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Issues & Policy 2013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김형주 김석현 2013. 7. 15. | 제71호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Issues &

Polic

y 2

013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김형주 ․ 김석현

2013. 7. 15. | 제71호

Page 2: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 -

개 요

ICT의 진화

ICT가 기반/핵심 기술에서 시작하여 타 분야와의 융합을 거쳐 최근에는 사용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음

- ICT의 융합은 타 기술 간의 융합을 넘어 기존 산업의 ICT화라는 2차 융합으로 확산되고

있음

ICT의 대중화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간 경계가 감소하고 프로슈머(prosumer)가 등장하고

있음

- 모바일 앱 생태계의 등장으로 프로슈머는 더욱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며, 대중용 소프트

웨어 제작 도구가 보편화되어 쉽게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게 되면서 일부는 대중적인

성공을 거둠

사회의 네트워크화

좁은 세상, 정보화 사회(information society),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 등의

용어로 표현되는 사회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고 있음

- 정보의 접근성이 가속화되어 개인, 조직, 국가와 같은 기존의 사회 조직이 네트워크적인

성격으로 재구성되고 있음

- 기존의 사회조직은 경계의 안팎이 명확했으나 다양한 방식의 소통으로 그 경계가 불

분명해짐

가상 커뮤니티(virtual community)가 형성되면서 이에 기반한 교육부문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 웹에 기반한(web-based) 교육인 Khan Academy, Udacity, Coursera, edX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최근 급속히 성장 중임

ICT 인재상의 변화

전문가와 비전문가, 기업과 기업 외부의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ICT 분야 인재 자체의

특성이 보다 유동적․네트워크적으로 변화하는 추세임

- ICT 인재는 하이브리드적 역량과 스킬(skill)을 요구하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는

역량이 필수적임

Page 3: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3 -

개 요

기술 자체뿐 아니라 비즈니스, 즉 사업화 혹은 사용처에 대한 통찰력도 보다 중요해짐

일의 체험을 동반한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의

혁신이 발생하고 있음

ICT 인재양성을 위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

ICT 기술발전과 사회의 네트워크화에 따라 융합화, 기술과 비즈니즈의 연계, 교육과 일의

연계를 특징으로 하는 ICT 인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 새로운

산학협력 전략이 필요함

기존의 산학 력 네트워크형 산학 력

주체이원 조직(organization)/ 주체

학(양성) vs 기업(활용)

제도화된 개인

(institutionalized individual)

하이 리드(hybrid) 주체

인재양성

목취업(employment)

취업 혹은 창업할 수 있는

역량(employability)제고

력의

성격

‘pipeline’형 ‘buzz’형

명확한 경계(boundary) 경계를 넘어서는 범 (boundaryless)

닫힌 커뮤니티(closed community) 개방형 커뮤니티(open community)

강한 연결(strong tie) 약한 연결(weak tie)

학문 기술 분야

(특정 분야 내에서의 산학 력)

융합

(특정 학문이나 기술 분야에 국한되지 않음)

MIT Media lab, Stanford d.school, Stanford Smart Product Design Lab, MIT Center

for Transportation & Logistics(CTL) 등은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으로 차별화된

성과를 달성하고 있음

시사점

ICT의 진화와 네트워크 사회의 전개로 새로운 ICT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런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이 필요한 시점임

ICT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인재 개인의 관점에서 출발하며,

특정 조직이나 제도가 아닌 개방형 커뮤니티(open community)에 기반함

Page 4: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4 -

I. ICT의 진화와 네트워크 사회

1. ICT의 진화

ICT가 기반/핵심 기술에서 시작하여 타 분야와의 융합을 거쳐 최근에는 사용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대중화되고 있음([그림 1] 참조)

[그림 1] ICT의 진화

기반/핵심(Fundamental/Core) ICT

전통적 ICT는 컴퓨터와 통신 하드웨어(hardware)와 그 구동 소프트웨어(software)를

중심으로 형성

- ICT의 핵심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 하드웨어(광케이블), 컴퓨터의 구동 소프트웨어인

OS(Operating System), 통신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가 대표적)이 근간을 이룸

기계와 인간의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마우스, GUI(graphic user interface), touch pad 등으로

그 중요성이 급성장했음

- 산출물의 현실화(3D), input system의 다양화(장애인도 사용하기 편한 수준의), 인공

지능적 인터페이스 등은 최근의 ICT의 기술흐름을 주도하고 있음

미국의 NRC(National Research Council)는 ICT의 원천 기술과 그에 기반하여 실용화되고

확장된 기술영역을 [그림 2]와 같이 제시하고 있음

- 컴퓨터 구조 및 네트워킹의 원천 기술에 기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넷/웹 등의 실용

분야에서 기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줌

- [그림 2]에 제시된 원천 기술과 실용 기술들이 전형적인 기반/핵심 ICT의 유형을 보여줌

Page 5: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5 -

[그림 2] 기반/핵심 ICT

주: 원 자료에서 원천 기술(기술 기반)에 해당하는 트와 실 으로 상용화되어 나타나는

트만을 추출해서 통 IT의 기술의 유형구분으로 활용.

자료: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 figure 1)을 기반으로 자 수정.

ICT와 타 기술 및 산업의 융합

2000년대 들어 ICT, NT(나노기술), BT(바이오기술), CS(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의

4개 분야가 상호 융합(NBIC 융합)하면서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각국은 관련 융합연구에 투자하고 있음(Roco and Bainbridge, 2003; Bainbridge and Roco, 2006)

- ICT는 NT와 더불어 공급주도적 기술(push technology) 또는 도움 기술(enabling

technology)로서 생명기술과 인지과학 분야의 기술적 근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됨

- ICT는 또한 나노, 바이오, 인지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심화됨. 나노과학은 ICT 하드웨어의

기술적 근간(반도체 등)을 혁신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바이오 역시 단백질 저장

장치의 개념 등 ICT의 새로운 기술적 근간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됨. 인지과학은

인공지능의 발전을 통해 ICT의 인터페이스 혁신을 가능하게 함

한편 기술중심의 융합을 넘어 산업의 ICT화라는 2차 융합으로 확산이 진행 중임([그림 3]

참조)

- 자동차, 조선, 의료 등의 기존 산업들이 ICT기술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현상이 2차 융합으로 개념화되고 있음1)(최문기, 2008)

1) 최문기(2008)는 [그림 3]에서 3차 융합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Web 3.0과 같이 ICT에 기반한 새로운 산업과

의 삶의 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임. Web 1.0이 공 자 심, Web 2.0이 사용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데 반해,

Web 3.0은 사용자가 참여하는 직 인 기여를 넘어 방 한 사용자 정보들이 분석․가공되면서 사용자의 새로운

수요의 발굴과 이 수요를 만족시키는 산업의 태동 는 작동방식을 의미함

Page 6: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6 -

[그림 3] ICT와 산업 간 융합(2차 융합)

자료: 최문기(2008), [그림 1] 융합의 과정과 상.

