 제출

방법

2)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

가능한 방법

온라인 제출오프라인

제출온라인 제공

오프라인

제공

최종보고서 ☐ ☐ ☐ ☐중간산출물 ☐ ☐ ☐ ☐기관발행학술지 ☐ ☐ ☐ ☐기관간행물 ☐ ☐ ☐ ☐논문발표집/회의자료 ☐ ☐ ☐ ☐학술대회논문발표자료 ☐ ☐ ☐ ☐세미나/워크샵 자료 ☐ ☐ ☐ ☐강좌/강연자료 ☐ ☐ ☐ ☐표/통계자료 ☐ ☐ ☐ ☐멀티미디어자료 ☐ ☐ ☐ ☐웹자료 ☐ ☐ ☐ ☐기타 자료

( )☐ ☐ ☐ ☐

질문 2. 귀 연구처/산학협력단에서 대학 내 연구기관으로부터 제출받는 연구보고서

의 범위는 어떠합니까?

구분 교내 연구 교외 연구

연구보고서(원문전체) ☐ ☐연구보고서(표지/요약문) ☐ ☐연구논문(원문전체) ☐ ☐연구논문(제목/초록) ☐ ☐

질문 3. 귀 대학의 교원연구업적평가시스템에서 확보하고 있는 연구성과물 및 회색

문헌 정보에 대한 항목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중복 체크 가능)

* 교원연구업적평가시스템(대학연구업적시스템 등)이란, 대학 내의 교수 및 연구원

들의 연구실적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연구성과물을 등록하도록 대학 차원에

서 운영하고 있는 모든 시스템을 뜻합니다.

☐ 제목/과제명

Page 151: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7 -

☐ 자료의 유형(보고서/학술대회 발표자료/ 중간산출물 등)

☐ 연구자

☐ 연구기관/소속

☐ 발주기관

☐ 자료내용 요약

☐ 개요

☐ 목차

☐ 기타 ( )

질문 4. 각 대학 및 대학 내 연구기관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 시키면서 국립중앙도

서관에서 회색문헌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다고 생

각하십니까?

☐ 산학협력단 및 연구처 차원에서 교원연구업적평가시스템을 연동시켜 제공

☐ 각 대학 내 연구기관 단위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제공

☐ 연구재단에 제출한 자료에 대해서는 리스트만 제공하고, 연구재단을 통해 받도

록 하는 방법

☐ 제공하는 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법이 필요함 (4-1번 문항으로 이동함)

☐ 기타 의견 ( )

4-1. ‘제공하는 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법이 필요함’을 체크하신 경우, 개개의

자료 종류별로 어떤 방법을 통해 납본이 이루어지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하시는지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52: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 138 -

연구보고서

학술대회 등 발표자료

연구과제 중간산출물

기관 간행물 및 발간자료

강좌/강연자료

표/통계자료

멀티미디어자료

웹자료

기타

질문 5. 귀 대학에서 최근 2년 간 생산된 연구보고서 현황을 분석한 통계자료가 있

다면 파일을 업로드 해주시기 바랍니다. 통계파일과 더불어 귀 대학에서 최근 2년

간 생산된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제목(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소속기관(학과 또는

연구소 등), 연구비 지원기관의 리스트 파일을 업로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업로드 할 통계자료를 선택합니다. 통계파일이 여러개 일 경우 3개까지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 업로드 할 리스트 파일을 선택합니다. 리스트가 나뉘어져 있을 경우, 3개 파일까

지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설문을 모두 마치셨습니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153: 최종보고서(0102) 디지털인쇄.hwp

최종보고서

회색문헌출판현황 조사 및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인 쇄] 2013년 12월 20일

[발 행] 2013년 12월 20일

[발행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90-0653 Fax. 02-590-0502

http://www.nl.go.kr

[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 쇄 처] 학위사

ISBN 978-89-7383-857-8

* 본 내용의 무단복제를 금함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