ICT의 대중화

Toffler는 “The Third Wave(1980)”에서 제3의 물결은 생산과 소비가 동일한 사람 또는

그룹, 즉 프로슈머(Prosumer)에 의해 이루어짐을 통찰하고 있음

- 제2의 물결인 산업사회에서는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어 생산자는 자신이 아닌 별도의

소비자를 위해 생산 활동을 함

- 제2의 물결의 생산체제인 대량생산(mass production)체제가 제3의 물결과 함께 대량 맞춤

(mass customization)체제로 전환되고 있음

Tapscott은 “The Digital Economy(1997)”에서 ICT 분야에서 또는 ICT에 기반해서 생산과

소비가 통일되는 현상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를 생산-소비(prosumption)라고 개념화함

- Tapscott은 소프트웨어 제작도구의 발달(예, 목적지향형 프로그래밍)의 발달로 인해서

소프트웨어 제작에 소수 전문가가 아니라 관심 있는 사용자도 참여할 수 있게 되었음을

지적했음

- Tapscott는 논의를 발전시켜 “Wikinomics(2008)"에서 발전으로 정보교류가 용이해지고,

이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정보격차가 감소하여 소비자 역시 주도적인 생산자로 등장

한다고 밝힘. 이는 사용자 참여형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wikipedia)2)로 대표되는 web

2.0으로 상징되고 있음

- 사용자를 제품의 개발 또는 혁신의 주체로 등장시키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개 OS인

LINUX(UNIX의 일종)가 대표적인 예임(아래 [Box 1] 참조)(Tapscott, 2008)

2) www.wikipedia.org

Page 7: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7 -

[Box 1] 동료들의 개방 인 력 네트워크를 통한 SW 개발(peer production)의 사례

- LINUX: Linus Torvalds가 UNIX의 공개버 을 제시하고 심 있는 동료들이 자발 으로 참여하여 만들어지고 여 히

발 하고 있는 컴퓨터 OS임. Google, Yahoo 등의 표 인 인터넷 기업들과 더불어 SW를 채용하는 BMW 등의

기업도 채택 하여 활용하고 있음. 한 IBM이나 인텔 등의 문가들 역시 LINUX를 발 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음

- SPARC 마이크로 로세서: 서버용 컴퓨터와 서버용 OS를 만들고 있는 SUN Microsystems은 컴퓨터의 핵심인 마이크로

로세서의 구동 소 트웨어를 역시 LINUX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고 있음. SUN은 원천 코드를 에게 공개하고

심 있는 사람들이 하고 새롭게 로그래 하여 구동 소 트웨어를 발 하게 하고 있음

- IBM의 개방형실험(open source experiment): IBM은 자체의 웹서버인 Domino의 시장 유는 1%밖에 되지 않는 데

비해 오 소트 커뮤니티가 개발한 Apache의 시장 유는 50%를 넘어서는 에 주목하고, 아 Apache의 개발에

극 으로 동참하기로 결정하 고 IBM의 참여로 인해서 Apache는 단히 안정 인 웹서버로 자리하게 됨. 이 실험에

해 성공 이었다는 평가를 내린 IBM은 이후에도 LINUX 기반의 다양한 SW에 동참하기로 함. IBM은 연간 약 1억

달러의 비용을 개방형 SW개발에 투입하는데 그 성과는 이보다 훨씬 큰 것으로 평가됨

자료: Tapscott, 2008.

최근 수년 동안 애플의 아이폰과 앱 생태계의 등장으로 인해 모바일 앱 분야에서 프로슈머는

더욱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

- 전문가와 대중의 경계가 약화되는 전문가-아마추어(Pro-Am) 하이브리드화로 인해 대중

역시 ICT의 기술이나 콘텐츠 창출함에서 주역으로 등장했음(Anderson, 2008)

- 대중용 소프트웨어 제작 도구가 보편화되면서 10대 청소년들도 손쉽게 DIY(Do-It-Yourself)

형의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일부는 대중적인 성공을 거둠

* Facebook은 창업자 Mark Zukerberg가 아마추어적인 호기심에서 개발한 하버드 대학 동기들의 인맥 SNS가

상업적으로 발전하여 SNS의 대표주자가 됨

* 최근 Nick D'Aloisio라는 영국의 10대 소년이 신문기사 등을 스마트폰의 크기에 맞게 요약해주는 앱을

개발해서 이를 Yahoo에 거액으로 판매한 바가 있음3)

2. 사회의 네트워크화

ICT는 인간의 관계가 전 지구적으로 그리고 순간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런 현상은 ‘좁은 세상(A Small World)’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됨([Box 2] 참조)

3) http://www.businessweek.com/articles/2013-03-28/charlie-rose-talks-to-yahoo-teen-tycoon-nick-daloisio

Page 8: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8 -

[Box 2] 좁은 세상(A Small World)

- 하버드 학의 Stanley Milgram은 1967년에 자신의 서신이 익명의 인물들의 손을 거쳐서 서신의 수신자에게 달됨에 있어서

몇 명을 거칠지 실험한 바 있으며, 그 결과 세상이 6단계만 거치면 다 연결된다는 의미에서 ‘6 degree’라는 개념이 등장

(Milgram, 1967)

- Barabasi와 그 연구진은 임의의 두 홈페이지가 있다고 할 때, 시작 홈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하고 다음 홈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하는 과정을 19단계를 거쳐 도달함을 밝힘(Barabasi, 2003)

- 최근 Facebook은 7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을 상으로 분석한 결과 4.7단계면 연결된다고 밝힘(NY Times

2011.11.21.4))

정보의 순간적인 교류가 가능해지면서 사회의 네트워크화가 이루어진다는 통찰은 정보화

사회(information society) 이론으로 이어짐

- 정보화 사회론은 Daniel Bell이 1973년 발표한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를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대량생산과 표준화에 기초한 산업사회가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생산에 기반하거나 지식 자체를 생산/서비스하는 후기산업사회 혹은 지식사회의 도래를

정식화함

- 정보화 사회론과 유사한 맥락에서 경제적 관점에 초점을 둔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개념이 제기된 바 있음. Drucker(1969)는 산출물이 상품에서 지식으로 전환

되었음을 통찰했음

- 정보의 디지털화와 이것이 아날로그 정보시대에 비해 갖는 차별성 및 새로운 산업의 창출

또는 방식에 초점을 둔 의제로서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의 개념도 제기됨

(Tapscott, 1997)

ICT의 발전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해서 이전 시대와의 단절성을 강조하는 입장과 연속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대치함([Box 3] 참조)

- 이론적 입장 차이라는 인식론적 차이는 해소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는데, 적어도 현실

정책 대응이라는 점에서 단절론에 기반한 이론들이 현실 기반을 이해하는 데 유효성이

크다는 판단 하에, 본고는 단절성을 강조하는 이론에 기반하고 있음

4) http://www.nytimes.com/2011/11/22/technology/between-you-and-me-4-74-degrees.html?_r=0

Page 9: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9 -

[Box 3] 정보기술의 변화에 따른 사회 변화에 한 이론 입장 차이

- 단 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체 으로 변화를 정 으로 는 어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실로 인식하면서

이에 한 능동 응을 강조함. 정 인 입장의 표 이론가로 Daniel Bell을 들 수 있음

- 연속성을 강조하는 입장은 체 으로 정보화 사회론이라는 개념 자체가 자본측의 이데올로기 경향이 강하다고 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응 보다는 비 의 을 취해야 한다고

<표 1> 정보화와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이론

이론 개요 표 문헌

후기산업사회론

post-industrialism

미래주의자(futurist)의 시각이 강하며

산업이 정보를 심으로 한 비물질

재화를 심으로 개편됨을 강조

Daniel Bell(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탈근 론

post-modernism

정보화로 인해 문화 질서가 재편되는

것에 을 두며 문화의 물질화에 해

비 인 시각을 갖음

Jean Baudrillard(1983), In the Shadow of

Silent Majorities

유연 문화론

flexible specialization

포디즘(Fordism)이 가져온 노동의 분

화에 한 비 기조 에서 장인 노동

의 부활에 정 기 를 함

Michael Piore and Charles Sable(1984),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제어 명론

control revolution

량생산 사회가 자기 동력에 한 제어

실패로 기에 착(에 지, 환경)했으며

이의 안으로 정보에 기반한 새로운

제어의 가능성에

James Beniger(1986), The Controling

Revolution

네트워크 사회론*

network society

정보통신기술이 가져다 기존 사회

조직의 해체에 주목하고 계화된 사회

조직 신에 첩 이고 네트워크 인

사회로의 이행을 강조

Immanuel Castells(1996), The

Network Society

신막스주의

neo-Marxism

정보기술론이 자본주의 기에 해 돌

구가 될 것이라는 이데올로기 선동

으로

Herbert Schiller(1984), Information and the

Crisis Economy

조 이론

Regulation

정보기술이 량생산의 기에 직면한

자본주의 축 기를 해소해주는 역할

로 작용한다고

Michel Aglietta(1979), A Theory of

Capitalist Regulation

유연축 론

flexible accumulation

자본주의의 확장과 재생산을 해서

정보의 활용은 지속 으로 요구된 바

라고

David Harvey(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국민국가와 폭력

national state and

violence

국민국가의 형성과정은 항상 정보의

통제와 활용이 제되어왔음을 지

Anthony Giddens(1985), The Nation-state

and Violence

공공 역

public sphere

발달한 정보통신에 기반한 상업화된

미디어가 공공 역을 훼손시키고 있다고

비 함

Jürgen Habermas(1962),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주*: Webster에서는 “informational mode of development”라고 개념 정의하고 있는데 이 개념이 불분명하고

Webster가 표문헌으로 언 한 Castells(1989)의 The Informational City에 비해 Castells(1996)의 문헌이

범 하게 인용되고 있어서, 주제를 네트워크사회로 변경함(Webster가 이 을 쓴 1994년엔 Castells(1996)의

작이 나오기 이 ).

자료: Webster(1997/1994)에 기반해서 작성.

Page 10: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0 -

정보화가 가져온 사회의 새로운 조직화 방식에 초점을 둔 개념은 Castells(1996)가

설명하고 있는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라고 할 수 있음

전통적인 공동체나 위계질서를 넘어 개인들의 이해 또는 계약 관계에 기반한 사회의 네트

워크적 측면은 20세기를 전후한 사회학자들의 관심사이기도 했음

- Durkheim은 집단에서 독립된 개인에 주목하여 개인들이 사회를 구성해내는 원리에 대해

탐구한 바 있음(1924)

- 특히 Simmel은 상호작용의 개념을 제시하고, 전통사회와 달리 근대사회에는 개인의 상호

작용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부정형적임을 통찰하여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을 개념화

하고 있음(1955)

20세기 말에 이르러 가속화된 정보의 순간적인 접근성은 기존의 사회 조직에 패러다임적인

변화를 만들어 개인, 조직, 국가와 같은 기존의 사회적 범주를 네트워크적인 성격으로

재구성하고 있음(<표 2> 참조)5)

- 정보 교환 비용이 아주 낮거나 거의 없어지면서 개인이 세계와 소통하고 정보를 교류하고

나아가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가능해짐. 기존의 조직, 국가, 인종의 소속 또는 속성

(affilation or atttibutes) 뿐만 아니라, 개인이 네트워크상의 다양한 연결을 통해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해감. 이처럼 개인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새로운 활동 반경과 정체성을 획득

한다는 점에서 고립성을 극복하고 ‘제도화된 개인(institutionalized individual)’으로 재탄생

하고 있음

- 기업으로 대표되는 조직은 그 경계의 안팎이 명확했지만 이제는 기업이 기업 외부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함으로써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 이는 조직 일반에도 구현

되어 네트워크 조직(network/hybrid organization)이 태동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물리적

존재감이 불분명해지는 조직(virtual organization)이 등장하고 있음

- 네트워크 조직의 사례로 통신장비업체 기업인 Cisco, 파산했지만 한 때 일취월장했던

에너지 기업인 Enro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다양한 조직들이 얽혀 있어서 정보소통

채널에 의해 유지됨

- 지역 또는 국가와 같이 전통적으로 경계선이 명확했던 조직(또는 공동체) 또한 그 경계가

불분명해지면서 전통적인 권위를 잃는 대신 네트워크적 영향력은 세계로 뻗어가면서 가상화

(virtualization)되고 있음

사회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면서 가상 커뮤니티(virtual community)에 기반한 교육 부문의

변화(virtual education)가 이루어지고 있음

5) 김석 (2012)에 기반함.

Page 11: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1 -

- ICT 기술이 뒷받침된 학습, 즉 웹에 기반한(web-based) 교육이 새롭게 등장했으며,

Khan Academy, Udacity, Coursera, edX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

- 이런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전달 형태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뀐

것이 아니라, 우리가 배우고 가르치는 방식이 ICT에 기반한 가상 커뮤니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

<표 2> 사회의 네트워크화

층 련 개념 는 이론

개인

작은 세계(small worldlines), 지구 개인 네트워크(global personal network), 길거리 료(street-level

bureaucracy), 신사회운동(new social movement), 정책망(policy network), 네트워크 거버 스(network

governance)

조직

네트워크조직(network organization), 포스트모던조직(postmodern organization), 이종결합조직(hybrid

organization), 산업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 개방 신(open innovation), 행 자연결망(actor network

theory, ANT), 동조합(cooperative), 사회 기업(social enterprise), 발 네트워크국가(developmental

network state)

국가

( 는 세계)

신지역주의(new regionalism), 국경지역(de-bordering region), 거 도시(mega-city), 생산네트워크

(production network), 세계 인구 이주(diaspora), 지역연합체(federation of regions), 국제 비 리기구

(International NGO), 연성권력(soft power), 장소 마 (place marketing), 네트워크국가(network state)

자료: 김석 (2012), <표 1>.

3. ICT 인재상의 변화

ICT 발전과 사회의 급속한 변화로 ICT 인재의 성격이 새롭게 변하고 있음([그림 4] 참조)

ICT 분야는 네트워크적 속성이 극대화된 분야이며 이는 사회의 네트워크화를 반영할 뿐

아니라 그러한 경향을 선도하고 있음

- ICT 분야는 기업의 위계가 상대적으로 약하며 원격 근무가 쉽고 외주(outsourcing) 또는

독립적인 전문가와의 협업(collaboration)이 용이하여 네트워크적 성격이 강함

- ICT 분야는 직업유동성(job mobility)이 높을 뿐 아니라 경력경로에서 긍정적으로 인식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고 있음6)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는 ICT의 대중화(prosumer)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기업과 기업

외부의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ICT 분야 인재 자체의 특성을 보다 유동적이고 네트워크적

으로 만들고 있음

6) “Take the hardest job you can find in a city where there are lots of smart people. Statistically, you will have changed

jobs in less than two years. Maybe even fields. You want your first job to open even more doors than were open upon

graduation.” (The Graduation Advice We Wish We'd Been Given, Harvard Business Review Blog Network, May 20,

2013).

Page 12: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2 -

ICT의 진화와 사회의 네트워크화는 ICT 인재의 하이브리드적 역량과 스킬(skill)을 요구함

- 다양한 기술에 대한 적응성과 여러 분야와의 협력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융합적

이어야 하고, 기술뿐만 아니라 기술이 적용되는 시장(소비자)의 수요를 통찰할 수 있어야

하며, 끊임없이 변하는 기술과 지식의 변화에 맞춰서 역량을 성장시킬 수 있는 교육훈련이

이루어져야 함

- 전통적으로 이론 중심, 분과학문 중심의 교육을 통한 인재양성과 전공 관련 분야에 취업을

통한 인재활용의 이분법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분야 간 융합, 기술-비즈니스의

연계, 교육과 일의 연계가 원활하게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음

[그림 4] ICT의 진화와 사회의 네트워크에 따른 ICT 인재상의 변화

융합 역량을 갖춘 ICT 인재

융합화되는 ICT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ICT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포함하는

T자형 인재를 중시함

- 그동안 ICT와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협력연구를 통해서

융합된 지식을 갖춰야 함(류지성 외, 2011)

- ICT 분야 컨설턴트이자 IBM의 스태프인 Lightstone은 “Making It Big in Software(2010)”

에서 다양한 관심사를 갖는 인재가 앞으로 보다 성공적인 경력을 쌓아 나갈 것임을 강조

하고 있음7)

- 카네기멜론 대학의 Entertainment Technology Center(ETC)는 공학과 자연과학의 융합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와 융합된 ICT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7) “It’s not coincidental that people with such interesting successful careers are also people who have interesting and

successful side interests. Employers understand that the best employees are dynamic people with broad interests”,

Lightstone, 2010.

Page 13: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3 -

- 최근 삼성그룹은 삼성전자와 삼성 SDI가 주축이 되어 소프트웨어를 공부하지 않은 비전

공자(인문계 포함)도 잠재적 ICT 인재로 간주하고 교육을 거쳐 ICT 인재로 육성하는

프로그램 계획(“컨버전스 소프트웨어 아카데미”)을 발표한 바 있음(연합뉴스, 2013.3.13.)8)

기술-비즈니스 연계 역량을 보유한 ICT 인재

ICT가 전문가 중심의 핵심 기술이나 융합 기술을 넘어 대중화된 최근의 경향(prosumerization)

으로 공급자와 소비자간 경계가 불분명해지면서 ICT 전문가는 전통적인 ICT 전문가와는

다른 속성을 가지게 됨

ICT 전문가는 기술 자체뿐 아니라 비즈니스 내지는 사용처(business oriented 또는 end

use)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함

- 비즈니스에서 기술에 이르는 다양한 전문성을 모두 자체 조달하고자 해서는 안되며,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아웃소싱(outsourcing)과 협력을 구현

할 수 있는 커뮤니티에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임

- 최근 제기되는 lean startup은 자기완결적인 창업이 아니라 핵심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되

이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네트워킹을 통한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Ries, 2011)

새로운 ICT 인재의 관점에서 창업과 취업의 경계도 불분명해짐

- 자신이 사업주로서 창업을 하거나 기존의 기업 또는 창업기업의 직원 또는 협력 파트너로서

역할 변화가 기회와 맥락에 따라 유기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고용주 또는 피고용인의

구분 자체도 의미가 약화됨. 창업-취업의 하이브리드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함

일과 교육의 연계를 구현하는 ICT 인재

새로운 ICT 인재의 관점에서 일은 개인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교육과정의 일부이며 교육은

일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음. 즉 종래의 교육을 통한

기술습득(교육)과 이의 활용(일)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해체되고 있음

ICT 분야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어서 기술 역량의 업그레이드가 없다면 개인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가 없으며, ICT 인재의 관점에서도 역량의 성장이 없을 경우 일에 흥미를 잃게 됨

- Lightstone(2010)은 이를 성장 스킬(growth skill)이라는 용어로 표현하면서 소프트웨어

분야의 인재가 갖춰야할 주요한 덕목으로 제시하고 있음

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3/13/0200000000AKR20130313082951003.HTML?from=search

Page 14: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4 -

- 성취동기가 강한 ICT 인재 역시 현재의 소득과 지위보다는 일을 통해서 얻어지는 성취감과

즐거움, 그리고 역량의 성장에 많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직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9)

- Florida(2011)는 창조계급(creative class)의 젊은이들이 성취와 성장 동기를 중요시하며

이것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보수가 좋은 직업도 포기하는 경향을 설명하고 있음

ICT를 비롯한 기술인력의 교육에 있어서도 일과 분리된 교육이 아니라 일의 체험을 동반한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의 경우 협소한 전공 지식에 국한된 엔지니어링의 교육으로는 기업의 수요에 부합

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따라 대학에서 새로운 교육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음

- 예를 들어 미국의 Olin College of Engineering은 실제 최종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인재로 교육하고 있으며, 이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은 일하면서

접하는 다양한 상황들에 높은 적응력을 보이고 있음

전문 분야 내의 수평․수직적 이동과 더불어 분야 밖으로의 이동(창업이나 전직)이 활발해

지면서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이 필수적임

- 전통적인 종 모양 경력 곡선(bell career curve)에서 편종형 경력 곡선(carillon career

curve)으로 변화하는 추세임. 편종형 경력 곡선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전문 능력을

개발하는 역량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유연한 전문가(serial master)로 성장함(Gratton,

2010)10)

9) 일반 으로 최근의 은 세 는 학습이나 능력 계발에 가장 을 두며 배울 동료가 있는 직장을 선택할 가능성이 큼

(Gratton, 2011).

10) 즉 통 인 경력 곡선은 20 에 회사에 들어가 30 반에 간 리자 자리에 오르기 해 열심히 일하고, 성과가

좋으면 월 과 회사 내 직 이 올라가 50 가 되면 소득 창출력이 정 에 이른 후 60 가 되면 모든 것이 끝나고

은퇴하는 것임. 이와 달리 편종형 곡선의 사례는 다음과 같음. 20 에 기업에 입사해 서른 살까지 열심히 일하며

해당 분야에서 깊이 있는 진문 능력과 지식을 갈고닦음. 서른 살에는 1년 동안 일을 쉬면서 여행을 다니거나 자원 사

활동을 함. 서른한 살에는 다양한 회사의 로젝트에 참여해 경험을 넓힘. 그리고 직장으로 돌아와 속도를 조 해 이후

3년 동안 업무 공유를 함. 40 가 되면 1년 동안은 학습에 매진해 문 능력을 쌓고 두 번째 문 역으로 변형을 함.

40 나 50 가 되면 두 번째 문 능력에 쏟는 에 지를 늘리며 50 반에 다시 사회체험을 해 1년 동

안 여행을 하거나 자원 사를 함. 50 후반 혹은 60 에는 지 까지 두 분야에서 쌓은 문 능력을 바탕으로 소기

업가로 변신함. 덕분에 70 와 80 까지도 계속해서 사회에 공헌함(Gratton, 2010).

Page 15: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5 -

II. ICT 인재양성을 위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

1. 필요성 및 개념

ICT 기술발전과 사회의 네트워크화에 따라 융합화, 기술과 비즈니즈의 연계, 교육과

일의 연계를 특징으로 하는 ICT 인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

새로운 산학협력 전략이 필요함

특히 디지털 시대를 견인하는 ICT 분야에서 개방형 커뮤니티에 기반한 네트워크형 산학

협력 전략이 필요한 실정임

인재양성을 위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기존의 산학협력 전략과 주체, 목적,

협력의 속성 등의 측면에서 차별성을 가짐(<표 3> 참조)

기존 산학협력의 주체는 대학과 기업이라는 이원적 조직(organization)인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에서 주체는 ‘제도화된 개인들(institutionalized individuals)’의 의미임

- 기존의 산학협력에서는 인재양성을 담당하는 대학과 인재를 활용하는 기업을 이원적

주체로 인식하는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기업과 대학의 경계와 역할 구분이

불명확한 하이브리드(hybrid) 주체로서 제도화된 개인들에 주목함

- 기존의 산학협력은 전통적 대학의 제도(학위, 학과, 교수 종신 재직권 등)에 기반한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배우고 가르치는 개인에 집중함

기존의 산학협력에서는 대부분 취업(employment)이 인재양성의 목적인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

협력에서는 취업 혹은 창업할 수 있는 역량(employability) 제고를 목적으로 함

- 취업이라는 개념이 한 시점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역량(employability)은 개인의 경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념임

- 역량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일과 교육의 연계를 구현하는

유연한 전문가로서 새로운 ICT 인재양성에 보다 적합함

기존의 산학협력 전략에서 협력관계를 조직 간 ‘파이프라인(pipeline)’에 비유한다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에서 협력관계는 제도화된 개인들 간 ‘활기(buzz)’ 넘치는 네트워크에 가까움

- 기존의 산학협력 전략에서는 명확한 경계(boundary)가 있는 대학과 기업이라는 조직 간

(inter-organizational) 협력의 성격이 강한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에서는 조직이라는

경계를 넘어 형성되는(boundaryless) 개방형 커뮤니티에 기반한 협력의 의미를 강조함

Page 16: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6 -

- 기존의 산학협력 전략에서 대학과 기업 간 보다 긴밀한 관계(strong tie)를 가지는 정해진

조직들 간 협력(closed community)을 강조한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은 보다 느슨한

관계(weak tie)를 가지는 개인들로 이루어진 개방형 커뮤니티(open community)에 기반한

전략임

- 기존의 산학협력이 학과나 전공 등 대학의 전통적 제도에 기반하여 대부분 단일 혹은

복수의 특정 분야 경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은 문제해결을

위해 학문 분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형 인재양성에 보다 적합함

- 조직간 경계를 넘나드는 개방형 커뮤니티 안에서 기업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은 기술과 비즈니스의 연계에 강하고 문제중심적인 ICT 인재양성을 위해 효과

적인 전략임

<표 3> 기존의 산학협력과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의 차별성

기존의 산학 력 네트워크형 산학 력

주체이원 조직(organization)/ 주체

학(양성) vs 기업(활용)

제도화된 개인

(institutionalized individual)

하이 리드(hybrid) 주체

인재양성

목취업(employment) 취업 혹은 창업할 수 있는 역량(employability)제고

력의 성격

‘pipeline’형 ‘buzz’형

명확한 경계(boundary) 경계를 넘어서는 범 (boundaryless)

닫힌 커뮤니티(closed community) 개방형 커뮤니티(open community)

강한 연결(strong tie) 약한 연결(weak tie)

학문 기술 분야

(특정 분야 내에서의 산학 력)

융합

(특정 학문이나 기술 분야에 국한되지 않음)

2.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의 사례

ICT의 진화와 사회의 네트워크화를 반영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으로 차별화된

성과를 만들어내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음

이 부분에서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관점에서 각 사례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

전공 분야, 기업참여, 학위수여 등 산학협력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사례들을 제시하고자 함

Page 17: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7 -

가. MIT Media Lab

MIT Media lab은 다양한 전공 분야의 인재들이 모여 혁신적인 콘셉트를 개발해 기업에게

미래 신사업에 대한 영감을 제공하고 있음(삼성경제연구소, 2011)11)

- 약 300여 명의 인재가 매년 300억 원 가량의 연구예산을 집행하며, 교수 30여 명, 석․박사

150여 명, 학부생 100여 명으로 구성됨

- 산업체에서 보내는 방문연구원(affiliates) 10여 명이 상주하고 있음

Nicholas Negroponte 교수와 MIT 전 총장 Jerome Wiesner의 독창적인 생각으로 만들어

졌으며, 그 목표는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창의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미래를

창조하는 데 집중하는 것”임(Wagner, 2012)

- 이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상당 부분은 ‘인간 적응성’이란 주제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노인성 치매나 우울증 같은 질병을 다루는 선도적인 일부터 어린아이나

노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거나 인간의 사지 기능을 모방할 수

있도록, 심지어 능가할 수 있도록, 전자 제어 장치를 갖춘 인공 기관을 개발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함

창립자들은 전례 없는 산학협력 형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주로 컴퓨터, 정보통신, 미디어,

금융 서비스업 분야 대기업들을 설득하여, 이 기업들이 미디어랩 운영 자금을 대주면

미디어랩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로 나오는 지적재산권을 거의 아무런 조건 없이 공동으로

나눠 가지는 형태임(Moss, 2011)

- 그 결과 미디어랩 연구자들은 다른 곳에서는 생각할 수도 없는 수준의 창조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됨

미디어랩에서는 학문간 배타적 경계를 넘어 문제해결 중심으로 접근하려는 ‘반학제적

(anti-disciplinary)’ 연구방식을 취하고 있음

- 21세기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도전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반학제적인 접근법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음.(Moss, 2011)12)

‘시연하느냐 죽느냐(demo or die)’라는 철학 하에 학생들을 생산적인 발명가로 변화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Moss, 2011)

11) www.media.mit.edu/

12) 인간역학 연구 의 표 Sandy Pentland 교수는 “오늘날의 실이 이 다고 ‘이건 컴퓨터 문제를 넘어선 것이니 경제

학자를 데려와야 겠어’라는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할 수는 없잖아요. 이젠 이 게 말해야 해요. ‘일단 문제를 들여다

보자. 그리고 그 문제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알아보자.’ 그런 다음 그 요구를 충족시키기 해 밖으로 나가서 필요한

도구와 지식, 사람을 모아 와야 해요. 내가 말하는 ‘반학제 ’이라는 용어는 그런 뜻이에요.”(Moss, 2011)

Page 18: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8 -

나. Stanford d.school

2005년 IDEO기업의 후원으로 Stanford에 d.school이란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이 설립됨13)

- Stanford의 기계공학부 교수 David Kelley가 1978년 설립한 디자인 회사는 이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0대 기업 중 하나인 IDEO로 성장했음

- 디자인적 사고주의와 혁신방법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음

d. school은 지속가능성, 제3세계의 발전, 교육 등 세계에서 가장 난해한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는 강의나 프로젝트를 후원하여 Stanford의 모든 학생과 교수들의 혁신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있음

학생을 받지 않고 교수를 채용하지도 않으며 학위를 인정해 주지도 않는 대신, 현업에 종사

하는 외부 강사가 특정 강의를 맡아 진행하며 Stanford 학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음

- 최근 후원하는 강의들은 서비스 혁신을 위한 디자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계획, 변화를 위한

디자인, 아메리카의 빈곤, d. Media, 놀이부터 혁신까지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음

- 폭넓은 주제의 강의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개방형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으며, virtual

course도 지원함

다. Stanford Smart Product Design Lab

Stanford의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코스로 대부분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기계 공학과 전자 공학, 컴퓨터 공학의 교차점에 있는 기계 전자 공학이라는 분야에 대해

배우는 강의임14)

- 프로그램 운영 시 학생들에게 권한부여와 기발함을 추가할 여지를 주며, 실습을 통한

비즈니스 연계 강의가 제공됨

- 담당교수인 Ed Carryer는 1년 단위로 계약하는 자문교수(consulting professor)로 지난

20여 년간 이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음.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동문들이 기부를 하기도 함

실습을 통한 비즈니스 연계 강의가 마련되어 다수의 기업이 참여하여 운영됨

- 실리콘 밸리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 중 다수가 이 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있음. 이들은

테슬라 모터스부터 애플 팀의 많은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실리콘 밸리에서 제품 생산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임

13) dschool.stanford.edu/

14) design.stanford.edu/spdl

Page 19: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19 -

라. Carnegie Mellon University Entertainment & Technology Center

이 센터는 컴퓨터 공학과의 Randy Pausch 교수와 드라마학과의 Don Marinelli 교수가

1999년 공동으로 설립한 여러 분야의 학문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석사 학위 과정임15)

프로젝트 기반으로 운영되는 이 협동과정은 미술(fine art)과 컴퓨터 공학 관련 융합 분야를

배우는 2년짜리 4학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음16)

- 1학기 때에는 “Building Virtual Worlds”17)라는 주제로 2주일간 그룹 과제를 시행하며,

이외에 총 5개의 프로젝트를 시행하며, 마지막에는 500여 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앞에서

발표를 하게 됨

- 학생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부터 가상 세계를 디자인하는 법에 이르는 다양한 수업을

수강하며, 주로 프로젝트로 진행됨

프로젝트 각각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생이 모여 팀이 되어 업무 결과를 도출하여야 하며,

Carnegie Mellon의 전통에 따라, 실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야 함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넓고 다양한 기술과 감각이 있는 사람들 및 관련 기업과

협업하는 기회를 가지게 됨

- 대체로 프로젝트는 한 학기동안 4~5명의 학생과 교수의 자문,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대표 또는 기업 관계자로 인원이 구성됨

- 나머지 3학기 동안에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매 학기동안 교수의 지도에 따라 결과물을

만들어서 제출해야 하며, (조직한 팀의 결과물에 대한) 상호평가를 매 학기마다 실시하여,

관심사에 대한 기술을 증진하고, 취업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음

현재 이 센터는 미국 피츠버그, 실리콘밸리, 일본 오사카, 싱가포르, 포르투갈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이들 캠퍼스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

15) www.etc.cmu.edu/site

16) “이 과정은 미술 학과와 컴퓨터 공학과에 의해서 공동으로 설립되었지만 둘 어느 학과와도 상 이 없어요. 그 과

정을 시작한 건 인습 타 주의자라고 할 수 있는 두 사람이었는데 그들은 상을 유지하는 일 따 에는

심이 없었죠. 그들은 학과 거래를 했어요. ‘우리를 방해하지 마시오. 그러면 우리 밥값은 우리가 알아서 하겠소.’”

(Wagner, 2012: 118)

17) 첫 학기 때에 배우는 “Building Virtual Worlds”는 기술 인 면에서 가상세계를 만드는 법을 배움. 여기서 Maya와 같은 3D

모델링 소 트웨어, 포토샵, Adobe Audition & Pro Tools과 같은 음향 편집 소 트웨어, Unity3D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가상 실 세계를 만드는 법을 배움. 이 과정에서 특이한 랫폼인 Head-Mounted Display and Trackers, Microsoft

Kinect, 터치스크린, 카메라기반 객 상호작용기술(camera-based audience interaction techniques), 모션 캡쳐 등과 같

은 것을 이용함. 이 외에도 첫 학기에는 Improvisational Acting, Visual Story, Game Design 같은 수업을 들을 수 있음

Page 20: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0 -

마. MIT Center for Transportation & Logistics(CTL)

이 센터는 공급 체인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분야 연구를 통해 산업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1973년 시작되었음18)

- 특히 교통 체계에 대한 도시계획가와 행정가의 생각을 변화시켰고, 현재 세계적으로 시행

되는 비행 스케줄과 항공편 운영의 기반을 닦았으며,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기관에 대한

지원을 통해 탄소 저배출 공급 체인을 확산시키고 있음

- 이 센터는 전 세계의 100개 이상의 공급 체인 연구를 실시하였고, 공급 체인 관리의

기초를 학생과 기업 경영진에게 가르치고,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적․환경적인 부정적

효과를 줄이는 데 기여함

교통 및 물류의 관련된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해 다학제적 접근을 하고 있음

- 이 센터의 교수진 75명은 공학, 물류, 경영, 도시계획, 경제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의

전공자를 모아 놓았으며, 신흥시장, 에너지 고효율 공급체인, 공급체인 관리, 화물 운송

등의 연구를 주로 실시하고 있음

SCALE(Supply Chain and Logistics Excellence)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과 연구 활동을

강화하며, 로컬 공급 체인 인력 관리를 시행하면서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이 센터는 스페인의 Zaragoza와 협약을 맺어 Zaragoza Logistics Center를 만들어, 유럽

에서 가장 큰 물류단지인 Plataforma Logística de Zaragoza(PLAZA)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외에도 콜롬비아 Bogota에 Center for Latin American Logistics Innovation,

말레이시아 Shah Alam에 Malaysia Institute for Supply Chain Innovation을 만들어

네트워크가 4대륙에 뻗어 있음

CTL 프로그램은 40개 이상의 기업과 파트너 협약을 체결하고 있음

- 이 기업들은 각각의 관심에 따라 연구 파트너(research partners), 전략 파트너(strategic

partners), 공급체인 상호교환 파트너(supply chain exchange partners)로 활동하고 있음

18) ctl.mit.edu/

Page 21: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1 -

<표 4> 네트워크형 산학협력의 사례

다수의

다수의

기업

참여

Virtual

course

수여특징

MIT Media lab O O - O실제 문제 심의

반학제 (anti-disciplinary) 근

Stanford d.school O O O X폭넓은 주제의 강의와 로젝트를

지원하는 개방형 커뮤니티 형성

Stanford Smart Product

Design LabO O - X 실습을 통한 비즈니스 연계 강의

CMU Entertainment &

Technology CenterO O O O

기술과 문화 술의 융합을 통한

문제 심의 근

MIT CTL O O - O교통 물류와 련된 실제 문제해결을

한 다학제 근

Page 22: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2 -

III. 시사점

ICT의 진화와 네트워크 사회의 전개로 새로운 ICT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런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전략이 필요한 시점임

다수의 정책과 사업을 통한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못 미치는 산학협력

활동과 성과를 보이고 있는 국내 실정에서 기술 및 사회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산학협력

전략 및 모델이 필요함

특히 변화속도가 타 분야보다 빠르고 파급효과가 큰 ICT 분야에서 융합화, 기술-비즈니스

연계, 그리고 일과 교육의 연계를 특성으로 하는 새로운 인재상을 담아낼 수 있는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모델이 적합하다고 판단됨([그림 5] 참조)

ICT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모델은 기존의 산학협력 모델과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가짐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모델은 기존의 조직과 제도의 관점이 아닌 ICT 인재 개인의 관점에서

출발함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모델은 특정 조직이나 제도가 아닌 개방형 커뮤니티에 기반하여

형성됨

- 대학의 전공 분야 간 경계를 초월하여 특정 주제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분야 간 융합하는 경향을 가짐

- 실제 문제 중심의 접근을 위해 기술과 비즈니스의 연계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참여 범위와 정도가 자유롭고 다양함

- 경력경로의 다양화 및 유동성의 증가로 교육과 일의 연계가 중요해지면서 유연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개방형 커뮤니티, 특히 가상 커뮤니티의

역할이 커짐

Page 23: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3 -

[그림 5] 네트워크형 산학협력 모델

<필자> 김형주(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기인재정책센터 부연구위원)

김석현(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정책본부 부연구위원)

Page 24: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4 -

참고문헌

김석현(2012), “네크워크론의 이론지형과 실천적 함의”, 「동향과 전망」, 85호(봄), pp. 89∼130.

김형주 외(2010),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류지성 외(2011), 「IT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 대학교육의 과제」, 삼성경제연구소.

연합뉴스(2013.3.13.), “삼성, 인문계 출신 소프트웨어 인재 키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3/13/0200000000AKR20130313082951003.HTML?from=search)”.

최문기(2008), 융합시대의 IT R&D 방향, 정보와 통신, January, 25-31.

Aglietta, Michel(1979), A Theory of Capitalist Regulation: the US experience, NLB.

Anderson, Chris(2008),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

New York: Hyperion.

Bainbridge, W. S. and M.C. Roco(eds.)(2006), Managing Nano-Bio-Infocogno Innovations: Converging

Technologies In Society, Netherlands: Springer.

Barabasi, A.-L(2003), Linked. New York: Plume.

Beniger, James(1986), The Controling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Baudrillard, Jean(2007/1983), In the Shadow of Silent Majorities, Semiotext.

Bell, Daniel(1999/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 Basic Books.

BloombergBusinessweek(2013.5.18.), "Charle Rose Talks to Yahoo! Teen Tycoon Nick D'Aloisio

(http://www.nytimes.com/2011/11/22/technology/between-you-and-me-4-74-degrees.html?_r=1&)".

Castells, Manuel(2000/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ume 1), Wiley-Blackwell.

Drucker, Peter(1969), The Age of Discontinuity, New York: Harper & Row.

Durkheim, Émile(1953), Sociology and philosophy, Free Press.

Flordia, Ricard(2002), The Rise of the Creatve Class, Basic Books.

Giddens, Anthony(1985), The Nation-state and Violence, UC Press.

Gratton, Lynda(2011), The Shift: The Future Of Work Is Already Here, HarperCollins.

Habermas, Jürgen(1962),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The MIT Press.

David Harvey(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Wiley-Blackwell.

Lightstone, Sam(2010), Making it Big in Software: Get the Job. Work the Org. Become Great. Pearson

Education.

Moss, Frank(2011), The Sorcerers and Their Apprentices: How the Digital Magicians of the

MIT Media Lab Are Creating the Innovative Technologies That Will Transform Our

Lives, Crown Business.

Page 25: 네트워크 시대의 Ict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전략

STEPI ISSUES & POLICY 2013

- 25 -

Milgram, Stanley(2004/1967), The Small World Problem, in G. Carter, ed. Empirical Approaches

to Sociology, pp. 111∼18, Boston: Pearson.

National Research Council(NRC)(2012), Continuing Innov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iore, Michael and Sable, Charles(1984),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Basic Books.

Ries, Eric(2011), The Lean Startup: How Today's Entrepreneurs Use Continuous Innovation to Create

Radically Successful Businesses, Crown Business.

Roco, M. C., and W. S. Bainbridge(eds.)(2003),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Schiller, Herbert(1984), Information and the Crisis Economy, Praeger.

Simmel, Georg(1955). Conflict and the Web of Group Affiliations, Translated by K. H. Wolff

and R. Bendix. New York: Free Press. 프랑스어 원본은 1924년 출간.

Tapscott, Don(1997), The Digital Economy, McGraw Hill.

Tapscott, Don(2008), Wikinomics: How Mass Collaboration Changes Everything, Portfolio.

The New York Times(2011.11.21.), "Separating You and Me? 4.74 Degrees

(http://www.nytimes.com/2011/11/22/technology/between-you-and-me-4-74-degrees.html?_r=1&)".

Toffler, Alvin(1990/1980), The Third Wave, Bantam Book.

Wagner, Tony(2012), Creating Innovators: The Making of Young People who will change the World,

Scribner.

Webster, Frank(1997), "What is Information Society" in Alberts and Papp, The Information Age: an

Anthropology of its Impact and Cosequences, original paper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1994, 10(1), pp. 1∼23.

Carnegie Mellon University Entertainment & Technology Center

(http://www.etc.cmu.edu/sitewww.etc.cmu.edu/site)

MIT Center for Transportation & Logistics(http://ctl.mit.edu/)

MIT Media Lab(http://www.media.mit.edu/)

Stanford d.school(http://dschool.stanford.edu/)

Stanford Smart Product Design Lab(http://design.stanford.edu/spdl)